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학

이론 실천 정책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최근 COVID-19에 의해 지역이나 개인과 가족 간의 분절이 진행되고 새로운 도움에 대한 욕구도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야말로 대변자로서 지역민이나 생활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사람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사회복지영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련 영역의 대책을 준비하며, 지역의 유대를 강화하고, 가족이나 개인이 안고 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응하는 체제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사람과 여러 제도를 연결하여 우리 사회를 모든 사람이 살기 좋은 장으로 만드는 것이 사회복지의 궁극적인 역할일 것이다. 관련 기관이나 단체, 시설과 연계되어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사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커지고 있다. 사회복지 제도는 전에 없던 속도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용자 중심의 제도로 변하면서 새로운 개혁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향이 중요하다. 그에 관한 기본적 시각이나 지식을 이 책 속에 담아 학습하는 사람들이 미래 사회복지의 리더로서 다양한 현장에서 역량을 발휘할 것을 기대한다.
  이 책은 사회복지학을 이론과 실천 그리고 정책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전체적인 특성과 원리를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사회복지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실천과 관련된 지식, 정책과 관련된 지식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실천과 정책론을 칸막이식으로 구분하려는 것은 아니다. 차이와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저자가 편의적으로 구분한 것뿐이다. 사회복지학의 이론과 관련된 내용은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특성, 사회사업과 사회복지의 개념, 복지철학과 사상, 정책과 실천의 원리, 사회복지 역사,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사회복지 욕구, 복지운영 체제와 재원문제 등 사회복지학의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실천과 관련하여 실천의 대상, 실천 지식과 이론의 발달, 실천윤리 등을 살펴보았다. 정책 부분은 정책의 필요성, 주체와 객체, 시간과 공간, 방법과 수준, 정책 과정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은 복지의 최고 도달점이 복지국가로 완성된다고 생각하여 복지국가의 발달과 전개 동향을 정리하면서 끝을 맺었다.
  이 책은 사회복지 개론서를 목표로 하지 않았다. 사회복지학이 나름대로 체계적이고 구성적인 학문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소개하고 싶었다.

 

Chapter 01 사회복지학의 이해
  1. 복지와 공동체 그리고 국가 15
  2. 사회복지학의 관점과 특징 18
  3. 사회복지학의 통합론 20

Chapter 02 사회복지의 개념
  1. 사회복지의 개념 33
  2. 사회제도의 복지기능과 사회복지 38
  3. 사회사업ㆍ사회복지ㆍ사회보장 39

Chapter 03 사회복지의 철학과 사상
  1. 개인의 존엄 45
  2. 개인의 존엄과 인권의 역사 47
  3. 개인 존엄을 위한 사상 50

Chapter 04 사회복지 원리와 이데올로기
  1. 사회복지의 정책 원리 58
  2. 복지정책의 이데올로기 62
  3. 사회복지의 실천 원리 65

 

Chapter 05 사회복지발달의 역사
  1. 서구의 사회복지발달 역사 69
  2.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발달 역사 84

Chapter 06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
  1.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99
  2. 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102
  3. 외국의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108

Chapter 07 사회복지와 욕구
  1. 욕구원리와 사회복지 117
  2. 욕구 개념과 유형 120
  3. 생활지원 욕구와 서비스 126
  4. 욕구 파악의 방법 127
  5. 욕구와 온정주의 129

Chapter 08 사회복지 운영 체제
  1. 복지혼합 135
  2. 계획 대 준시장(Quasi-market) 141
  3. 집권과 분권 146
  4. 서비스의 조정과 연계 149

 

Chapter 09 사회복지와 재원 부담
  1. 사회복지비 지출 155
  2. 조세 및 사회보장부담률 161
  3. 복지 부담과 경제성장 162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의 기초적 이해
  1. 사회복지실천의 대상 169
  2. 사회복지실천의 요건 171
  3.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175

Chapter 11 사회복지실천 지식과 이론
  1.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지식 197
  2. 사회복지실천 이론의 발달 200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의 윤리
  1. 윤리원칙 209
  2. 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212

Chapter 13 사회복지정책의 기초적 이해
  1. 복지정책의 필요성 217
  2. 복지정책의 주체와 객체 219
  3. 복지정책의 시간과 공간 220

 

Chapter 14 사회복지정책의 방법과 수준
  1. 사회복지정책의 방법 225
  2. 사회복지정책의 수준 238

Chapter 15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1. 정책과제의 243
  2. 정책 형성 및 집행 244
  3. 평 가 247

Chapter 16 사회복지와 복지국가
  1. 복지국가의 개념과 목표 251
  2. 복지국가의 이론 255
  3. 복지국가 유형화 논의 258
  4. 복지국가의 위기와 전환 265

  ■ 참고문헌 269
  ■ 찾아보기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