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문화예술교육개론


  • 구매하기
  • 장바구니
 

  문화와 예술은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감성과 창의력을 키우며, 서로 다른 이들의 마음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문화와 예술이 교육과 결합할 때, 우리는 더욱더 열린 사고와 창의적 해결방식을 지닌 세대를 양성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가능성을 탐구하고, 실천으로 이어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개론』은 문화예술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인 접근 방식을 아우르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학생, 교육자, 정책 입안자뿐만 아니라,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자 하는 모든 독자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제1부 문화예술교육의 이론적 기초


제01장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10

  1. 문화예술교육의 어원 10

  2.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11

  3.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13

  4.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효과 14


제02장 문화예술교육의 범주와 흐름 19

  1.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의의 19

  2. 문화예술교육의 대상 21

  3. 문화예술교육의 법적 기반과 범주 23

  4. 문화예술교육의 특징 26

  5. 문화예술교육 자원 27

  6. 문화예술교육 정책 방향과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 38


제03장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 43

  1. 문화예술교육 공급자(예술가와 예술단체)의 관점 44

  2. 문화예술교육 지원 주체(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점 46

  3. 지역사회 및 지역문화의 관점 48


제04장 문화예술교육의 전략적 기획 58

  1. 전략적 기획의 필요성 58

  2. 일반적인 전략적 기획 과정 60

  3. 전략의 수준 73

  4.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75

  5. 문화예술교육의 수업지도안 80


제05장 문화예술교육의 이론과 철학 89

  1. 주요 이론들 89

  2. 주요 철학자들 98


제06장 문화예술교육의 법과 정책 100

  1.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의 제정 배경 및 취지 100

  2.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의 구성체계 101

  3.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관련 법령 103

  4.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의 내용 106

  5.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에 대한 논의 115


제2부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와 적용


제07장 문화예술교육의 방법론 120

  1. 다양한 교육 방법과 전략 121

  2. 창의적 교수법 122

  3.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실제 143


제08장 미술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146

  1. 미술수업 문화예술교육 146

  2. 평가와 피드백 147


제09장 음악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157

  1. 기초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 158

  2. 문화예술교육의 큰 틀에서 보는 음악교육의 지향적 가치 163

  3. 음악 중심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사례 164


제10장 국악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176

  1. 학교 국악 문화예술교육 177

  2. 국악 문화예술교육 평가와 피드백 182

  3. 국악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과제 192


제11장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예술교육 196

  1. 학교문화예술교육 196

  2. 지역문화예술교육 206


제12장 미래의 문화예술교육 214

  1. 디지털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214

  2. 인공지능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221

  3.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225


부록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제도 소개 229

참고문헌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