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아동건강 및 안전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제 1 부 영유아의 건강관리

 

제 1 장 건강교육의 개념

     1. 건강교육의 필요성

     2. 건강교육의 목적과 의의

     3. 영유아의 건강에 여향을 미치는 요인

        1)유전(Heredity)

        2)환경(Environment)

     4. 표준보육과정과 영유아의 건강 . 안전

        1)기본생활영역의 성격

        2)기본생활영역의 목표

        3)연령별 목표와 내용

        4)기본생활영역의 교사지침

     5. 유아교육과정과 유아의 건강 . 안전

        1)건강생활영역의 성격

        2)건강생활영역의 목표

        3)건강생활영역의 교사지침

        4)지도상의 유의점

 

제 2 장 건강한 생활습관

     1. 청결과 위생

        1)목 욕

        2)청결습관

        3)배설습관

        4)의복관리

     2. 수면과 휴식

        1)수 면

        2)휴 식

     3. 치아관리

     4. 시력관리

        1)조 명

        2)시력관리 

        3)시력검사

 

제 3 장 영유아의 질병과 간호

     1. 영유아 건강검진

        1)검진시기

        2)시행시기

        3)건강검진표 발송 및 수령(국민건강보험공단)

        4)건강검진(검진기관)

     2. 질병아동의 건강유지

        1)안 정

        2)일상활동

        3)정신적 간호

        4)영양공급

        5)배변조절

        6)투 약

        7)눈, 귀, 코의 간호

        8)손, 발의 간호

        9)일광욕

     3. 영유아의 질병관리

        1)감기(common cold)

        2)중이염(otitis media)

        3)폐렴(pneumonia)

        4)편도선염(tonsillitis)

        5)기관지염(bronchitis)

        6)뇌막염(meningitis)

        7)천식(asthma)

        8)충치(dental caries)

        9)충수염(맹장염)(appendicitis)

      4. 영유아의 전염병 관리

        1)유아교육기관의 전염병 통제조치

        2)예방접종 일정

        3)영유아기의 전염병 관리

     5. 영유아기에 흔한 건강문제

        1)야뇨증

        2)악몽(Night mare)

        3)야경증(night terror)

        4)말더듬(Stuttering)

        5)분노발작(Temper Tantrum)

        6)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

        7)틱(Tic)

        8)스트레스(Stress)

        9)과잉행동(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제 4 장 건강한 식생활 습관

     1. 영양의 중요성

        1)탄수화물

        2)단백질

        3)지 방

        4)무기질

        5)비타민

        6)물

     2. 영유아의 영양관리

        1)영아기의 영양관리

        2)유아기의 영양관리

     3. 영유아 식생활지도

        1)식습관 지도

        2)편식지도

        3)급식지도

        4)부모와의 연계지도

 

제 2 부 영유아의 안전관리

 

제 5 장 영유아와 안전사고

     1. 영유아 안전사고의 실태현황

     2. 영유아의 안전사고 특성의 이해

        1)영유아의 발달 특성

        2)영유아기의 안전 저해 특성

     3. 영유아 안전의 중요성

     4. 연령별 사고유형과 안전수칙

        1)1~4개월

        2)5~8개월

        3)9~12개월

        4)12~18개월

        5)19~36개월

        6)만 3세~만 5세

 

제 6 장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관리

     1. 어린이 안전교육 실태

        1)어린이 안전교육 법적 규정

        2)평가인증과 안전관리

        3)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계획

        4)안전교육 계획 시의 중점사항

     2. 영유아의 놀이환경과 안전관리

        1)가정의 시설 . 설비와 영유아 안전

        2)유아교육기관 시설 . 설비와 영유아 안전관리

        3)실내외 시설 안전점검

     3. 놀잇감과 안전

        1)놀잇감과 놀이기구의 선택

        2)놀잇감과 놀이기구의 관리

        3)실내놀이 영역의 안전수칙

     4. 유아교육기관의 안전사고

        1)안전사고 예방대책

        2)안전사고 처리절차

     5. 영유아의 응급처치

        1)응급처치의 필요성

        2)응급처치의 기본 원칙

        3)응급조치 요령

 

제 7 장 현장견학 안전

     1. 안전한 현장견학 방법

        1)현장견학 장소의 사전답사

        2)현장견학 준비

        3)현장견학 실시

     2. 현장견학 후 활동

        1)교사의 활동

        2)유아의 활동

     3. 현장견학의 평가

        1)교사의 평가

        2)유아의 평가

        3)일일교사(자원봉사)의 평가

    

제 8 장 교통 안전

     1. 안전한 보행지도

        1)우측통행으로 바뀐 이유

        2)우측보행 실시시점

        3) 이제는 우측보행의 시대

        4)우측보행 교육

     2. 교통안전 지도의 필요성 및 방향

     3. 유아의 안전에 대한 발달 특성

     4. 유아기 교통사고의 유형과 예방대책

        1)갑자기 차도로 뛰어드는 경우

        2)주.정차된 차량 사이에서 뛰어 횡단하는 경우

        3)녹색신호가 들어오자 급하게 뛰어 횡단하는 경우

        4)뛰어서 무단횡단하는 경우

        5)도로상에서 노는 경우

        6)보호자와 동반 시 사고

        7)자전거나 스케이트보드를 탈 때

     5. 유아 교통안전지도

        1)버스를 이용할 때

        2)승용차를 이용할 때

        3) 열차와 지하철을 이용할 때

     6. 유아의 교통사고 시 대처방법

        1)다른 차량통제

        2)119 구급차 부르기

        3) 사고를 당한 유아 안심시키기

        4)가벼운 부상이라도 반드시 의사진단 필수

        5)사고자의 주소나 성명을 확인

        6)경찰관(112)에게 신고

     7. 유아 교통안전면허증 제도

        1)구체적 실시목표

        2)실시방법

        3) 유아가 알아야 할 교통상식

        4)어린이가 알아야 할 신호등과 교통안전 표지

        5)교통안전면허증 관리

     8. 연간 교통안전교육

        1)연간 교통안전계획

        2)재미있는 교통안전교육 활동들

        3) 연간 교통안전교육의 평가

 

제 9 장 화재안전

     1. 화재안전의 개념과 필요성

     2. 화재의 기본 원리 이해

        1)불의 특성

        2)화재의 종류

     3. 화재예방

        1)전기화재

        2)가스화재

        3) 유류화재

        4)불티화재

        5)유아로 인한 화재

     4. 화재안전교육

        1)교사의 자세

        2)화재 시 대피요령

        3) 소방훈련 요령

        4)화재신고 요령

        5)소화기 사용요령

 

제 10 장 아동학대 및 유괴에 대한 안전

     1. 영유아 학대의 개념

        1)신체적 학대

        2)성적 학대(성폭력)

        3) 정서적 학대

        4)방 임

     2. 성폭력 예방

        1)성폭력의 정의

        2)성폭력의 발생과정

        3)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

        4)성범죄 실태

        5)유아 성교육

        6)사회구성원으로서의 유아 성폭력사고 예방

        7)성폭력의 위기대처방법

        8)성폭력의 피해결과

        9)성폭력 사고의 해결을 위한 법적 절차

     3. 학대받은 아동의 치료와 예방

        1)학대하는 부모

        2)학대받는 아동

        3) 학대받은 아동을 위한 복지서비스

     4. 아동학대에 대한 우리나라의 과제

        1)지역사회에서의 각종 서비스

        2)유아교육시설의 이용

        3) 가정문제의 해결

        4)사회대중교육

        5)아동학대 신고

     5. 유괴 및 미아 사고

        1)미아발생 현황

        2)미아사고 예방안전수칙

        3) 미아가 된 유아의 대처법

        4)유아가 실종된 후 48시간 이내에 해야 할 일들

        5)미아를 발견했을 때 해야 할 일

        6)실종아동 찾기 도움터

 

제 11 장 재난대비 안전

     1. 재난대비 안전의 개념 및 필요성

        1)재난의 개념

        2)재난대비 안전교육의 필요성

     2. 재난관리의 실태 및 유형

        1)지 진

        2)황 사

        3) 홍수와 태풍

        4)폭 염

     3. 재난 안전교육 내용 및 방법

        1)재난예방수칙

        2)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재난 안전교육 방법

 

제 12 장 약물 오 . 남용 안전

     1. 약물 오.남용의 개념 및 필요성

     2. 약물 오.남용의 실태 및 유형

        1)카페인

        2)알코올(술)

        3)니코틴(담배)

        4)세 제

        5)부식제

        6)식물성 정유, 방향유

        7)배터리

        8)불소세제

        9)페인트

        10)일산화탄소

     3. 약물 오 . 남용 예방과 응급조치

        1)약물사고 예방

        2)응급처치

     4. 약물 오 . 남용 안전교육

        1)어린이 약물 오 . 남용 안전교육의 방법

        2)어린이 약물 오 . 남용 예방교육의 내용

 

제 13 장 스포츠 안전

     1. 스포츠 안전의 개념 및 필요성

     2. 스포츠의 유형 및 안전교육의 내용

        1)자전거

        2)수영 및 물놀이

        3)스케이트, 썰매

        4)인라인 스케이트, 롤러 블레이드

 

제 14 장 동. 식물 안전

     1. 동 . 식물 안전의 개념 및 필요성

     2. 동 . 식물에 대한 안전사고의 실태 및 안전교육

        1)동물에 대한 안전사고 및 예방

        2)곤충에 대한 안전사고 및 예방

        3)식물에 대한 안전사고 및 예방

 

제 15 장 식품안전

     1. 식품안전의 개념 및 필요성

        1)식품안전의 필요성

        2)식품위해의 요소

     2. 식품안전의 실태 및 유형

        1)식중독

        2)식품 첨가물로 인한 부작용

        3)농약 잔유물로 인한 부작용

     3.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

        1)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Green Food Zone)

        2)정서저해 식품 등의 판매 금지

        3)광고의 제한 및 금지

        4)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를 위한 교육홍보

        5)품질인증 및 어린이 건강친화기업 지정제도 시행

     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식품안전교육

        1)안전한 식품 섭취를 위한 5가지 수칙

        2)영유아를 위한 식품안전교육

        3)안전교육의 실제

 

제 16 장 미디어 안전

     1.TV안전지도

        1)TV 중독증

        2)TV 시청방법

        3)TV 시청 지도지침

     2. 컴퓨터와 인터넷 안전지도

        1)컴퓨터와 인터넷의 안전지도 필요성

        2)컴퓨터의 안전환경

        3)유아교육기관의 컴퓨터 영역

        4)인터넷의 안전환경

     3. 유아의 컴퓨터게임 과몰입 예방교육

        1)컴퓨터게임 과몰입이란?

        2)컴퓨터게임 과몰입 예방교육의 필요성

        3)유아가 즐기는 컴퓨터게임의 장르

        4)프로그램의 내용

     4. 컴퓨터교육에 대한 논의

        1)컴퓨터교육을 몇 세부터 어떻게 전개해야 하는가?

        2)유아가 실제적으로 게임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3)컴퓨터게임보다 더 재미있는 놀이는?

     5.앞으로의 컴퓨터교육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