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 놀이중심 

놀이지도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놀이를 하고 있는 유아를 보면 마치 위대한 과학자, 건축가를 보고 있는 듯하다. 쌓기 놀이에서 블록으로 고속도로를 건설하며 몰입하고 있는 유아, 어떤 역할을 이행하며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는 유아, 그리고 물, 모래를 가지고 붓고, 따르며 다양한 측정 활동을 수행하는 유아들의 모습은 행복함 그 자체이다.

  그동안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놀이를 지도함에 있어서 단원 중심으로 교사가 주도하기도 함과 동시에 유아에게 주도권을 주어 왔고 놀이중심과 활동중심으로 놀이 또는 활동을 운영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의 놀이는 생활과 분리되어 왔으므로 조금 더 일상생활 속에서 유아가 놀이의 중심이 되는 경험이 필요함을 예비교사 교수자로서 인식하고 있었다. 마치 씨실과 날실처럼 유아의 일상생활 속에서 유아와 놀이가 함께 엮어져 나가는 놀이경험이 우리 유아들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해 왔다. 동시에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을 고시한 2019년 개정 누리과정의 시작으로 예비교사들에게 유아중심, 놀이중심의 놀이지도를 가르쳐야 할 사회적 책무가 유아교육과 교수자로서 있었기에 예비교사들이 유아가 되어 놀이를 경험하고 직접 놀이를 생성해 보았다. 가장 적절한 것은 예비교사들이 유치원 현장에서 유아들과 함께 상호작용하며 놀이를 생성하는 것이 좋으나, 그동안 코로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유아교육기관 현장에 접근하기가 여의치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이 책은 우리 대학의 예비교사들이 ‘놀이지도’ 교과 시간에 실제로 교사가 유아가 되어 놀이를 수행한 결과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일부분은 유아의 발달적 측면과 다른 면들이 있을 수 있으나 예비교사들의 놀이지도를 연습하기 위한 시도로서 보아주시면 감사하겠다.

 

CHAPTER 01 영유아 놀이의 이해

  1. 놀이의 정의 13

  2. 놀이의 특성 14

  3. 놀이이론 15

   1) 고전 놀이이론 15

   2) 현대 놀이이론 16


CHAPTER 02 영유아 놀이와 발달

  1. 놀이와 인지발달 22

   1) 가상적 전환(Symbolic Transformation) 22

   2) 보존개념(Conservation) 23

   3) 놀이와 창의성 발달 25

   4) 문제해결력 25

   5) 사물 영속성 개념 26

   6) 지연모방 26

  2. 놀이와 언어발달 27

  3. 놀이와 신체발달 28

  4. 놀이와 정서발달 29

   1) 정서와 행동의 자기조절 30

   2) 정서의 표현 30

  5. 놀이와 사회성 발달 31


CHAPTER 03 놀이의 종류

  1. 영아기의 놀이 : 감각운동기 영아의 놀이 34

   1) 0~1세 34

   2) 2세 35

   3) 2~3세 36

  2. 유아기의 놀이 : 전조작기 유아의 놀이(3~5세) 37

   1) 발달적 특성 37

   2) 놀이 특성 38

   3) 놀이 유형 40

   4) 놀이 영향 요인 45


CHAPTER 04 놀이지도

  1. 놀이지도의 교육적 의의 54

  2. 놀이지도 시 교사의 역할 55

   1) 자유놀이 지도 55

   2) 놀이지도 시 준비 56

  3. 놀이를 촉진하는 상호작용 57

   1) 유아와 놀이할 때와 놀이하지 않아야 할 때 57

   2) 언제 개입하는가? 57

   3) 놀이상황에서 들어가고 나오는 법 58

  4. 놀이개입의 유형 60

   1) 병행놀이 60

   2) 함께놀이하기 60

   3) 놀이교수 61

   4) 놀이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 61

   5) 영아와 놀이 시 상호작용 67

  5. 놀이지도 방법 70

   1) Wolfgang과 Sanders의 교사지도연속모형(TBC) 70

   2) Wood, McMahon과 Cranstoun의 놀이지도 방법 71

   3) Spidell의 놀이지도 방법 74


CHAPTER 05 놀이관찰

  1. 놀이관찰 시작하기 76

   1) 놀이관찰 시작 76

  2. 놀이관찰방법 77

   1) 일화기록법 77

   2) 평정척도법 78

   3) 행동목록법(체크리스트) 80

   4) 사건표집법 81

   5) 시간표집법 83

  3.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놀이관찰 88

   1) 놀이관찰 항목과 기록하기 88

   2) 개정 누리과정 놀이관찰과 기록하기 89


CHAPTER 06 놀이환경과 놀잇감

  1. 실내놀이환경 100

   1) 영아를 위한 실내놀이환경 101

   2) 유아를 위한 실내놀이환경 102

  2. 실외놀이환경 135

   1) 영아를 위한 실외놀이환경 136

   2) 유아를 위한 실외놀이환경 137

  3. 놀잇감 143

   1) 구조성 정도에 따른 놀잇감의 특징 143

   2) 놀잇감의 특징 144

   3) 연령에 따른 놀잇감 146

  4. 놀이와 안전 148

   1) 실내놀이 안전 148

   2) 실외놀이 안전 149

   3) 놀이시설과 놀잇감의 안전 150

   4) 영아기, 걸음마기, 유아기에게 적합한 안전한 놀잇감 선택 151


CHAPTER 07 유아·놀이중심 개정 누리과정의 이해

  1.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특성 156

   1) 유아·놀이중심 유치원 교육과정 156

   2)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 157

   3)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157

   4) 교사의 역할과 놀이기록 158

   5) 놀이와 배움을 유아의 삶 속에서 하나로 엮기 163

  2. 개정 누리과정 고시문 이해하기 164

  3. 개정 누리과정의 인간상, 목적 및 목표 165

   1) 개정 누리과정 인간상 165

   2) 개정 누리과정의 목적과 목표 166

   3) 누리과정의 교육내용 구성 시 중점사항 168

   4) 개정 누리과정의 5개 영역 169


CHAPTER 08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놀이지원과 놀이 의미 읽기

  1. 놀이지원자로서 교사 역할 176

   1)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역할 : 교육적 지원 계획하여 놀이 편성하기 177

   2) 놀이를 통한 배움을 지원하는 역할 : 놀이를 지원하고, 확장시키며 배움 지원하기 183

   3) 놀이와 배움을 기록하고 평가하는 역할 186

   4)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 역할 188

  2. 놀이지원자로서 놀이 의미 이해하기와 의미 읽기 189

   1) 놀이 의미 이해하기 190

   2) 놀이 의미 읽기 190


CHAPTER 09 놀이지도의 실제

  1. 영아 놀이의 실제 208

   1) 0~4개월 208

   2) 4~8개월 221

   3) 8~12개월 235

   4) 12~18개월 246

   5) 18~24개월 257

  2. 유아 놀이의 실제 270


부록 285

참고문헌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