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학생맞춤통합지원과 교육복지 실무

이론 실제 서식을 통합한 실천가 가이드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이 책은 그 실천가들을 위한 책이다.

누군가는 초임 실무자로서, 누군가는 오래된 고민을 안고 있는 실천가로서,

또 누군가는 한 명의 학생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막막한 순간에 이 책을 펼칠지도 모른다.

어떤 입장이든, 나는 이 책이 ‘어떻게 일할 것인가’를 넘어 ‘왜 이 일을 하는가’를 함께 생각하게 만들기를 바란다.

이 책에는 사례관리의 흐름과 기준, 그리고 실천가의 관점에서 정리한 서식과 문서를 담았다.

단, 여기에 담긴 양식을 반드시 그대로 사용하라는 뜻은 아니다.

실천가는 각자의 시간과 상황 속에서 지금 필요한 것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기록은 실천을 설계하기 위한 도구이지 실천 그 자체는 아니다.

 

제1장 교육복지와 학생맞춤통합지원체계의 이해 10

  제1절 교육복지의 철학과 흐름 10

  제2절 「학생맞춤통합지원법」 제정 배경과 핵심 요약 13

  제3절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흐름과 재편 가능성 : 통합지원 체계 속, 교육복지 실천의 위치를 다시 묻다 16

  제4절 통합지원체계 개요 : 학교 안팎 협업 구조와 교육복지의 위치 19


제2장 교육복지 실천가의 역할과 전문성 24

  제1절 교육복지사의 역할 변화 : 단순 지원자를 넘어 실천적 전문가로 25

  제2절 교육복지사의 사례관리 정체성과 핵심 기능 27

  제3절 통합지원팀 내 조정자 역할과 위기 대응 29

  제4절 실천가로 성장하기 위한 5가지 핵심역량 32


제3장 사례관리 실무와 단계별 전략 38

  제1절 연결의 시작 : 신호를 읽는 실천 38

  제2절 사정 : 정보가 아닌 통찰 40

  제3절 계획 : 개입을 설계하다 42

  제4절 개입 : 작지만 구체적인 변화의 시작 45

  제5절 평가 : 실천을 돌아보고, 다음을 설계하는 시간 48

  제6절 어려운 결정의 순간들 : 기준이 흔들릴 때, 실천가는 무엇으로 판단할 것인가 52


제4장 학교 안팎을 잇는 교육복지사의 실천 72

  제1절 정보 공유에서 실행 설계로 : 학생맞춤통합지원팀 다시 구성하기 74

  제2절 실천가의 조정 역량 : 학교-가정-기관을 연결하는 법 82

  제3절 위기 개입의 흐름 : 혼자 판단하지 않고, 팀이 반응하게 하려면 89


제5장 실무에 바로 쓰는 서식 도구 110

  제1절 사례 발굴과 사정에 쓰는 양식 111

  제2절 개입 계획과 실행 점검을 위한 문서 116

  제3절 회의록, 안건 구성, 기록의 실천 언어 121

  제4절 행정 문서와 실천 언어 : 협약서, 공문, 동의서 쓰기의 기술 125

  제5절 일정으로 설계하는 사례관리 131

  제6절 실천은 설계에서 시작된다 135

  제7절 학생 사례 종결과 후속 설계 140


제6장 사례관리를 위한 주제별 개입 전략과 면담 설계 148

  제1절 학업중단 위기 : 무단결석과 학교 부적응 149

  제2절 정서⋅행동문제 : 마음의 언어를 발견하는 면담 153

  제3절 성 관련 문제 : 경계를 회복하는 면담 157

  제4절 가정환경 문제 : 말하지 않아도 남는 것들 160

  제5절 안전⋅생활 위기 : 생존의 언어를 존중하는 면담 164

  제6절 학교 내 위험 요소 : 관계 속에서 잃어버린 감각을 회복하는 면담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