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01 Chapter 창의성 이론의 변화와 영유아 창의성 교육의 방향
1. 왜 창의성이 강조되는가?
1) 변화가 키워드인 사회로의 변화
2) 핵심역량(Key Competence)이란?
3) 변화의 방향
2. 영유아기에 기르는 핵심역량 : 창의성
1)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과 창의성 개념의 변화
2) 창의성의 개념과 구성 요소의 변화
3) 영유아에게 적합한 창의성 교육의 방향
02 Chapter 창의성과 뇌 발달
1. 뇌 발달의 특징
1) 생후 첫 5년 동안 급격한 뇌의 성장과 발달
2) 뇌의 신경가소성
2. 뇌의 구조와 뇌 발달 과정(순서)
1) 뇌의 구조
2) 뇌 발달의 순서
3. 뇌 발달에 적합한 창의성 교육
1) 뇌 발달과 창의성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2) 창의성의 발현 조건과 뇌 발달
03 Chapter 스웨덴의 영유아 창의성 교육
1. 일상생활과 놀이 속에서 이루어지는 창의성 교육
1) 놀이 속에서 키워지는 창의성
2) 일상 속에서 이루어지는 창의성 교육
3) 일상에서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창의성 교육
2. 내적 동기를 강화시켜 주는 창의성 교육
1) 내적 동기의 형성 과정
2) 내적 동기를 강화시켜 주는 활동 간 연계성
3. 그 밖의 창의성 교육 특징
1) 협력을 통한 집단 창의성 교육
2) 다양성을 인정하고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창의성 교육 :
‘답은 하나가 아니다’와 끊임없이 ‘왜 Why?’라고 묻게 하는 교육
04 Chapter 핀란드의 학교 창의성 교육
1. 핀란드 학교 창의성 교육의 특징
1) 내적 동기를 중시하는 교육
2) 실생활을 중시하는 교육 : 내적 동기 강화를 위한 또 하나의 방향
3) 민감성을 기르는 감각 활용 교육
4) 평가 : 타자와의 비교가 아닌 내면을 향한 경쟁
5) 집단 창의성을 강조하는 통합교육
6) 취학 전(preschool) 영유아의 창의성 보육·교육
2. 교사의 역할
1) 오페타야, 오페타야, 오페타야(교사, 교사, 교사)… 교사의 역량이 전부다
2) 학생 한 명 한 명에게 헌신적인 교사, 아이들 하나하나에게 효과적인 교육
3)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돕는 역할을 하는 교사
4) 전문가로서 능력이 뛰어난 현장 연구자인 교사
3. 창의적인 사회 환경 : 창의성 교육의 통합적 접근
05 Chapter 창의성을 길러주는 활동 사례
1. 창의적 성향 기르기
1) 자연 속에서 기르는 영유아의 호기심
2) 오감각을 활용하는 체험을 통한 민감성 키우기
3) 좋아하는 놀이를 오래 하다 보면 키워지는 집중력
2. 창의적 사고능력 기르기
1) 확산적 사고
2) 수렴적 사고
3) 문제해결력
3. 내적 동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