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급변하는 사회와 다양한 사회문제의 출현은 ‘인간다운 삶’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켰고,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의 몰락’과 ‘양극화’라는 갈등상황은 우리의 사회복지를 다시금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가족 및 사회해체라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식되었고, 불안한 미래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움직임들이 나타나면서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과 미래 사회의 유망한 직군으로 부각되는 모습까지 보여주고 있다.
사회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사회복지라는 학문이 대중적 인기를 끌고 있고,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이 시대적 소명을 다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의 각광을 받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 속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인간과 환경 간의 조화롭지 못한 관계는 긴장과 갈등을 불가피하게 양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각종 사회문제는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적으로 구빈의 기능이 강했던 시혜적 성격의 보호가 현대사회에 들어오면서 사회적 권리의 하나로서 기능하기 시작했고, 더불어 사회적 대처능력을 강화하고 국민의 생존권을 구체적으로 보장하는 제도로 정착되고 있는 것은 무척 다행스러운 일이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사회복지는 급격히 발전하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사회복지의 영역에 있어서도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복지학개론은 사회복지 학업에 있어서 시작이며 출발점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충실한 교육을 통해서만 실천적인 사회복지사로서의 동기와 역할, 사명을 다할 것으로 생각한다.
PART 01 사회복지학의 이해
제1장 사회복지의 개념과 가치 11
1. 사회복지의 개요 11
2. 사회복지의 가치 24
3. 사회복지의 동기 27
4. 사회복지의 이념 31
5. 사회복지사의 역할 35
제2장 사회복지의 역사 39
1. 역사연구의 의의 39
2. 영국 사회복지의 역사 43
3. 미국 사회복지의 역사 56
4.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61
PART 02 사회복지의 접근방법
제3장 사회복지행정 71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71
2. 사회복지행정의 특성 73
3. 사회복지행정의 조직 75
4. 사회복지 프로그램 82
5.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95
제4장 사회복지정책 101
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01
2. 사회복지정책의 목표 105
3.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107
4.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109
5. 사회복지정책의 구성 요소 119
제5장 사회복지실천 131
1. 사회복지실천의 주체 132
2. 사회복지 실천윤리 134
3. 사회복지의 실천기술 143
4. 사회복지의 실천방법 147
5. 사회복지실천의 원칙 153
제6장 사회복지조사 157
1. 사회복지조사의 중요성 157
2. 사회과학이론의 특성 158
3. 사회복지조사의 목적 160
4. 사회복지조사의 단계 165
5. 조사연구 고려사항 168
제7장 지역사회복지 171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171
2.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76
3. 지역사회복지의 목표와 원칙 177
4.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유형 181
5. 지역사회복지의 문제해결과정 183
6.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85
7. 지역사회복지 분야와 서비스 187
8. 지역사회복지의 활성화 193
PART 03 사회복지 서비스
제8장 사회보장제도 197
1. 사회보장제도 197
2. 공공부조 208
3. 사회보험 223
제9장 아동복지 서비스 249
1. 아동복지의 개념과 특징 249
2. 현대사회의 아동문제 250
3. 아동복지 서비스 프로그램 252
제10장 청소년복지 서비스 263
1. 청소년의 개념 26 3
2.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 26 5
3. 청소년복지의 개념 270
4. 청소년복지의 필요성 272
5. 청소년 관련 전문직 278
6. 위기청소년 지원 280
제11장 가족복지 서비스 287
1. 가족의 개념과 기능 287
2. 가족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292
3. 현대 가족기능의 변화와 문제 297
4. 가족복지실천의 원칙 302
5. 가족사회복지사의 역할 305
6. 가족복지 서비스와 가족치료 307
제12장 노인복지 서비스 311
1. 현대사회의 노인문제 311
2. 주요 노인문제 316
3. 노인문제의 발생요인 320
4.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복지 프로그램 323
제13장 장애인복지 서비스 329
1. 장애인복지의 개념 329
2. 장애인복지의 이념 331
3. 장애의 유형 332
4. 장애인의 재활 337
5. 장애인복지의 과제 341
제14장 의료사회사업 및 자원봉사활동 345
1. 의료사회사업 345
2. 자원봉사 활동 352
■ 참고문헌 367
■ 찾아보기 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