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실천론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사회복지실천은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하여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각자의 문제와 욕구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의 역량 강화에서부터 지역사회나 전체사회의 향상과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전문적인 활동이다. 최근 우리사회는 4차 산업시대, 저출산, 가족기능 변화, 고령사회 등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사회의 변화로 여러 가지 사회문제와 더불어 사회복지에 대한 다양한 욕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즉, 사회복지 전문가들은 국민들의 다양한 사회복지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에 직면하게 된 셈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에게도 실천의 기반이 되는 전문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이 요구되고 있다.
  사회복지실천론은 이러한 요구들을 반영하여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가치, 윤리 등을 정립하고, 사회복지전문직과 사회복지사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비롯하여 사회와 현장에 대한 이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이러한 사람들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을 기반으로 한 통합적 접근을 통해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사회복지사들의 이론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론은 사회복지사들의 역량을 갖추기 위한 교육에 기반하여 교과목의 목표와 내용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의 개관
  1. 사회복지실천의 정의와 사회복지와의 관계 11
  2. 사회복지실천의 범위와 구성요소 19
  3.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기능 22

CHAPTER 02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가치의 이해 29
  2. 사회복지 전문직의 윤리강령 36
  3.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가치갈등 38

CHAPTER 03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51
  2.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63

CHAPTER 04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대한 이해
  1. 사회복지실천의 현장 73
  2. 사회복지사의 활동 88

CHAPTER 05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기반
  1. 사회복지실천의 지식기반 95
  2.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기반 103

 

CHAPTER 06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 통합적 접근
  1. 전통적 방법의 한계와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 119
  2. 통합적 방법의 개념과 특징 120
  3. 통합적 접근의 주요 관점 122
  4. 통합적 접근의 이론적 기반 126
  5. 통합적 접근의 모델 136
  6.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통합적 접근의 의의 145

CHAPTER 07 사회복지실천 대상과 문제
  1. 개인체계와 문제 151
  2. 가족체계와 문제 155
  3. 집단체계와 문제 159
  4. 지역사회체계와 문제 164

CHAPTER 08 면접의 방법과 기술
  1. 면접의 개념 및 목적 173
  2. 효과적인 면접의 구성요소 177
  3. 면접기록 184

CHAPTER 09 관계형성에 대한 이해
  1. 관계형성의 중요성 193
  2. 원조관계 형성의 구성요소 197
  3. 관계형성의 장애요인 205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 과정- 접수, 자료수집 및 사정
  1. 접수(Intake) 및 참여유도 215
  2. 자료수집 222
  3. 문제사정 225

CHAPTER 11 사회복지실천 과정- 목표설정 및 계약
  1. 목표설정 241
  2. 계 약 245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 과정- 개입
  1. 개인수준의 개입 251
  2. 가족수준의 개입 : 가족치료 260
  3. 집단수준의 개입 277
  4. 지역사회수준의 개입 284

CHAPTER 13 사회복지실천 과정- 평가 및 종결
  1. 평 가 293
  2. 종 결 299

CHAPTER 14 사례관리
  1. 사례관리의 등장배경 및 이론적 배경 315
  2. 사례관리의 개념 및 목적 318
  3. 사례관리의 개입원칙 및 과정 324
  4. 사회복지실천과 사례관리 331

  ■부록 339
  ■참고문헌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