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행정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4차 산업혁명과 지역거버넌스로 인한 환경의 변화는 사회복지행정의 체계화, 과학화, 효율화, 통합화, 효과성 및 책임성, 전문성의 확보를 더욱더 요구하고 있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인 인공지능(AI)으로 인한 자동화와 연결성의 극대화(신속성)는 사회복지행정의 새로운 발전과 도약을 강력히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사회복지행정은 새로운 지식과 기법을 도입․개발하여 한국 사회복지환경이 요구하는 효율성, 효과성 및 책임성, 전문성, 자동화, 신속성을 확보해야만 하는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을 뿐 아니라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도전과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접근이 요청된다. 따라서 필자들은 전통적인 사회복지행정의 이론과 기술에 더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사회복지행정의 이론과 동향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아울러 인공지능(AI)에 의한 자동화와 신속성을 반영한 복지행정 실천사례들을 데이터에 기반하여 소개하고자 노력하였다.

 

PART 01 사회복지행정의 이론적 기초


제1장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13

  제1절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14

  제2절 사회복지행정과 복지경영 17

  제3절 사회복지행정의 특징 23


제2장 사회복지행정의 이념과 책임성 29

  제1절 사회복지행정의 주요 이념 30

  제2절 사회복지행정가의 지식과 기술 38

  제3절 사회복지행정가의 책임성 55


제3장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발달 58

  제1절 정부 수립 이전의 사회복지행정 59

  제2절 정부 수립~제6공화국의 사회복지행정 62

  제3절 제6공화국 이후의 사회복지행정 70


제4장 사회복지행정의 조직이론 84

  제1절 전통적 이론 86

  제2절 현대적 이론 97



PART 02 사회복지조직


제5장 사회복지조직의 구조와 유형 119

  제1절 조직구조의 개념 119

 제2절 사회복지조직의 목표와 변화 122

  제3절 사회복지기관의 조직화 원리 124

  제4절 조직구조 126

  제5절 사회복지조직의 유형 140


제6장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과 문화 145

  제1절 사회복지조직의 환경 145

  제2절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 158


제7장 사회복지 전달체계 179

  제1절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및 구분 180

  제2절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원칙 185

  제3절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선 전략 189

  제4절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실태 192


PART 03 사회복지관리


제8장 기획과 성과관리 203

  제1절 기획 203

  제2절 성과관리 220


제9장 인적자원관리 230

  제1절 인적자원관리의 이해 231

  제2절 인적자원관리의 과정 235

  제3절 직원역량개발 246

  제4절 리더십 254

  제5절 동기부여 271

  제6절 갈등관리 285

  제7절 조직몰입 290

  제8절 노무관리 294


제10장 재정관리 299

  제1절 재정관리의 개념 299

  제2절 예산 수립과 결산 301

  제3절 회계 317

  제4절 모금의 방법과 전략 324


제11장 서비스 질 관리 336

  제1절 서비스의 개념 및 특성 336

  제2절 서비스 질의 정의와 구성 차원 338

  제3절 서비스 질과 고객관계관리 342

  제4절 서비스 질 관리기법으로서 총체적 품질관리(TQM) 348

  제5절 서비스 질 관리기법으로서 위험관리 354

  제6절 중대재해처벌법과 위험관리(안전보건관리체계) 369


제12장 마케팅과 홍보 377

  제1절 사회복지조직에서 마케팅과 홍보의 필요성 377

  제2절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382

  제3절 사회복지조직의 홍보 403


제13장 문서 및 정보관리 413

  제1절 문서관리 413

  제2절 사회복지시설의 정보관리 423


PART 04 사회복지 평가


제14장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와 시설평가 445

  제1절 평가의 기본 이해 446

  제2절 사회복지시설 평가 453

  제3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461


제15장 사회복지행정의 전망 472


참고문헌 489

찾아보기 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