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이 책은 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다양한 전공영역의 예비교사들이 교직의 기초가 되는 교육사회학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집필하였다.
교육사회학은 교육의 제 현상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려는 학문이다. 저자는 이 점을 고려하여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한국교육의 사회적 특성을 함께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론 없는 실제’는 인식 수준을 가볍게 하고, ‘실제 없는 이론’은 현실을 외면하기 때문이다. 이론과 실제는 언제나 함께해야 할 동전의 양면과 같다.
이 책은 교육의 본질을 이해하고 교육 현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해 보려고 시도하는 예비교사들이, 장차 교원으로서 전문적인 지식과 소양을 갖추는데 필요한 교직과목의 하나인 교육사회학 개론서이다. 이를테면, 교육사회학을 처음 접하는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내용 만을 엄선하고 정제하여 알기 쉽도록 집필한 입문서인 셈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통해 공부할 예비교사들이 교육사회학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 저자는 그동안의 강의 경험과 생각을 촘촘히 정리하고 다듬어 핵심적인 내용 위주로 쉽고 지루하지 않게 작성하려고 많이 애썼다. 바라건대, 이 책으로 공부하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사회학의 기초지식을 쌓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자나름대로 교육사회학의 올바른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한국교육의 사회학적 맥락과 중요 과제, 그리고 관련 정책을 엄선하여 제시하였다.
이 책은 한 학기의 수업이 대략 15주인 점을 고려하였다. 15주 중에서 2회정도의 시험(중간, 기말), 1~2개 단원의 분할 수업 등 수업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11개 장으로 압축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1~4장은 교육사회학의 기초 이론을, 5~10장은 사회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실용적 지식을, 11장은 교육의 새로운 사회학적 패러다임을 담았다.
CHAPTER 01 교육사회학의 기초
1. 인간, 교육과 사회의 관계 11
2. 교육사회학의 개념과 성격 155
3.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전개 19
4.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 및 과제 21
5. 교육사회학의 연구방법 23
CHAPTER 02 사회화와 교육
1. 사회화의 의미 31
2. 사회화와 교육의 관계 32
3. 사회화의 대행자 34
4. 사회화의 방법 35
5. 교육의 사회적 기능 38
CHAPTER 03 교육사회학 이론 : 기능이론
1. 기능이론의 사회관 49
2. 기능이론의 교육관 53
3. 기능이론의 하위이론 55
4. 기능이론 교육관의 한계와 비판 58
CHAPTER 04 교육사회학 이론 : 갈등이론
1. 갈등이론의 사회관 67
2. 갈등이론의 교육관 70
3. 갈등이론의 하위이론 72
4. 갈등이론의 한계와 비판 77
5.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78
CHAPTER 05 사회적 평등과 교육
1. 교육평등의 의미 87
2. 교육적 평등관의 관점 92
3. 사회계층과 사회계급의 의미 94
4. 사회계층의 특징 95
5. 사회계층의 형태 97
6. 사회계층과 교육의 관계 98
CHAPTER 06 사회심리학과 교육
1. 사회적 학습 107
2. 학교 풍토 110
3. 협동과 경쟁 112
4. 역할 118
5. 집단역동 121
6. 집단규범과 동조현상 123
CHAPTER 07 문화와 교육
1. 문화의 의미 137
2. 문화의 속성 140
3. 문화의 교육적 기능 142
4. 문화의 내용 144
5. 문화와 관련된 개념들 146
6. 문화와 교육의 관계 151
CHAPTER 08 학교와 교육
1. 학교의 사회적 기능 163
2. 학교교육의 한계와 과제 169
3.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173
CHAPTER 09 가정과 교육
1. 가족의 성격과 형태 183
2. 가족의 기능 188
3. 가족 기능의 변화 190
4. 부모와 자녀의 관계 195
5. 가정에 대한 사회적 지원 198
CHAPTER 10 신자유주의와 교육
1. 신자유주의의 의미 211
2. 신자유주의와 교육 213
3. 신자유주의와 교육개혁 215
4.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한계와 비판 221
CHAPTER 11 교육의 새로운 사회학적 패러다임
1. 다문화 교육 231
2. 대안학교 240
3. 평생교육 247
■ 단원평가 모범답안 262
■ 참고문헌 264
■ 찾아보기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