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지역사회복지론

25년 9월 4일 발간예정입니다.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오늘날 지역사회복지를 둘러싼 환경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습니다. 지역기반 복지 생태계의 재편을 강조하면서, 지역주도형 복지체계 구축이 주요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역복지 전달체계의 통합과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의 본격화를 통해 시설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로의 전환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지역 주민의 권한을 강화하고, 지방정부의 복지 책임성과 재량권을 확대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의 실질적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적 흐름은 학문과 실천현장에서 지역사회복지를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으며, 본 교재는 이러한 맥락을 반영하여 구성되었습니다.

 본 교재는 단순히 한 학기의 이론 강의를 위한 교재에 머물고자 하지 않습니다. 이 교재는 변화하는 복지 환경 속에서 지역사회복지를 새롭게 성찰하고, 실천적 대안을 함께 고민하는 학습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랍니다. 본 교재를 통해 사회복지학 전공자는 이론과 실천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지역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과 실천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 실천가 및 공공영역 전문가는 정책 동향과 다양한 지역 사례를 통해 실무 기획 및 평가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기대합니다.

 

Chapter 0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문제 11

  1. 지역사회의 개념 13

  2. 지역사회의 기능 17

  3. 지역사회 기능의 비교척도와 유형 19

  4. 지역사회를 바라보는 이론적 관점 22

  5. 지역사회의 현실과 좋은 지역사회 26


Chapter 02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가치 33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35

  2. 지역사회복지의 접근방법 37

  3. 지역사회복지의 이념과 가치 40


Chapter 03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49

  1.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51

  2.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60

  3.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66

  4. 일본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72


Chapter 04 지역사회복지의 기초 이론 79

  1.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이론 82

  2. 구조기능론과 힘(권력)의존이론 87

  3. 사회교환이론과 사회구성론 91

  4. 갈등이론 96

  5. 사회네트워크이론 99

  6. 엘리트주의이론과 다원주의이론 101

  7. 사회자본이론 105


Chapter 05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109

  1.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이해와 분류 112

  2. 전통적 실천모델 – 로스만의 3가지 접근 114

  3. 현대적 실천모델 – 웨일과 갬블의 8가지 접근 119

  4. 비판적·포용적 실천모델 – 포플의 이론적 틀 124

  5. 현대 지역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적용 방식 130


Chapter 06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과정 133

  1. 실천원칙의 개념과 기초 구조 136

  2. 실천원칙의 핵심 유형 139

  3. 실천원칙의 적용 전략과 실제 146

  4. 실천원칙 간 갈등과 조정의 실제 150

  5. 실천가 학습 정리와 실천 계획 안내 152


Chapter 07 지역사회복지 실천기술Ⅰ 155

  1. 지역사회사정 기술 157

  2. 지역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 평가 159

  3.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술 161

  4. 자원동원·개발 기술 167


Chapter 08 지역사회복지 실천기술Ⅱ 171

  1. 옹호대변기술 173

  2. 역량강화 기술 176

  3. 조직화 기술 181

  4. 지역사회 교육 기술 187

  5. 협상(갈등조정) 기술 189


Chapter 09 지역사회복지 추진기관 193

  1. 지역사회복지관 195

  2. 사회복지협의회 205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14

  4.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25

  5. 자원봉사센터 233


Chapter 10 지역사회복지의 특수 실천분야 241

  1. 사회적경제 243

  2. 사회적기업 251

  3. 사회적협동조합 256

  4. 자활기업 260

  5. 마을기업 264


Chapter 11 지방자치제도와 지역사회복지 271

  1. 지방자치제도와 지역사회복지 273

  2. 지방자치와 주민참여 280

  3. 지방자치와 지역사회복지 전달체계 288

  4. 지역사회보장계획과 마을만들기 : 계획과 실천의 통합 296


Chapter 12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이해 303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개념과 의의 305

  2.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특성과 유형 308

  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요 내용 317

  4.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운영 현황 321

  5.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평가와 과제 325


Chapter 13 지역사회복지의 동향과 발전 과제 327

  1. 지역사회 환경의 변화 동향 329

  2. 외국의 지역사회복지 동향 331

  3.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의 과제 334


참고문헌 339

찾아보기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