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우리가 모두 벚꽃이 아닌 마당에, 다른 무엇을 원망할 필요가 없다. 그저 아름다울 수 있다는 그것으로 족하다. 백두산도 산일 뿐, 그렇다고 해서 다른 산이 존재 의미를 잃는 것은 아니다.
리천(2015). “일, 일하다”.
저자는 청소년, 학부모 그리고 교사 등을 대상으로 진로에 대한 강연을 할 때 맨 먼저 이 말을 꺼낸다.
“불확실성이 높아진 시대에 진로선택에 있어 정답(正答)은 없으며, 오직 신념(信念)에 기초한 개인의 주체적 선택만 있을 뿐이다.”
위의 문구는 20여 년 전 대학원 시절부터 지금까지 청소년의 진로를 주제로 논문을 쓰고 공부를 하며 나름대로 얻은 하나의 결론이다. 이러한 결론을 내리게 된 배경에는 진로와 관련하여 수많은 학자들의 이론과 논문을 접하면서 그들의 주장들이 나름 일리가 있고 타당하지만, 그들(청소년들)의 미래까지는 예측할 수 없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즉, 진로상담이론은 진로선택과 관련하여 청소년들이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선택 이후의 삶은 미지수의 상태로, 예측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변수들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론적 도움은 어디까지나 진로선택을 하는 그 시점까지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중요한 것은 본인이 중심을 잡고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파악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면서, 필요에 따라 주변으로부터 조언을 구하고, 정보를 수집하면서 진로를 개발(develop)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진로상담이론들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진로 방향을 설정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하나의 지침서이자 안내서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현대사회의 청소년들은 격동(激動)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또한 그들은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기술적 진보가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즉,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가 일상화되고,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인간의 행동과 사고까지 예측하고자 하는, 일명 4차 산업혁명이라고 하는 시대적 소용돌이의 한가운데를 지나고 있다. 이전에 촉망받던 직업이 사라지고 생각지도 못한 직업이 인기를 끄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그러하기에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는 일은 너무나 힘든 과업이자, 가혹한 숙제이다. 여러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가장 큰 고민은 ‘진로’와 관련된 문제이고, 도움을 원하는 분야도 진로상담 및 진로체험 등과 같이 진로 선택을 위한 내용들이다. 어떻게 보면 진로의 문제는 청소년들에게 있어 시작이자 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2013년 청소년의 진로를 주제로 첫 책을 출판한 이후 7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대학 및 대학원에서 그 책으로 강의를 하는 내내 왠지 모를 창피함과 부족함을 떨쳐버릴 수가 없었다. 기회가 되면 청소년의 진로 문제와 관련하여 새롭게 책을 집필해야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던 차에 공동체 출판사와 출판 계약을 맺게 되었고, 계약을 맺은 지 2년 가까운 시간이 흐른 후에야 출판의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7년 전 출판한 내용을 토대로 청소년들의 진로와 관련된 가장 최근의 통계자료와 진로 선택과 관련하여 변화한 시대적⋅사회적 환경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슈퍼의 진로발달이론, 홀랜드의 진로흥미이론, 크롬볼츠의 우연성이론 등과 같이 비교적 널리 알려진 이론들과 더불어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사빅카스의 진로구축이론, 진로 카오스 이론 등을 반영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이 부족한 상태로 출판을 하게 되었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청소년의 진로문제에 대해 공부하는 학생들과 청소년 활동 및 상담현장에서 활동하는 분들에게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이 지면을 빌려 이 책의 원고를 꼼꼼하게 교정해 준 대학원 학생 조서영, 이현진, 차수영, 이영희, 현다경 선생님 그리고 윤지온 박사님께 고마움을 전한다. 서문의 내용 등을 청소년의 눈높이에서 살펴봐 준 딸 윤진이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원고 초안단계에서 최종 편집단계까지 원고 내용을 세심하게 살피고 편집해 주신 공동체 출판사 가족 여러분들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작고하신 신영복 선생님의 「떨리는 지남철」을 인용하는 것으로 서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서두에서 언급한 것처럼, 청소년들은 고민하고 갈등하면서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게 된다. 마치 떨리는 나침반(지남철)처럼. 떨리는 것이 정상이고, 그 떨림은 인생을 살아가는 내내 멈추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방향을 찾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인생이라는 바다를 항해하고 있는 동안에는 이 책을 쓰고 있는 저자조차도 하나의 떨리는 나침반일지 모른다.
북극을 가리키는 지남철은 무엇이 두려운지 항상 바늘 끝을 떨고 있습니다. 여윈 바늘 끝이 떨고 있는 한 바늘이 가리키는 방향을 믿어도 좋습니다. 만약 그 바늘 끝이 전율을 멈추고 어느 한쪽에 고정될 때 우리는 그것을 버려야 합니다. 이미 지남철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신영복(2014). “지남철”.
2020년 1월 경자(庚子)년 첫 달
대구한의대 삼성캠퍼스 연구실에서
제1장 진로의 이해
1. 진로의 개념 12
2. 진로의 구성요소 15
3. 청소년과 진로발달 16
4. 학교급별 진로발달과제 19
5. 청소년 진로발달 영향요인 23
6. 청소년의 진로선택단계 34
7. 청소년과 진로미결정 37
제2장 청소년과 직업의 이해
1. 직업의 개념 44
2. 청소년과 직업의식 47
3. 청소년과 직업가치관 57
4. 청소년과 직업윤리 62
5. 4차 산업혁명과 직업세계 64
6. 기업가정신(창업마인드)의 이해 82
제3장 청소년과 진로상담의 이해
1. 진로상담의 정의 90
2. 진로상담의 역사 92
3. 진로상담의 특징 및 목적 95
4. 진로상담자의 기본적 태도 및 기술 100
5. 진로상담 시 유의사항 108
제4장 진로상담의 방법 및 절차
1. 내담자중심적 상담 112
2. 행동주의적 상담 115
3. 논리요법 및 인지요법에 의한 상담 118
4. 상담이론의 진로상담 적용 및 한계점 122
5. 진로상담의 절차 125
제5장 진로상담이론
1. 진로상담이론의 개요 138
2. 진로발달이론 146
3. 사회구성주의이론 149
4. 서술적 접근 152
제6장 슈퍼의 진로발달이론
1. 이론적 배경 154
2. 진로발달이론의 14가지 명제 155
3. 진로발달이론의 주요 개념 158
4. 이론적 시사점 174
제7장 홀랜드의 진로흥미이론
1. 이론의 개요 184
2. 이론적 배경 185
3. 이론적 특징 188
4. 이론의 구성 197
5. 시사점 및 최근의 동향 202
제8장 계획된 우연성이론
1. 사회학습이론 210
2. 계획된 우연성 229
3. 계획된 우연성이론의 진로상담 활용 234
제9장 진로구축이론
1. 이론의 개요 246
2. 개인적 배경 247
3. 이론적 배경 249
4. 이론상의 주요 개념 250
5. 진로상담의 활용 263
6. 시사점 267
제10장 겔라트의 의사결정론적 진로이론
1. 개인적 배경 276
2. 이론적 배경 277
3. 이론상의 주요 개념(후기 이론) 282
4. 진로상담의 활용 286
5. 시사점 287
제11장 기타 진로상담이론
1. 특성-요인이론 290
2. 타이드만과 오하라의 진로이론 294
3. 로의 욕구이론 296
4. 고프레드슨의 제한⋅타협이론 297
5. 조직 내 진로발달이론 299
6. 슈로스버그의 전환적 진로이론 305
7. 통합적 진로계획이론 311
제12장 진로상담의 향후 전망과 과제
1. 카오스 이론의 응용 318
2. 카오스 이론의 진로행동 적용 320
3. 카오스 이론 요약 325
4. 진로 카오스 이론 326
5. 진로상담자의 향후 과제 331
■ 참고문헌 336
■ 찾아보기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