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사회복지사의 활동 영역은 매우 광범위합니다. 아동보호기관, 병원, 정신보건센터, 학교, 교정시설, 노인복지기관, 지역사회복지관, 군부대, 기업복지, 공공 정책기관 등 실로 다양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는 각기 다른 삶의 조건에 놓인 사람들과 만나고, 그들의 어려움에 개입하며, 변화의 동반자가 됩니다. 이러한 실천의 핵심에는 바로 사회복지실천기술이 있습니다. 실천기술은 단순한 이론이나 지식의 습득을 넘어, 실제 상황에서 무엇을,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실행하는 전문적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 책은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는 학생들과 실천현장에서 일하는 예비ㆍ현직 사회복지사들이 개인,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실천기술을 체계적으로 익히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실천기술은 단지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는 것’이며, 클라이언트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도구이자 전략입니다.
이 교재는 단지 지식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이해와 대응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아울러 사회복지사로서 갖추어야 할 윤리성, 비판적 사고력, 실천적 통찰력을 함께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사회복지사는 단순히 ‘좋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체계적인 개입을 통해 변화와 회복을 이끌어 내는 전문적인 실천가입니다. 클라이언트의 삶에 진정한 변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를 명확히 이해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책은 복잡하고 역동적인 실천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이론을 넘어선 ‘실천의 감각’을 전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단순한 교재를 넘어서, 현장의 언어와 감정이 살아 숨 쉬는 자료가 되기를,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길을 처음 걷는 이들에게 든든한 안내서가 되기를 바랍니다.
PART 0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11
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12
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특징 13
3. 사회복지실천의 다층적 개입과 기술적 접근 16
4. 사회복지실천 지식의 차원 18
5. 사회복지실천기술과 지식, 가치의 관계 25
6.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기반 30
CHAPTER 02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37
1.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이해 37
2. 사회복지사의 자기 인식하기 40
3.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기술 44
PART 0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모델
CHAPTER 03 정신역동모델과 심리사회모델 57
1. 정신역동모델 57
2. 심리사회모델 71
CHAPTER 04 인지행동모델 89
1. 인지행동모델의 개요 89
2. 엘리스의 합리정서행동치료 96
3. 벡의 인지치료 102
4.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기법 106
CHAPTER 05 과제중심모델과 클라이언트중심모델 115
1. 과제중심모델 115
2. 클라이언트중심모델 123
CHAPTER 06 위기개입모델과 동기강화모델 135
1. 위기개입모델 135
2. 동기강화모델 147
CHAPTER 07 해결중심모델 165
1. 해결중심모델 165
PART 03 가족 및 집단 사회복지실천기술
CHAPTER 08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과 사정도구 185
1.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185
2. 가족사정과 사정도구 199
CHAPTER 09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의 방법 213
1. 다세대 가족치료 214
2. 구조적 가족치료 219
3. 전략적 가족치료 225
4. 경험적 가족치료 232
CHAPTER 10 집단대상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241
1. 집단의 이해 241
2. 집단지도력과 집단역동성 246
3. 집단사회복지실천기술 모델 250
CHAPTER 11 집단대상 사회복지실천의 방법 261
1. 집단발달단계 262
2.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사정도구 281
3.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치료적 효과 286
PART 04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기록 및 평가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기록 295
1. 기록의 필요성과 목적 295
2. 사회복지실천과정별 기록의 내용 299
3. 기록의 유형 302
CHAPTER 13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평가 321
1. 평가의 개념과 필요성 322
2. 평가의 과정 및 유형 324
3. 단일사례설계 331
4. 단일사례설계의 한계 341
5. 사회복지 평가의 윤리적 고려사항 342
■참고문헌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