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사회복지실천론 제4판은 변화하는 사회복지실천현장과 정책 환경, 그리고 교육현장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고자 새롭게 개정되었다.
최근 우리 사회는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 심화되는 사회․경제적 불평등, 그리고 기후위기와 같은 복합적 사회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사회복지사는 이전보다 더 높은 전문성과 윤리성을 요구받고 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개정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변화된 윤리적 기준과 실천 지침을 보완하였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정체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또한 개정 작업 과정에서 그동안 이 책을 사용해 주신 교수님, 학생, 실무자 여러분의 귀중한 의견을 적극 수렴하였다.
Part 01 사회복지실천의 개관
제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목적 17
1.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17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기능 19
3.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23
제2장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이해 27
1.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27
2. 사회복지실천 대상과 문제 44
3. 사회복지실천의 장 51
4.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현장과 인력 54
제3장 사회정의와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79
1. 인권의 개념 79
2. 인권의 유형화 80
3. 인권과 사회복지 84
4.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87
5.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 91
6.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 98
제4장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성찰적 실천 107
1.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 107
2. 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역할 110
3.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 118
Part 02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지식기반과 관점 129
1. 사회복지실천의 지식기반 129
2. 생태체계관점 134
3. 강점관점 145
4. 다문화관점 151
5. 사회구성주의 관점 157
제6장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169
1. 통합적 접근 169
2. 사례관리실천 174
제7장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계와 의사소통 199
1. 전문적 원조관계의 형성 199
2. 전문적 원조관계의 특성과 원칙 200
3. 관계형성의 장애요인 211
4. 의사소통 215
5. 사회복지실천의 면접 222
Part 03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제8장 사회복지실천과정과 기록 241
1. 기록의 목적 241
2. 기록의 내용 245
3. 기록의 유형 246
제9장 초기단계-접수, 자료수집 257
1. 접수단계 주요 과업 258
2. 자료수집 269
제10장 사정 및 계획 단계 281
1. 사 정 281
2. 계 획 299
제11장 개입단계 309
1. 개인대상 개입 309
2. 가족대상 개입 331
3. 집단대상 개입 341
4. 지역사회 개입 356
제12장 종결단계 367
1. 평 가 367
2. 종 결 380
부록
1. 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389
2. 가족사정기록지 400
■참고문헌 405
■찾아보기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