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역사는 주어진 여건에서, 때로는 그 여건을 뛰어넘어 현실을 바꾸어 내기 위한 작은 몸부림으로 점철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쩌면 기관실무자들은 투사와 같다. 비롯 헤진 옷에 낡은 칼집뿐이지만 서비스 이용자들의 목을 조여오는 위협줄을 끊어내는 데 예리한 솜씨를 발휘하기 위해 오늘도 날카로운 눈빛으로 사주를 경계한다. 내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바의 방향, 내용, 방법을 강구하는 실력과 내공을 높이기 위해 오늘도 수련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이 책은 그중에서 방법에 관한 이야기와 연결되어 있다. 세상을 바꿀 방향과 내용을 구상하는 것은 기관실무자의 몫이지만,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각종 사회복지재단으로부터 필요한 재원을지원받기 위해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어떻게 기획하고 시행결과를 평가할 것인지와 관련된 내용을 보다 이해하기 쉽고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책의 존재의의가 있다.

 

제 1 부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관

제1장 사회복지 프로그램 이해
  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필요성 14
  2.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의의 19
  3.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성격 22
  4.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종류 23
  5. 사회복지 실무자의 역할 26

제2장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발전과정
  1. 민간 공모사업의 역사와 한계 개관 32
  2. 삼성복지재단 「작은나눔 큰사랑」 33
  3. 아산사회복지재단 지원사업 40
  4. 벤처기부와 아산나눔재단 「파트너십 온」 43
  5. 최근의 다양한 흐름 69

제 2 부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제3장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의미
  1. 일반적인 상품을 개발할 때의 과정 76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의미와 단계 76
  3.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다양한 속성 78

제4장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1. 프로그램 기획 84
  2. 사업 필요성에 대한 설득 89
  3. 사업수행능력에 대한 입증 91
  4. 선행 프로그램 검색체계 개편 제언 93

제5장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틀
  1. 논리모델의 성과와 한계 98
  2. 변화이론의 의의와 한계 102
  3. 기존 흐름에 대한 반성 106

제6장 사업참여자 결정 : 프로그램의 주인공
  1. 현재까지의 관행 반성 116
  2. 사업참여자 118
  3. 사업참여자 그 너머 124
  4. 기존 판 바꾸기 130

제7장 사업내용 구성 : 문제해결 솔루션 제시
  1. 어떤 세부사업들을 펼쳐나갈 것인가? 134
  2. 사업내용에 대한 다양한 기술방식 136
  3. 사업추진 네트워크 140

제8장 목적과 목표
  1. 목표설정의 맥락 146
  2. 목표란? 146
  3. 산출목표 147
  4. 성과목표 149

제9장 변화의 방향과 수준 : 혁신과 사회적 영향력
  1. 혁신이 뭘까? 160
  2. 혁신의 구성요소 161
  3. 혁신이 요구되는 이유 162
  4. 혁신을 요구하는 입장에 대한 비판 163
  5. 사회적 영향력의 의미와 필요성 165
  6. 사회적 영향력의 활용 예 165

제 3 부 사회복지 프로그램 실행

제10장 실행단계별 주의사항
  1. 사업계획서 조정하기 170
  2. 사업착수단계 172
  3. 사업집행단계 174
  4. 사업마무리단계 176

제11장 평가 틀 설계
  1. 들어가면서 180
  2. 평가의 의미 및 종류 181
  3. 평가주체 : 누가 평가할 것인가? 183
  4. 평가범위 191
  5. 평가시기 191

제12장 과정평가
  1. 과정평가란? 196
  2. 과정평가의 중요성 196
  3. 과정평가에서의 평가대상 196
  4. 평가방법 199
  5. 평가 시 유의사항 206

제13장 성과평가
  1. 성과평가의 개념과 맥락 212
  2. 성과평가의 종류 213
  3. 양적성과평가 214
  4. 양적성과평가 사례 219
  5. 질적인 접근을 왜 할까? 220
  6. 질적평가와 질적연구 224
  7. 질적평가의 패러다임 227
  8. 질적평가 설계 231
  9. 질적평가를 위한 자료수집방법 233
  10. 심층면접 진행 239
  11. 질적자료 분석 245
  12. 연구윤리 259

제 4 부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실제

제14장 사업신청서 작성 노하우
  1. 내 자신에 침잠하라 266
  2.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267
  3. 타 기관의 사업계획서 - 단지 참고만 하라 268
  4. 절실함에 매력을 입혀라 269
  5. 사업개요 작성에 공을 들여라 270
  6. 감정으로 우기지 말라 271
  7. 사업과 예산을 연동시켜라 272
  8. 사업내용 간 일관성이 중요하다 273
  9. 오타는 결정적인 타격을 준다 275
  10. 면접에서 지켜야 할 태도 275

제15장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작성양식 이해 및 적용
  1. 변화배경 이해 280
  2. 변화의 주요 특징 280
  3. 변화의 한계 293

■ 참고문헌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