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가족생활교육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현대사회의 급변하는 변화 속에서 인간들은 자신이 속한 가족 내에서 가족구성원의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게 되며 그 속에서 개별적인 자신감과 방향감각을 익혀나가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현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가정 내 교육은 일정한 가치기준이 모호하고 혼란스러운 상태에서 그 역할을 상실하고 있으며 모호한 경향을 띠고 있다.
  특히 현대사회는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가족구성원들의 가치관 변화에 따라 가족의 구조를 비롯하여 가족의 형태 및 방식에 있어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는 전통사회부터 내려온 가족생활교육의 뿌리가 흔들리고 있으며 서구문화를 받아들이고 있는 젊은 세대와의 세대 간 가치관 차이에 의해 전통사회에서의 가족생활교육과 현대사회에서의 가족생활교육 사이의 충돌이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의 충돌 속에서도 변함없는 가족의 공통된 가치관은 가족공동체의 행복이며 가족구성원 개개인의 진정한 행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각 개인이 행복한 공동체를 이루어 가기 위해서는 공동체 생활을 위한 지식 및 기술을 비롯한 합리적이고 건강한 가정생활을 만들어 갈 수 있는 바람직한 지침서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가족생활은 개개인의 발달뿐 아니라 가족단위로서의 발달까지 각 단계마다 성취해야 할 중요한 과업과 목표가 있는데 그에 맞는 과업달성을 위해서는 바람직한 교육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혼란스러운 가치관의 대립이 팽배한 현대 가정에서 발생하는 대립 및 갈등의 문제들을 지금까지의 방법으로 안일하게 대처하게 된다면 더욱 다양한 가족문제가 발생 ․ 확산되어 가족만의 문제를 넘어 중대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가족구성원 간에 이해를 돕고 문제 발생 전 예방 차원의 다양한 교육이 보편화될 수 있도록 고민하는 것은 시대적인 흐름에 맞춰나가는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교과에서는 전반적인 가족생활교육의 개념을 비롯하여, 실질적으로 실천현장에서 교육되고 있는 가족생활교육의 프로그램과 각 영역별 구체적인 교육방법을 소개하였다. 행복한 가정을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실천현장의 전문가들뿐 아니라 전문적인 건강가정사가 되기 위하여 공부하는 학습자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실천학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을 비롯하여 전문적인 학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집필하게 되었다.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지만 이러한 기회를 기초 삼아 더욱 열심히 연구함으로써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나갈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할 것임을 약속 드리며 본 교과의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자 한다.
  본 교과는 모두 Part 4로 구성되어 있다.
  Part 1, 가족생활교육의 기초 부분에서는 가족생활교육의 이해를 돕기 위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즉, 가족생활교육의 정의 및 필요성과 목적을 소개하였으며, 가족생활교육의 이론에서는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생활교육의 다양한 기초이론들을 살펴보았다.
  Part 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부분에서는 가족생활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방법론 및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 및 평가 등을 제시하였다.
  Part 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실제 부분에서는 가족생활교육의 실제적인 다양한 프로그램을 영역별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즉, 예비부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중년기 부부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과 노년기를 준비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마지막으로 이혼 및 재혼 부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Part 4,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실시 및 평가 부분에서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계획안 작성에서부터 프로포절 방법과 실천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실시방법을 소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의 평가 및 성과 보고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2019년
저자 일동

 

PART 01 가족생활교육의 기초 11


CHAPTER 01 가족생활교육의 이해 13

   1. 가족생활교육의 정의 13
   2.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15
   3. 가족생활교육의 목적 18


CHAPTER 02 가족생활교육의 이론 21

제1절 가족에 대한 이해 21
   1. 가족의 개념 및 유형 22
   2. 가족의 기능과 변화 25
   3. 우리나라 가족의 변화 29
제2절 가족생활교육의 이론적 접근 36
   1. 구조기능주의 이론 38
   2. 갈등주의 이론 42
   3. 여성주의 이론 45
   4. 교환이론 51
   5. 체계이론 55
   6. 생태체계이론 60
   7. 가족생활주기이론 64
   8. 건강가족관점 69
   9. 이론의 통합적 접근과 가족생활교육 73


PART 0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75


CHAPTER 0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77

제1절 문제분석 78
   1. 문제분석의 개념 78
   2. 문제분석의 방법 80
   3. 욕구파악을 위한 절차 84
제2절 대상자 선정 87
제3절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설정 90
   1. 목적 세우기 91
   2. 목표 세우기 91


CHAPTER 04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99

제1절 프로그램의 실행 99
   1. 이론 적용 99
   2. 이론 적용방법 100
   3. 프로그램의 계획 세우기 101
   4. 프로그램 담당인력 106
제2절 프로그램의 평가 109
   1. 산술적 계산 110
   2. 기능수준 척도 111
   3. 클라이언트 만족도 112
   4. 표준화된 측정도구 113


PART 0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실제 117


CHAPTER 05 부부교육 프로그램 119

제1절 결혼초기 부부교육 프로그램 120
   1. 결혼초기 부부관계의 특징 121
   2. 결혼초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122
제2절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130
   1. 부부관계 향상의 개념 131
   2. 부부교육의 중요성 132
   3.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133
   4.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기법 134


CHAPTER 06 부모교육 프로그램 141

제1절 부모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142
   1. 부모 됨(Parenthood)의 의미 142
   2. 부모의 역할 143
   3. 부모교육의 정의 144
   4. 부모교육의 필요성 146
제2절 부모교육 프로그램 147
   1.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147
   2. 청소년기 부모교육 프로그램 149


CHAPTER 07 중년기 교육 프로그램 157

제1절 중년기의 정의 및 범위 158
   1. 중년기의 정의 158
   2. 중년기의 범위 158
제2절 중년기의 특성 160
   1. 중년기의 생물학적 특성 160
   2. 중년기의 인지 심리적 특성 161
   3. 중년기의 사회적 특성 163
제3절 중년기의 발달과업 및 중년기 부부교육 프로그램 164
   1. 중년기 가족의 발달과업 164
   2. 중년기 여성의 발달과업 167
   3. 중년기 남성의 발달과업 168
   4. 중년기의 위기 및 중년기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169
   5. 중년남성 대상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172
   6. 중년기 부부교육 프로그램 소개 174


CHAPTER 08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 177

제1절 고령화와 노인 178
   1. 고령화사회 178
   2. 노인의 이해 181
   3. 노인의 특성 182
   4. 노년기의 건강생활 189
   5. 노인의 소비생활 199
   6. 노년기와 죽음 202
제2절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 203
   1. 노년기 가족생활교육의 배경 203
   2. 노년기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소개 204


CHAPTER 09 이혼가족 및 재혼가족 교육 프로그램 207

제1절 이혼 및 이혼가족에 대한 이해 208
   1. 이혼 및 이혼가족의 개념 208
   2. 우리나라 혼인 및 이혼 관련 현황 및 실태 208
제2절 이혼의 증가 원인 및 최근 추세 218
   1. 인구학적 요인 218
   2. 사회 환경적 변화요인 218
   3. 가치관의 변화 219
제3절 이혼의 결과 221
   1. 심리 사회적 문제 221
   2. 경제적 문제 223
   3. 자녀양육의 문제 224
   4. 주거문제 224
제4절 이혼가족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224
   1. 이혼예방 및 이혼과정 지원 프로그램 225
   2. 이혼 전후 상담 프로그램 227
   3. 한부모가족에 대한 프로그램 230
제5절 재혼 및 재혼가족에 대한 이해 235
   1. 재혼 및 재혼가족의 개념 235
   2. 재혼가족의 현황 및 유형 235
제6절 재혼가족의 발달단계 및 발달과업 237
   1. 재혼가족의 발달단계 237
   2. 재혼가족의 발달과업 및 특징 240
제7절 재혼가족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246
   1. 재혼가족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246
   2. 재혼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247


PART 04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실시 및 평가 249


CHAPTER 10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 251

제1절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설계 252
   1. 제1단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기본 방향 설정 252
   2. 제2단계 욕구사정 252
   3. 제3단계 : 프로그램 가설(이론적 배경) 253
   4. 제4단계 대상자 선정 254
   5. 제5단계 프로그램의 세부목표 설정
   6. 제6단계 내용의 구체화 255
   7. 제7단계 프로그램 실행 256
   8. 제8단계 프로그램 평가 256
제2절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작성 256
   1. 예비부부를 위한 프로그램 258
   2. 아버지를 위한 부모 역할 프로그램 259
   3. 다문화가정의 가족통합교육 프로그램 260


CHAPTER 11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실시방법 263

제1절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활용지침 263
   1. 사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 263
   2. 활용방법 264
제2절 가족생활교육 세부 지도안 265
   1. 예비부부를 위한 프로그램 265
   2. 아버지를 위한 부모 역할 프로그램 269
   3. 다문화가정의 가족통합교육 프로그램 276


CHAPTER 12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평가 및 성과 보고 295

제1절 프로그램 평가 296
   1. 예비부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296
   2. 아버지를 위한 부모 역할 프로그램 297
   3. 다문화가정의 가족통합교육 프로그램 299
제2절 성과보고 300


■ 참고문헌 302
■ 찾아보기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