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가족생활교육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우리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가족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가족관계와 생활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가족들이 등장하면서 그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가족의 기능과 구조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결과로 가족구성원들 간의 관계, 역할, 책임, 그리고 의사소통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가족생활교육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가족구성원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분야입니다. 본 저서에서는 가족생활교육의 기본적인 이론적 토대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가족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방법과 실태,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설계와 실행에 이르기까지 가족생활교육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부부교육, 부모교육, 중년기 및 노년기 가족생활교육 등 각 세대에 적합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소개함으로써 가족의 전반적인 기능과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습니다.

  본 저서는 가족생활교육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체계적이고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문가들이나 현장에서 활동하는 실무자들에게도 유용한 참고서가 될 것입니다. 또한 가족구성원들이 서로의 이해와 존중 속에서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고 공동체 내에서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PART 01 가족생활교육의 기초 이해


CHAPTER 01 가족생활교육의 이해 10

  1. 가족생활교육의 개념 10

  2. 가족생활교육의 목적 및 내용 28

  3.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31


CHAPTER 02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이해 34

  1. 가족의 개념 및 다양한 가족유형 34

  2. 가족의 기능 및 가족구조의 변화 41

  3. 우리나라 가족의 변화 및 해외 다양한 가족구조 48


CHAPTER 03 가족생활교육의 다양한 이론적 배경 52

  1. 구조기능주의 이론 54

  2. 갈등주의 이론 58

  3. 여성주의 이론 61

  4. 교환 이론 67

  5. 체계 이론 70

  6. 생태체계 이론 76

  7. 가족생활주기 이론 80

  8. 보웬의 다세대 가족전수 이론 84

  9. 건강가족 이론 91

  10. 다양한 이론의 통합적 접근과 가족생활교육 94


CHAPTER 04 가족생활교육의 실태 96

  1. 가정에서의 가족생활교육 96

  2. 학교에서의 가족생활교육 102

  3. 사회에서의 가족생활교육 127


CHAPTER 05 가족생활교육의 다양한 접근방법 132

  1. 가족생활교육의 지도원리 132

  2. 가족생활교육의 내용 137

  3. 가족생활교육의 다양한 접근방법 142


PART 0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CHAPTER 06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162

  1.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164

  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184

  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206


CHAPTER 07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계획서 작성 215

  1. 프로그램 개발 역량 215

  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설계 223

  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설계의 실제 229


PART 0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실제편


CHAPTER 08 부부교육 프로그램 242

  1. 부부교육 프로그램의 개념 및 중요성 243

  2. 결혼초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247

  3.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251


CHAPTER 09 부모교육 프로그램 258

  1. 부모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259

  2. 부모교육 프로그램 265

  3. 해외 부모교육 프로그램 275


CHAPTER 10 중년기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284

  1. 중년기 가족의 이해 284

  2. 중년기 가족의 관계 재구성 299

  3. 중년기 가족의 안정과 성장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 307


CHAPTER 11 노년기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319

  1. 노년기 가족의 이해 319

  2. 노년기 가족의 관계 재구성 336

  3. 노년기 가족의 안정과 성장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 346


CHAPTER 12 다양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355

  1. 한부모가족 355

  2. 새부모 가족 366

  3. 다문화가족 373

  4. 입양가족 385


CHAPTER 13 가족생활교육의 윤리, 전망과 과제 392

  1. 가족생활교육의 윤리 392

  2. 가족생활교육의 전망 397

  3. 가족생활교육의 미래 지향적 실천과제 402


■참고문헌 407

■찾아보기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