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초판이 출간된 지 6년이라는 긴 시간 끝에 개정판이 나오게 되었다. 집필진은 그동안 이 교재를 사용하신 여러분들이 초판에 대해 지적해 주신 조언과 비평은 물론, 그간의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다양한 변화를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무엇보다 최근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교과목 지침서의 제안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사회복지실천론과 연계되면서도 지역사회복지론, 가족복지론 등 여타 교과목들과의 내용 중복을 가급적 피하고 개인, 집단, 가족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의 사정-면접 및 개입-종결에 필요한 구체적인 기술을 소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천기술, 즉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욕구충족과 문제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모델의 주요 과정과 기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천모델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는 어려운 여러 부류의 클라이언트와 일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개입방법 및 지침을 알아두는 것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개정서는 이를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증보 개정하였다. 첫째, 초판에서 소개하였던 심리사회 모델, 인지행동 모델, 과제중심 모델, 위기개입 모델, 해결중심 모델에 더해 임파워먼트 모델을 추가하였다. 또한 기존 실천모델 중에서 콘텐츠의 체계화가 요구되었던 인지행동 모델을 대폭 수정 보완하였고, 사례적용에 따른 개입기술을 구체적으로 소개할 필요성이 제기된 위기개입 모델의 사례를 변경 보완하였다.
  둘째, 복합적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 대상 개입 기술과 변화동기가 부족한 클라이언트와 일하기 등 필요한 신규 콘텐츠를 소개하였다. ‘변화동기가 부족한 클라이언트와 일하기’에서는 비자발적 클라이언트, 가정폭력 피해자 및 가해자, 자살위험이 있는 클라이언트 등에 대해 다루었다.
  셋째, 지역사회 대상 개입기술은 지역사회복지론 교과목 내용과 중복되기 때문에 개정판에서는 제외시켰다.
  끝으로, 실천현장에서 요구하는 집단프로그램 운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집단대상 실천에 대한 이해 및 개입기술을 보강하고 가족대상 개입 기술 및 사례를 수정 보완하였다.

 

PART 1 사회복지실천기술 개관

Chapter 1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실천기반과 자질
  1. 사회복지전문직의 실천 기반 13
  2. 사회복지사의 자질과 자기인식 24

PART 2 사회복지실천모델

Chapter 2 심리사회 모델
  1. 주요 개념 37
  2. 개입 목표 및 과정 38
  3. 개입기술 41
  4. 모델의 적용  45
  5. 사 례 46

 

Chapter 3 인지행동 모델
  1.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50
  2. 벡의 인지치료 59

Chapter 4 과제중심 모델
  1. 주요 개념 75
  2. 개입 목표 및 과정 80
  3. 개입기술 91
  4. 모델의 적용 95
  5. 사 례 97

Chapter 5 위기개입 모델
  1. 주요 개념 100
  2. 개입 목표 및 과정 103
  3. 개입기술 107
  4. 모델의 적용 112
  5. 사 례 113

Chapter 6 임파워먼트(Empowerment) 모델
  1. 주요 개념 118
  2. 개입 목표 및 과정 124
  3. 모델의 평가 및 적용 130
  4. 사 례 132

 

Chapter 7 해결중심 모델
  1. 주요 개념 137
  2. 개입 목표 및 과정 142
  3. 개입기술 150
  4. 모델의 적용 159
  5. 사 례 161

PART 3 대상별 사회복지실천기술 적용

Chapter 8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
  1. 복합적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 171
  2. 변화동기가 적은 클라이언트와 일하기 179

Chapter 9 집단대상 실천에 대한 이해
  1. 집단에 대한 이해 197
  2. 집단 분류 205
  3. 집단역동과 발달단계 211
  4. 집단 사정 214

Chapter 10 집단사회복지실천 개입기술
  1. 준비 및 계획 단계 223
  2. 초기단계 229
  3. 개입단계 234
  4. 종결단계 243
  5. 집단프로그램 실제 246

 

Chapter 11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
  1. 가족과 사회복지실천 253
  2. 가족대상 실천과정 258
  3.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 모델과 개입기술
  4. 가족개입의 실제 293

PART 4 사회복지실천 기록과 평가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 기록
  1. 기록의 목적과 필요성 304
  2. 기록의 내용 308
  3. 기록의 유형 316
  4. 기록의 질 328

Chapter 13 사회복지실천 평가
  1. 평가의 개념과 중요성 333
  2. 평가의 유형과 기준 336
  3. 평가방법 339

  ■ 참고문헌 347
  ■ 찾아보기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