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가족”이라는 말은 확실히 정서적이다. 사회학적 측면에서 보자면 하나의 사회제도인데 그 제도적 측면보다는 가족구성원의 내면적 요소가 더욱 부각되어 매우 서정적이고 정서적으로 다가온다. 사랑, 풍요, 보금자리, 고향 등을 대변하면서 또한 내포하는 가족, 누구에게나 포근하고 안락하며 언제나 우리를 반겨주는 가족,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렇게 신격화되어왔던 가족은 현대에 와서 명백히 다각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이러한 가족과 가족을 둘러싼 고민의 작은 조각들을 다루고 있다. 조각을 모아 이불보를 만들 수도 있겠지만 조각을 맞추다보면 이내 우리들의 혼란한 마음을 덮어내는 이불을 만들기에는 우리의 조각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참여한 저자들이 모든 조각을 만들어 가족과 관련된 모순과 고민을 덮을 이불을 만들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현실에 아쉬움이 남는다. 어쩌면 이 일은 여기에 참여한 저자들의 한계를 넘어서는 일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며 불편함을 덜어내고 있다. 모자란 부분이 꼭 여기서 채워져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변명으로 여러 조각들의 하나의 책으로 엮었다. 각각의 논문들은 저자들이 평소에 연구하고 가르치면서 고민한 결과들이다. 물론 오류도 존재한다. 실생활과 떨어진 내용이라고 느끼는 부분도 있을 것이고, 진부하다고 느끼는 독자들도 있을 것이다. 독자들의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용서를 구한다. 동시에 부족한 조각들을 채워나가 줄 것도 기대한다.
CHAPTER 01 한국 가족변화의 특성과 쟁점 11
1. 서 론 12
2. 가부장적 (핵)가족의 쇠퇴 징후:사회․인구학적 특성 13
3. 쟁점:무엇이 ‘변화’하고 있는가? 19
4. 결 론 25
CHAPTER 02 가족정책의 개념과 범주 29
1. 가족정책의 개념 30
2. 가족정책의 범주 36
CHAPTER 03 일과 가족생활 양립정책의 서구적 경험과 한국정책의 함의 43
1. 왜 일-가족양립 정책인가? 44
2. 일-가족 양립정책을 둘러싼 논의 45
3. OECD 국가들의 일-가족 양립정책 58
4. 일-가족 양립에 관한 정책함의 68
CHAPTER 04 한부모가족의 빈곤과 사회정책 73
1. 서 론 74
2. 한부모가족의 사회권과 빈곤 77
3. 우리나라 한부모가족의 현실과 사회권 진단 95
4. 결 론 100
CHAPTER 05 가족복지실천의 근거법 분석 107
1. 서 론 108
2. 본 론 109
3. 결 론 139
CHAPTER 06 사회복지관 가족복지서비스 사례연구 143
1. 서 론 144
2. 선행연구 146
3. 사회복지관 가족서비스 유형별 사례분석 150
4. 건강가정지원센터와의 관계 163
5. 결론 및 제언 164
CHAPTER 07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양육집단 프로그램의 현황과 대안 -해결중심적 양육집단-169
1. 서 론 170
2. 본 론 170
3. 결 론 195
CHAPTER 08 한국 가족정책의 기본법으로 건강가정기본법의 주요 쟁점과 가족복지정책의 과제 197
1. 서 론 198
2.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의 주요 경과 200
3. 건강가정기본법의 주요쟁점 202
4. 건강가정기본법의 한계와 가족복지정책의 전망 212
CHAPTER 09 통합적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 모색 217
1. 서 론 218
2. 통합적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의 요건 222
3. 우리나라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바람직한 모형 모색 235
4. 결 론 246
CHAPTER 10 가족지원서비스의 방향모색 251
1. 서 론 252
2. 가족지원서비스 254
3. 법안 비교를 통한 가족지원서비스 분석 258
4. 현행 가족지원서비스 내용 분석 264
5. 가족지원서비스의 방향 모색 276
6. 결 론 282
CHAPTER 11 가족지원서비스의 전담인력의 자격 287
1. 서 론 288
2. 서비스 전담인력과 관련된 주요 현안 및 쟁점 290
3. 서비스 전담인력 자격규정의 평가원칙 299
4. 서비스 전담인력 자격규정 비교분석 「건강가정기본법」 vs. 「가족지원기본법(안)」 300
5. 결 론 315
■찾아보기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