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잘 가르치기 위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제 1 부 아동행동 관찰방법

 

제 1 장 행동관찰의 기초

     1.관찰의 의의 및 목적

        1)아동행도의 이해

        2)아동발달 평가 

        3)학습과정 평가

        4)다중지능 평가

     2.아동발달 관찰

        1)신체발달

        2)사회 . 정서발달

        3)인지발달

        4)언어발달

     3.평가를 위한 관찰방법의 장단점

     4.관찰 시 지켜야 할 지침

        1)관찰현장 결정하기

        2)관찰방문 시 관찰자의 행동

        3)관찰에서의 윤리

        4)개인적 편견 지양

 

제 2 장 행동관찰 유형

     1.일화기록(Anecdotal Record)

     2.연속기록(Running Record)

     3.표본기록(Specimen Record)

     4.시간표집법(Time Sampling)

     5.사건표집법(Event Sampling)

        1)ABC(서술식) 사건표집법

        2)빈도 사건표집법

 

제 3 장 행동목록법(Checklists)

     1.행동목록법의 목적

     2.대상에 따른 행동목록법

        1)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행동목록법

        2)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행동목록법

     3.행동목록 계획과 적용

        1)발달의 이해를 위한 가이드로서의 행동목록

        2)교과과정 발달을 위한 가이드로서의 행동목록

        3)학습과 발달평가를 위한 가이드로서의 행동목록

     4.행동목록 평가

        1)관찰에 의한 행동목록 평가

        2)학습활동으로 행동목록 평가

        3)구체적 테스트로 행동목록 평가

     5.행동목록 계획의 단계

        1)포함할 기술 확인

        2)목표행동의 개별 리스트 작성

        3)행동목록의 순차적 조직화

        4)기록보존

     6.행동목롣의 장점과 단점

        1)행동목록의 장점

        2)행동목록의 단점

 

제 4 장 평정척도(Rating Scales)

     1.평정척도의 유형

        1)기술평정척도

        2)숫자평정척도

        3)도식평정척도

     2.평정척도의 사용

     3.평정척도의 장점과 단점

        1)평정척도의 장점

        2)평정척도의 단점

 

제 5 장 포트폴리오 평가

     1.포트폴리오의 목적

        1)평가와 사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2)자기 평가와 반영을 위한 포트폴리오

        3)진행보고를 위한 포트폴리오

     2.포트폴리오 구성

        1)포트폴리오의 유형

        2)발달적 접근에 따른 포트폴리오 구성

     3.포트폴리오 설정

        1)시작단계

        2)작업 수집과 구성

        3)포트폴리오 평가분석

        4)포트폴리오를 위한 전략

     4.포트폴리오의 장점 및 단점

 

제 6 장 관찰대상에 따른 관찰

     1.아동관찰

     2.교사관찰

     3.유아교육기관 관찰

     4.환경행동적 평가

        1)환경행동적 평가의 필요성과 정의

        2)환경행동적 평가방법

        3)환경행동적 평가의 관찰범주

        4)취학 전 통합학급에서의 환경행동적 평가도구 구성의 예

 

제 2 부 아동행동 관찰의 주요 내용 : 문제행동의 이해와 중재

 

제 7 장 아동 문제행동의 정의

     1.문제행동의 출현

     2.문제행동은 사라지는가?

     3.공격성

        1)공격성 이론 및 유형

        2)공격성의 특징

        3)공격성의 원인

 

제 8 장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생물학적 유발요인

        1)유전인자

        2)기 질

        3)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4)임신과 출산의 합병증

        5)임신 중 약물남용

        6)영양결핍

        7)언어와 인지장애

        8)성 별

 

제 9 장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전략

     1.문제해결 중재를 위한 정보

     2.강화와 벌

        1)긍정적 강화

        2)칭찬과 격려

        3)문제행동을 일으키는 긍정적 강화

        4)자연적 결과와 논리적 결과

        5)타임아웃

        6)벌

 

제 10 장 문제행동에 대한 최근 접근 : 긍정적 행동지원

     1.긍정적 행동지원의 정의 및 특성

        1)정 의

        2)특 성

     2.긍정적 행동지원의 이론적 근거

     3.긍정적 행동지원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점

 

제 11 장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제

     1.긍정적 행동지원의 공동적인 방향과 목적 설절

     2.문제행동 관련 자료수집을 통한 기능진단

        1)부모면담

        2)직접관찰

     3.문제행동의 기능진단에 의거한 가설 세우기

     4.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 시행

     5.긍정적 행동지원 실핼에 대한 평가

 

제 3 부 아동행동 연구방법

 

제 12 장 행동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초

     1.행동연구의 유형

     2.교육현장 행동연구에 유용한 단일대상 설계

        1)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기능적 관계

        2)신뢰도

        3)타당도

     3.행동연구 방법의 유형

        1)A-B 설계

        2)반전설계

        3)중다기초선 설계

 

제 13 장 행동연구 방법의 실제

     1.서 론

     2.연구방법

     3.연구결과

        1)그래프 작성하기

        2)그래프의 시각적 분석

     4.논의 및 제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