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원칙 하나, 아이와 자연을 살리는 놀이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아이들에게 “바깥놀이 나가자!”라고 하면 대부분 “야호”, “앗싸!”라고 환호한다. 그만큼 아이는 본성적으로 바깥을 좋아한다. 유아중심 교육은 아이의 본성을 살리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을 강조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아이들을 “밖으로, 밖으로” 데리고 나가는 교육에서 출발해야 한다.
원칙
둘, 시간은 넘나드는 놀이
모든 시간은 질적으로 다르다. 객관적이고 수학적인 의미의 시간개념은 우리가 실제로 경험하는 시간 의식과는 다르다는 말이다. 수학적인 시간개념이 유아교육현장으로 들어오면 구격화와 획일성을 낳게 된다. 하루 일과를 연간계획부터 일일계획까지 미리 짜여진 계획에 따라 자유놀이, 정리, 새참, 대집단 활동 등으로 세심하게 나누어 운영하게 된다. 교사 최고 미덕은 짜여진 일과를 효율적으로 잘 이끌어 가는 것이며, 이는 곧 아이에게 안정감과 일관성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원칙
셋, 공간을 넘나드는 놀이
생태놀이는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 놀이를 의미한다. 실내놀이와 바깥놀이가 따로 없어서 실내놀이, 바깥놀이를 규정짓는 것조차 의미가 없다. 교실 안에서 시작된 놀이가 바깥으로 가기도 하고, 바깥에서 시작된 놀이가 교실 안으로 들어오기도 한다. 그리고 교실 안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짐작되는 모든 놀이는 바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는 동화읽기나 요리놀이를 실내놀이라고 생각하지만 바깥에서는 더 재미있는 놀이가 된다. 아이들에게 있어서 바깥은 하늘이 교실 지붕, 땅이 교실 바닥이기 때문에 오히려 탁 트인 환경과 코끝을 건드리는 바람이 아이의 놀이를 더 재미나게 해줄 수 있다.
원칙
넷, 다양한 연령의 아이들이 어울리는 놀이
아이들이 가족이란 테두리를 넘어 만나는 첫 대상이 또래다. 아이들은 또래들과 만나서 어울리고 떠들며 놀고 다투고 화해하고 자기 고집을 꺾기도 하며 논다. 또래들과 자기들만의 세계를 만들어 가면서 놀고, 그 놀이를 통하여 아이들은 사람과의 관계를 알게 된다. 달리 말해, 또래들과 어울려 놀면서 아이들은 삶의 방식과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 현실에 파묻히지 않는 도전의식을 배운다.
놀이는 어른이 가르칠 수 없다. 아이 스스로 놀이방법을 터득하기도 하지만 가장 손쉬운 방법은 형들의 놀이를 어깨너머로 보거나 같이 형들 놀이에 끼여 놀면서 배우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연령이 섞인 놀이집단이 가장 멋진 놀이꽃을 피울 수 있다.
원칙 다섯, 우리 조상들의
오천 년 지혜가 담긴 놀이
『오래된 미래, 라다크로 배우다』의 저자 헬레나 노르베르 호지는 우리 미래 삶의 방향은 결국 오랜 전통에서 찾고 배워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 양육과 유아교육 역사는 5천 년을 넘어서고 있다. 전 세계의 유아교육을 선도해 온 서구의 유아교육 역사보다 짧지 않은 세월이다. 그동안 우리는 산 좋고 물 좋은 금수강산에서 사람과 자연이 하나 되고, 사람과 사람이 더불어 사는 세상 속에서 아이를 길러왔다. 오천 년 세월 동안 대를 이어가며 같은 놀이 행위를 반복할 때 우리만의 독특한 놀이와 육아 DNA가 생기기 마련이다. 그래서 지금 유아교육을 하는 교사, 부모, 아이들의 몸속에도 우리 놀이와 육아 DNA가 면면히 흐르고 있다. 아이들이 우리 포대기로 업거나 안아주면 편안해하고, 할머니가 불러주는 자장가에 쉽게 잠들며, 우리 전래놀이를 할 때 금방 익숙해지고 자연스럽게 노는 이유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놀았던 놀이를 낡고 오래된 것으로 버려야 할 것이 아니라 다른 문화에서 찾을 수 없는 뛰어난 놀이문화를 보전하고 키워가야 한다.
01 들풀놀이 18
02 숲속 집짓기 22
03 삼월 삼짇날 놀이 28
04 채소 기르기 34
05 요리하기 38
06 신문지놀이 42
07 딱지치기 46
08 명상놀이 50
09 단오놀이 54
10 소꿉놀이 60
11 맨발로 숲길 걷기 64
12 물길 만들기 68
13 흙공놀이 72
14 물모래놀이 76
15 비 오는 날 산책하기 80
16 빨래놀이 86
17 언니오빠놀이 90
18 투호놀이 94
19 유두놀이 98
20 청소놀이 102
21 염색놀이 108
22 낚시놀이 112
23 배 만들어 띄우기 116
24 황토놀이 122
25 텃밭 작물 찧기 126
26 칠석놀이 130
27 매실 씨앗 놀이 136
28 작물 인형 만들기 140
29 언덕 썰매타기 142
30 고구마 줄기 놀이 144
31 곤충 찾기 놀이 146
32 추석놀이 154
33 텃밭 허수아비 만들기 160
34 줄놀이 162
35 종이상자 놀이 166
36 되살림 놀잇감 만들기 172
37 수놓기 놀이 176
38 숲속 음악회 열기 180
39 숲에서 동화읽기 184
40 나무 장난감 만들기 186
41 가을 숲놀이 194
42 병뚜껑놀이 198
43 고무줄놀이 200
44 실뜨기놀이 202
45 동짓날놀이 206
46 사방치기 놀이 212
47 털실 목도리 짜기 216
48 팽이놀이 220
49 설날놀이 224
50 정월대보름 놀이 230
에필로그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