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아이미소] 

유아교직논술 술술 쓰기


  • 구매하기
  • 장바구니
 

글을 쓰는 것은 누구에게나 어렵다.

  논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있다. 괜찮다. 글을 쓰는 것은 누구에게나 어렵다. 나의 생각을 정리해서 적당한 어휘를 선택하고 논리적으로 엮어가기 위해서 많은 생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물며 한번 했던 말도 주워 담기 어렵다고 하는데 글은 눈에 선명하게 보인다. 게다가 말처럼 사라지지도 않아서 더 정확하게 써야 한다. 그러니 글을 쓸 때 긴장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논술시험 준비는 그 긴장을 당연하게 여기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논술문과 논술 시험은 다르다.

  논술 시험은 평가받는 글이다. 그래서 무엇을 써야 하는지가 명확하다. 내가 글감을 찾고 창의적이고 멋진 주장을 하거나 논리를 만들기 위해서 애쓰지 않아도 된다. 그 대신 글 쓰는 능력만큼 출제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읽기 능력도 중요하다. 논술 시험 공부는 문제와 지문에서 출제자가 요구하는 사항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읽을 수 있는 능력, 또한 유아교육을 전공한 사람이라면 당연히 알고 있는 용어를 사용하여 누구라도 동의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글쓰기에는 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시험공부는 무작정 쓰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다.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정리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래야 문제와 지문에서 출제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평가자가 동의하는 글을 쓸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주제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그다음에 써도 늦지 않는다. 처음부터 쓰려고 하며 안 써진다며 답답하다면, 도대체 내 글에서 무엇이 문제인지를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면, 나에게 생각하고 읽을 수 있는 힘이 있는지를 돌아봐야 한다.


논술 시험은 출제자, 평가자, 그리고 수험생의 대화이다.

  논술 시험의 과정은 출제자, 평가자, 그리고 수험생이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의 범주 안에서 서로 고개를 끄덕이며 함께 글로 대화를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논술 점수 만점은 그 대화가 성공적이었다는 의미이다. 성공적인 대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교재를 구성했다.

  목표1. 다양한 전공 주제에 대한 생각을 정리한다.

  목표2. 문제를 읽으면서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한다.

  목표3. 출제자가 제시한 많은 힌트를 잘 활용해서 객관적으로 글을 쓴다.

  목표4. 논술문의 체계에 맞춰서 생각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다.

 

CHAPTER 01 공립 유치원 교직 논술 시험

  01 공립 유치원 교직 논술에 대한 이해 10

  02 공립 유치원 교직 논술 시험 출제경향분석 17

  03 공립 유치원 논술 시험에 요구되는 역량 21


CHAPTER 02 교직 논술 작성 준비

  01 논리적 사고 30

  02 논술문의 구성 및 작성 33

  03 문제 읽기 및 논술문 작성  44


CHAPTER 03 교직 논술 작성 실제

  01 주제별 핵심 내용 정리 56

  02 논술문 작성 시 유의사항  62


CHAPTER 04 주제별 논술문 작성Ⅰ(기출 문제 중심)

  Ⅰ. 역할갈등 73

   •발달에 대한 관점(2025) 74

   •윤리적 딜레마(2020) 75

  Ⅱ. 동료장학 95

  •교사 관심사와 동료장학(2019) 96

   •교사 역할과 멘토링(2019 추시) 97

  Ⅲ. 유치원-가정 연계 121

   •양방향적 의사소통(2021) 122

   •유치원-가정 연계(2018) 123

  Ⅳ. 교육과정 운영 145

   •교육과정 운영 및 교육실습(2024)  146

   •아동권리 존중 교육과정(2023) 147


CHAPTER 05 주제별 논술문 작성Ⅱ(심화 주제)

  Ⅰ. 이음 교육 171

  Ⅱ. 유아 평가 185

  Ⅲ. 성행동 지도 199

  Ⅳ. 식습관 지도 213

  Ⅴ. 미디어 교육 223

  Ⅵ. 다문화 교육 239


부록

  2025학년도~2006학년도 기출문제 및 모범답안 252


■찾아보기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