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실천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사회복지사를 꿈꾸는 사람들은 다양한 동기에 의해 사회복지를 접하게 되지만, 실상 그 공부를 하게 되면 아무나 사회복지사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말하자면 전문가가 되기 위한 과정은 단지 책으로만 배울 수 없음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사회복지사가 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필자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누군가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확인하고 스스로를 바로 세울 수 있는 통찰과 인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회복지학문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되는 현대사회의 일상처럼 변화무쌍하게 바뀌어가고 있다. 이처럼 사회복지를 공부하고 연구하고 실천하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은 끊임없이 자신을 개발하는 일이다.
  중언부언하며 머리글을 열면서 이 책을 접하는 독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우리가 스스로를 알고 스스로를 채워나갈 때 진정한 사회복지실천을 펼쳐나갈 수 있다. 하지만 사회복지사로서 기초지식이 부족하다면 실천가로서의 역할수행은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실천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한 길잡이가 필요하겠다는 동기에서 집필하게 되었다. 나아가 이 책은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이나 사회복지관련 전문영역에서 활동하는 구성원들에게까지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유용한 안내서가 되기를 희망한다.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13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목표 16
   3. 사회복지실천의 성격 22

Chapter 02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가치와 윤리 27
   2. 자기인식 30
   3.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적 딜레마 32
   4.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갈등과 해결책 35
   5. 한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한국사회복지사협회) 40

Chapter 03 사회복지실천의 과학과 예술
  제1절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과학 51
   1. 사회문제에 관한 지식 53
   2. 사회정책과 프로그램에 관한 지식 54
   3. 사회적 현상에 관한 지식 55
   4.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 56
   5.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지식 56
   6. 사회복지실천방법에 관한 지식 58
   7. 연구에 관한 지식 59
  제2절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예술 60
   1. 동정과 용기 60
   2. 전문적 관계 61
   3. 창의성 63
   4. 희망과 에너지 65
   5. 판 단 65
   6. 개인적 가치 66
   7. 전문가적 스타일 68

Chapter 04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제1절 사회복지실천의 시작 73
   1. 자선조직협회 73
   2. 인보관 운동 74
  제2절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실천 75
   1. 개별사회사업 75
   2. 집단사회사업 80
   3. 지역사회조직 82
   4. 통합적 방법론 출현 83
   5. 사례관리 83
  제3절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역사 84

Chapter 05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관점
     1. 실천의 초점:환경 속의 인간 89
     2. 실천의 주요 관점 92

Chapter 06 사회복지실천현장
  제1절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 113
   1.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이해 113
   2. 사회복지실천현장에 관한 이해의 중요성 115
  제2절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 및 유형 117
   1.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 117
   2.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유형 118
  제3절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현장의 과제 125
   1. 사회복지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 125
   2. 실천현장의 과제 128

Chapter 07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1. 관계의 개념 133
   2.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원리 134

Chapter08 사회복지실천 대상
  제1절 개인대상 155
   1. 모든 개인 155
   2. 특수한 개인 156
   3. 개인의 사회관계 156
  제2절 가족대상 157
   1. 가족의 특성 157
   2. 가족문제 159
  제3절 집단대상 163
   1. 자연집단과 형성집단 163
   2. 치료집단과 과제집단 164
  제4절 지역사회대상 170

Chapter 09 사회복지실천 접근방법
  제1절 개인수준의 실천 175
   1. 개별사회사업의 정의 175
   2. 개별사회사업의 구성 178
  제2절 가족수준의 실천 180
   1. 가족체계의 주요 개념과 특징 181
   2. 가족체계에 대한 개입 185
  제3절 집단수준의 실천 200
   1. 집단의 개념 200
   2. 집단사회사업의 정의 및 가치 201
   3. 집단사회사업의 목적 203
   4. 집단수준의 개입 205
   5. 집단의 기능에 따른 모델 209
   6. 집단사회복지사의 기술 211
  제4절 지역사회수준의 실천 212
   1. 지역사회수준 실천의 의미 212
   2. 지역사회수준의 개입 213
   3. 지역사회수준 실천의 과정 221
  제5절 사례관리 227
   1. 사례관리의 정의 227
   2. 사례관리의 출현배경 229
   3. 사회복지사의 역할 232
   4. 사례관리과정 234
   5. 사례관리와 전통적 사회복지접근방법의 차이점 238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 면접과 기록
  제1절 면접의 목적 및 특성 243
  제2절 사회복지면접의 종류 245
   1. 정보수집면접 245
   2. 사정면접 246
   3. 치료적 면접 247
  제3절 사회복지실천 면접기술 247
   1. 면접 준비기술 248
   2. 면접 시작기술 250
   3. 사회복지실천면접 기술 및 방법 254
  제4절 의사소통에서의 다양한 활용기술 266
   1. 반 영 266
   2. 명료화 266
   3. 직 면 267
   4. 해 석 269
   5. 저항 다루기 270
   6. 전이와 역전이 다루기 271
  제5절 면접의 기록 272
   1. 기록의 활용 273
   2. 기록의 내용 276
   3. 기록의 유형 280

Chapter 11 사회복지실천과정
  제1절 접수단계 290
   1. 접 수 290
   2. 관계형성 291
   3. 클라이언트의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96
   4. 문제확인 298
   5. 자료수집 299
  제2절 사 정 300
   1. 사 정 303
   2. 사정의 분류 310
   3. 사정의 기술 311
  제3절 계획수립 322
   1. 목표설정 322
   2. 계 약 325
  제4절 개 입 328
   1. 직접적 개입 331
   2. 간접적 개입 342
  제5절 평가와 종결 345
   1. 평 가 345
   2. 종 결 350

  ■참고문헌 359
  ■찾아보기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