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COVID-19로 불리는 질병은 우리나라의 2019년 12월 이후의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학교와 학생들에게 예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장면과 문화를 던져주었다. 사회변화와 다양한 욕구는 우리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와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과 과제들은 밖으로 드러나는 현상만으로는 설명이 어렵고 사회변화의 여러 요인과 이에 대한 적응형태로 만들어지는 문화의 본질과 흐름을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팬덤 문화와 SNS가 대표적인 것으로서, 새로운 문화이며 청소년들에게는 매우 익숙하고 일상화된 생활의 문화이다. 그러나 COVID-19로 인해 대면 접촉과 상호작용의 부족으로 학교현장과 사이버 공간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2020년부터 청소년의 선거권이 18세로 하향되었고 인터넷과 휴대폰의 급속한 발달로 청소년들의 욕구가 매우 다양하게 되었다.
개정판에서는 사회변화와 학생들의 변화에 학교와 학교사회복지사가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에서 기존의 책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특히 청소년기는 사회변화에 민감하며 급격한 변화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양상과 부적응의 새로운 문화가 생성되고, 그 파급효과는 민감한 감수성을 지닌 청소년 세대에게 가장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면에서 청소년들에게 학교와 문화는 두 가지 큰 축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에 대한 접근을 그들의 생활의 장(학교)과 그들의 요구를 반영한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다.
학교사회복지는 초기에는 학생 개인에 대한 개인수준 사회복지실천에 한정되었으나 오랜 발달과정을 거치면서 학생 개인뿐 아니라 가족, 학교, 지역사회 등의 환경적 요소와 예방적 접근까지도 포함하는 확장된 정의를 가지게 되었다.
PART 01 사회변화와 학교·청소년
제1장 청소년의 발달과 사회환경
1. 청소년의 발달 11
2. 청소년과 사회환경 17
제2장 교육과 학교환경의 이해
1. 학교교육의 목적 28
2. 학교의 기본 기능 28
3. 학교조직의 이해 30
4. 학교문화와 분위기 36
5. 학교재정 39
PART 02 학교사회복지의 이해
제3장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및 목적
1. 학교사회복지의 정의 44
2. 학교사회복지의 목적 48
3.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49
4. 학교사회복지의 대상 51
5. 학교사회복지가 요구되는 사회적 배경 52
6. 교육과 사회복지의 관계 56
제4장 학교사회복지의 역사
1. 미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 59
2. 영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 60
3. 한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 61
제5장 학교사회복지 실천이론
1. 전통적 임상모델 79
2. 학교변화 모델 82
3. 지역사회-학교 모델 83
4. 사회적 상호작용 모델 85
5. 학교-지역사회-학생 관계 모델 86
6.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87
제6장 학교사회복지 실천과정
1. 전체과정 89
2. 초기과정 92
3. 중간과정 97
4. 종결과정 99
제7장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직무
1.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101
2. 학교사회복지의 직무 104
제8장 학교사회복지 관련 정책과 제도
1. 교육복지정책 110
2. 아동․청소년 관련 정책 114
3. 학교사회복지 관련법에 대한 이해 118
4. 학생인권과 학생인권조례 124
5. 학교사회복지사 자격 및 제도 127
6. 학교사회복지 제도화에 대한 이해 129
제9장 학교사회복지와 지역사회
1. 지역사회의 개념과 특징 132
2. 학교사회복지에서의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필요성 135
3. 학교사회복지에서 지역사회자원의 유형 136
4. 학교사회복지에서 자원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1
5. 학교사회복지에 있어 지역사회 및 거시적 차원이 갖는 중요성 142
6. 사회복지와 지역사회의 실천모형 143
7. 학교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복지실천 144
PART 03 프로그램 실제
제10장 사례관리
1. 학교현장 사례관리의 필요성과 배경 149
2. 학교현장에서의 사례관리 접근방법 151
3. 학교 사례관리의 구성 요소 155
4. 학교현장의 사례관리 운영체계 157
5. 학교 사례관리의 과정 163
제11장 상 담
1. 청소년 상담의 개념 169
2. 청소년 상담의 특성 170
3. 청소년 상담의 역할 171
4. 청소년 상담의 목표 173
5. 상담과정 174
제12장 진로지도
1. 진로의 정의와 개념 178
2. 진로지도의 내용 179
3. 초등학교 진로지도 185
4. 중학교 진로지도 187
5. 고등학교 진로지도 191
제13장 빈곤 아동·청소년 문제에 대한 개입
1. 아동·청소년과 빈곤 194
2. 빈곤청소년과 사회적 지지체계 및 지지망 198
3. 빈곤 아동을 위한 지원체계의 강화 200
제14장 학교부적응에 대한 개입
1. 학교부적응의 이해 203
제15장 학교폭력에 대한 개입
1. 학교폭력의 개념 215
2. 학교폭력의 유형 217
3. 학교폭력의 특성 218
4. 학교폭력의 요인 219
5. 학교폭력의 현황 222
6. 학교폭력 전담기구의 설치 및 역할 229
7. 학교폭력 예방 교육 230
제16장 이주배경 청소년에 대한 개입
1. 다문화의 이해 232
2. 이주배경 청소년의 개념 233
3. 이주배경 청소년의 현황 236
4. 이주배경 청소년의 어려움 237
5. 이주배경 청소년 지원현황 241
제17장 비행에 대한 개입
1. 청소년 비행의 개념과 특징 246
2. 청소년 범죄의 종류와 현황 248
3. 청소년 비행 요인 251
4. 소년 사법절차 257
5. 청소년 비행의 예방과 개입방향 264
부록 청소년 기본법 271
■참고문헌 293
■찾아보기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