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틀렸다고 생각하면 당당히 바꿀 방법을 찾자”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와 다른 전문 분야의 차별성은 ‘가치 지향성’입니다. 사회복지사가 현장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마인드로 일을 하고 있는가에 따라 가치의 방향 또한 크게 달라집니다. 재가복지센터에서 일하며 시도했던 어르신의 외투 서비스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가치 관점에 따라 실천의 방법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경험하였습니다. HS리서치센터를 운영하면서 많은 평가 및 자문을 수행하였고, 특히 서울특별시 청소년 민간위탁사업 평가단으로 선정되어 2년간 100여 개의 다양한 현장 프로그램을 심층적으로 평가했던 것은 평가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달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지난 십수 년간 사회복지 현장의 전문성은 크게 성장하였고, 새로운 프레임과 가치들이 사회복지 실천 기술에 여러 형태로 현상화되어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적지 않은 현장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고민은 여전합니다. “제가 보기에 클라이언트가 크게 달라졌는데, 사전-사후 점수 변화가 없어요.” 사회복지사의 관찰이 맞다면, 사전-사후 측정은 틀린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회복지사들은 당당히 사전-사후가 잘못되었다고 결론을 내리지 못합니다. 대안도 찾으려 하지 않습니다. 틀렸다고 생각한다면 당당히 바꿀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기획과 평가는 많은 시행착오, 즉 실험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합니다. 실패해도 괜찮고, 부족해도 좋습니다. 새로운 고민은 새로운 대안을 찾을 기회를 줍니다. 기존의 목표나 평가 방식을 바꾸지 않는다면 어떠한 변화도, 성장도 만들어 낼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 술을 새 부대에 담아야 하듯이 사회복지 현장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근본을 다시 살피고, 실천 가치를 고민하고, 성찰하며, 사회복지사로 바로 서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본 서를 집필하였습니다.
 

PART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Chapter 1. 프로그램의 이해 15

  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이해 15

  2. 프로그램의 과정과 구성 27

  3. 프로그램의 유형 36


Chapter 2. 기획과 의사결정 39

  1. 프로그램 기획의 필요성 39

  2. 책무성과 사회복지 실천 가치 43

  3. 기획의 의사결정 과정 58

  4. 계획의 유형 62


Chapter 3. 정보 수집과 욕구분석 69

  1. 정보 수집의 방법 69

  2. 문제 인식의 관점 80

  3. 욕구분석 85


Chapter 4. 목표 세우기 99

  1. 목표의 이해 99

  2. 목표설정 단계 103

  3. 목표 세우기 114

  4. 논리모델과 결과성과 123

  5. 목표의 명료성을 높이는 고민들 126

  6. 성과평가 도구 점검하기 129


Chapter 5. 프로그램 수행 준비 143

  1. 실무 행정의 진행 143

  2. 주민 만나기와 참여자 선정 150

  3. 예산 계획하기 154

  4. 지역사회 마케팅과 네트워크 155


PART 2 프로그램 평가


Chapter 6. 프로그램 평가의 이해 163

  1. 사회복지 평가의 흐름과 과제 163

  2.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 168

  3. 프로그램 평가의 필요성 170

  4. 프로그램 평가의 이론적 접근 173

  5. 프로그램 평가방법 176

  6. 평가의 기준 189


Chapter 7. 가치 평가 193

  1. 사회복지 실천과 가치 평가 193

  2. 가치 평가의 기본 가치의 이해 196

  3. 욕구기반 가치 평가 199

  4. 이미지 평가 202

  5. 한덕연 선생님의 가치 평가 207


Chapter 8. 성과 평가 모형 215

  1. 성과 평가의 이해 215

  2. 성과 평가의 대상 219

  3. 결과성과 : 효과성 평가 221

  4. 산출성과 : 효율성 평가 227

  5. 품질성과 : 품질 평가 231


Chapter 9. 실험설계 평가 241

  1. 실험설계 평가의 준비 242

  2. 실험설계 평가 진행 시 주의 사항 247

  3. 실험설계의 유형 248

  4. 단일사례설계 평가 256

  5. 실험설계의 유형별 특성 비교 260


Chapter 10. 질적 평가 및 기타 방법들 263

  1. 질적 평가 263

  2. 과정분석 평가 281

  3. PASSING 287

  4. 조작적 정의에 의한 평가 294


Chapter 11. 프로그램 평가 관리 299

  1. 평가의 과정 299

  2. 평가준비 단계 302

  3. 평가도구 구성 단계 311

  4. 평가수행 단계  313

  5. 평가결과의 분석 및 활용 단계 317


PART 3 사업계획서 작성 및 평가 사례


Chapter 12. 공동모금회 사업계획서 작성법 327

  1. 사업계획서 작성 준비 327

  2. 한 장 사업계획서 작성 331

  3.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334

  4. 사업계획의 완성 및 검토 364


Chapter 13. 성과 평가의 사례 – 효과, 효율, 품질 평가 367

  1. 평가대상 및 방법 368

  2. 성과 평가 기준 370

  3. 결과성과 평가 결과 376

  4. 산출성과 평가 결과 388

  5. 품질성과 평가 결과 390

  6. 평가결과 요약 393


■ 부 록 397

■ 참고문헌 421

■ 찾아보기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