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강의용 견본이 필요하신 분은 031-814-3000으로 전화 바랍니다.
인간은 누구나 삶에서 균형 상태를 파괴하는 위기적 사건에 직면하게 되며 이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 과제의 이행은 다른 어떤 것보다도 우선순위가 높다. 정신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간호학, 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위기에 직면한 사람들을 원조하는 전문가들은 효과적인 위기 해결을 위하여 위기이론과 기술을 필수적으로 습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는 기본적으로 위기 해결의 방법을 이해하고 있을 때 인생행로에서 직면하는 긴박한 어려움을 좀 더 쉽게 극복할 것이다.
이 책은 인간이 경험하게 되는 위기적 사건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어떠한 이론과 기술 들을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물음을 전제로 하여 집필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위기이론과 위기개입의 기본 개념과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한국인의 사회 재적응 평가치를 산출하여 성별, 연령별, 종교의 유무, 대학생과 일반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비수급자, 그리고 지지자 수 등을 중심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위기 반응, 위기개입의 유형, 위기개입의 단계, 위기사정의 특성과 내용 및 위기사정 도구, 위기개입의 구체적인 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한편 결혼생활의 위기와 이혼조정, 가족위기개입, 위기상황과 사회적 지지, 자살위기개입, 약물중독과 위기개입, 성폭행과 위기개입, 재난과 위기개입, 응급실 위기개입, 영성과 위기개입, 죽음과 위기개입, 소진 등을 다루었다.
Chapter 01 위기이론과 위기개입의 개요 13
제1절 위기와 위기개입의 정의 14
제2절 위기의 유형 18
제3절 위기와 탄력성 그리고 의미 23
제4절 위기의 단계 25
제5절 위기이론에서의 치료개념, 평형상태의 회복 26
제6절 위기이론의 기본가정 28
제7절 위기이론의 유형 29
제8절 위기개입의 원리 35
제9절 위기개입의 대상과 목표 42
제10절 위기개입과 다른 접근법의 비교 44
제11절 위기개입워커의 성격과 행동전략 49
제12절 위기개입에서의 계약 54
제13절 단일회기 위기개입 56
제14절 위기개입모델 60
Chapter 02 위기이론과 위기개입의 역사적 배경 65
제1절 정신역동이론 67
제2절 실험심리학 68
제3절 학습이론 68
제4절 사회학적 연구 69
제5절 정신의학적 연구 70
제6절 사회복지와 위기이론 71
Chapter 03 사회재적응평가치 75
제1절 사회재적응평가치Ⅰ 79
제2절 사회재적응평가치Ⅱ 104
제3절 종합 검토 159
Chapter 04 위기반응 165
제1절 불 안 169
제2절 우 울 171
제3절 비 탄 173
제4절 자살적 행동 174
제5절 타살적 행동 175
제6절 일상사건에 대한 반응 177
제7절 사건에 대한 자기보고서 쓰기 201
Chapter 05 위기개입의 유형 203
제1절 개별위기개입 204
제2절 행동위기개입 208
제3절 체계위기개입 210
제4절 생태계위기개입 214
제5절 인지행동적 위기개입 217
Chapter 06 위기개입단계 231
제1절 신속하고 건설적인 관계확립과 상황의 탐구 235
제2절 대안의 고려 _ 239
제3절 개입계획의 발전 240
제4절 의 뢰 243
제5절 종 결 244
제6절 사후관리 245
Chapter 07 위기사정 247
제1절 위기사정의 특성 248
제2절 위기사정의 내용 250
제3절 위기사정도구 259
제4절 위기사정모델 262
Chapter 08 위기개입기술 269
제1절 관계를 형성, 발전시키는 기술 272
제2절 탐구와 환기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 274
제3절 지지적 기술과 지시적 기술 및 탐구-서술-환기법 276
제4절 개인상황형태에 관한 반성적 토의 286
제5절 유형역동적 및 발달과정상의 요인에 관한 반성적 고찰 290
제6절 대처, 변화 그리고 회복을 강화시키는 기술 294
제7절 환경조정 297
제8절 행동수정기술 304
제9절 보편적 접근법 306
제10절 위기개입형태에 따른 기술 309
제11절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312
Chapter 09 결혼생활의 위기와 이혼조정 319
제1절 결혼생활주기의 위기 320
제2절 이혼에 대한 개관 325
제3절 이혼의 단계 328
제4절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프로그램과 사회복지적 기여, 사정과 개입 331
제5절 이혼조정 336
Chapter 10 가족위기개입 359
제1절 가족위기의 정의 360
제2절 가족위기의 분류 361
제3절 가족의 위기경향성을 만드는 요인 364
제4절 가족위기에 대한 적응 366
제5절 가족위기개입의 기본가정 368
제6절 가족위기개입의 표적집단과 목표 369
제7절 가족위기개입의 방법 369
제8절 가정폭력에 대한 위기개입 373
Chapter 11 위기상황과 사회적 지지 377
제1절 사회적 지지의 개념 378
제2절 사회적 지지와 건강 382
제3절 사회적 지지와 직업 스트레스 384
제4절 위기상황과 사회적 지지 385
Chapter 12 자살위기개입 397
제1절 자살 및 자살적 행동의 정의와 설명 398
제2절 자살행동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400
제3절 자살위기개입의 단계 401
제4절 자살사정 405
제5절 개입방법과 전략 412
제6절 청소년 자살 418
제7절 학교에서의 자살위기개입 421
Chapter 13 약물남용 중독과 위기개입 439
제1절 알코올 및 불법 약물사용과 관련된 위기 440
제2절 약물남용의 원인 442
제3절 약물사용의 단계 443
제4절 약물사용의 일반적 징후 445
제5절 중독에 관한 모델 445
제6절 약물남용의 가능성이 높은 사람 450
제7절 약물중독 클라이언트 원조에서 워커의 역할 451
제8절 약물남용자를 위한 사회적 지지 452
제9절 코카인남용자의 위기개입 456
제10절 단일회기 위기개입 463
Chapter 14 성폭행과 위기개입 467
제1절 성폭행의 유형 468
제2절 성폭행 가해자의 유형 470
제3절 낯선 사람 성폭행과 아는 사람 성폭행의 차이 471
제4절 성폭행의 실제상황 473
제5절 성폭행의 충격 474
제6절 성폭행의 정서적 위기사정 477
제7절 치료 모델 482
제8절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490
Chapter 15 재난과 위기개입 493
제1절 재난의 본질 494
제2절 재난의 과정 495
제3절 재난 후 심리·정서적 반응 498
제4절 재난위기개입 501
제5절 특별한 욕구를 가진 집단 513
제6절 단일회기 위기개입 515
Chapter 16 응급실 위기개입 521
제1절 응급실 위기개입 실천의 가치와 윤리적 기초 522
제2절 응급실 실천의 다차원적 본질과 특성 523
제3절 응급실 내에서의 다차원적 접근법 _ 523
제4절 클라이언트 집단과 문제의 본질 525
제5절 관심의 단위 527
제6절 응급실 위기개입의 방법 529
제7절 임상적 쟁점 531
Chapter 17 영성과 위기개입 533
제1절 영성의 개관 536
제2절 영성적 위기개입 543
제3절 성경적 관점에서의 위기개입 551
Chapter 18 죽음과 위기개입 559
제1절 죽음의 의미 561
제2절 죽음에 대한 반응 562
제3절 죽어 가는 사람의 욕구와 권리 569
제4절 사별 후의 상황 573
제5절 사고나 갑작스러운 죽음 579
제6절 임종환자와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적 원조 583
Chapter 19 위기개입워커와 소진 595
제1절 소진의 정의 596
제2절 소진의 이유 597
제3절 소진의 역동성 599
제4절 소진의 증상 600
제5절 소진의 단계 601
제6절 워커·클라이언트 관계와 소진 603
제7절 개입전략 603
■ 참고문헌 611
■ 찾아보기 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