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개론서를 출간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가장 쉽지 않은 일이다. 내용을 자세하게 서술하지 않으면서 세부전공의 내용을 되도록 많이 다루어야하며 독자가 읽었을 때 쉽게 이해해야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교육학의 모든 영역을 다루지는 못했지만, 철학, 사학, 심리학, 사회학, 공학, 통계학, 상담학, 행정학 등의 내용을 다루었고, 교육학에 대하여 처음 배우는 사람들의 편리를 위하여 기본적인 부분만을 뽑아 알기 쉽게 풀어 쓴 책이다.
제 1 장 교육과 교육학의 이해
제1절 교육이 이해
1.어원으로 본 교육
2.정의와 개념으로 본 교육
3.교육의 성립과 형태
4.교육의 제 관점
제2절 교육학의 이해
1.교육학의 성격
2.교육학의 영역
제3절 교직과 교육 및 교육학
1.교직과 교사
2.교사와 교육학
제 2 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
제1절 철학과 교육철학
1.철학의 개념과 영역
2.교육철학의 개념과 기능
제2절 서양교육철학
1.과념론과 실재론의 교육철학
2.프라그머디즘의 교육철학
3.현대의 교육철학
제 3 장 서양교육의 역사적 기초
제1절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1.그리스의 교육
2.로마의 교육
제2절 중세와 기독교 교육
1.기독교 교육과 스콜라철학
2.기사교육
3.대학의 발달
4.도제교육과 시민교육
제3절 근세교육
1.문예부흥과 종교개혁기의 교육
2.실학주의 교육
3.계몽주의와 자연주의 교육
4.신인문주의 교육과 국민교육제도의 발달
5.국가주의 교육과 국민교육제도의 발달
제4절 현대의 새 교육운동
제 4 장 한국의 교육사상과 역사적 기초
제1절 단군신화의 교육사상
제2절 화랑도의 교육사상
제3절 불교의 교육사상
1.불교의 수용과 발달
2.원효의 불교관과 교육사상
3.지눌의 불교관과 교육사상
제4절 성리학의 교육사상
1.조선 성리학의 발전과정
2.성리학의 이론
3.이황의 성리설과 교육사상
4.이이의 성리설과 교육사상
5.유교적 교화정책
제5절 실학의 교육사상
1.실학의 형성과 전개
2.유형원의 교육사상
3.이익의 교육사상
4.정약용의 교육사상
제6절 동학의 교육사상
제7절 근대적 교육의 전개
1.개화기의 교육
2.일제강점기의 교육
3.미군정기의 교육
제 5 장 교육의 심리적 기초
제1절 교육심리학의 성격
1.교육심리학의 셩격
2.교육심리학의 발달
3.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제2절 교육심리학의 이론
1.정신분석
2.행동주의
3.인지이론
4.인본주의
제3절 교육심리학의 영역
1.인간발달과 교육
2.인지과정과 교육
3.인지과정과 교육
4.인간 특성과 교육
제 6 장 교육사회학의 기초
제1절 인간과 사회
1.인간과사회
2.교육사회학의 성격
3.교육사화학과 그 필요성
제2절 교육사회학의 이론들
1.기능주의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2.갈등주의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3.해석학적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4.대안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제3절 교육사회학의 응용
1.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2.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3.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4.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5.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6.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9)
7.제7차 교육과정(2000~현재)
제4절 교육과정의 구성
1.목표의 설정
2.학습경험의 선정
3.학습경험의 조직
제 9 장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
제1절 교육방법의 기초
1.교육방법의 개념
2.교육방법의 성격 및 영역
제2절 교수-학습지도
1.교수-학습의 개념
2.수업설계의 모형
3.수업목표의 설정과 진술
제3절 교수이론
1.브루너(Bruner)의 교수이론
2.오수벨(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
3.가네(Gagne)의 목표별 수업이론
4.켈러(Keller)의 학습동기화 모형(ARCS)
5.블룸(Bloom)의 완전학습 모형
제4정 교육방법의 유형
1.강의법
2.토의법
3.탐구학습
4.문제해결학습
5.프로젝트법
제 10 장 생활지도와 상담의 이해
제1절 생활지도
1.생활지도의 의의와 개념
2.생활지도의 원리
3.생활지도의 영역
4.생활지도 활동의 종류
제2절 상담의 이해
1.상담의 정의
2.상담의 과정
3.상담이론
제 11 장 교육평가에 대한 이해
제1절 교육평가의 개념
1.교육평가의 개념
2.교육평가의 기능
제2절 교육평가의 유형
1.평가결과의 해석방식에 따른 분류
2.평가결과의 활용방식에 따른 분류
3.수행평가
제3절 평가문항의 제작
1.문항제작을 위한 준비
2.선택형 문항의 제작
3.서답형 문항의 제작
제4절 평가도구의 측정학적 특징
1.타당도
2.신뢰도
3.객관도
4.실용도
참 고 문 헌
찾 아 보 기
제1절 교육이 이해
1.어원으로 본 교육
2.정의와 개념으로 본 교육
3.교육의 성립과 형태
4.교육의 제 관점
제2절 교육학의 이해
1.교육학의 성격
2.교육학의 영역
제3절 교직과 교육 및 교육학
1.교직과 교사
2.교사와 교육학
제 2 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
제1절 철학과 교육철학
1.철학의 개념과 영역
2.교육철학의 개념과 기능
제2절 서양교육철학
1.과념론과 실재론의 교육철학
2.프라그머디즘의 교육철학
3.현대의 교육철학
제 3 장 서양교육의 역사적 기초
제1절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1.그리스의 교육
2.로마의 교육
제2절 중세와 기독교 교육
1.기독교 교육과 스콜라철학
2.기사교육
3.대학의 발달
4.도제교육과 시민교육
제3절 근세교육
1.문예부흥과 종교개혁기의 교육
2.실학주의 교육
3.계몽주의와 자연주의 교육
4.신인문주의 교육과 국민교육제도의 발달
5.국가주의 교육과 국민교육제도의 발달
제4절 현대의 새 교육운동
제 4 장 한국의 교육사상과 역사적 기초
제1절 단군신화의 교육사상
제2절 화랑도의 교육사상
제3절 불교의 교육사상
1.불교의 수용과 발달
2.원효의 불교관과 교육사상
3.지눌의 불교관과 교육사상
제4절 성리학의 교육사상
1.조선 성리학의 발전과정
2.성리학의 이론
3.이황의 성리설과 교육사상
4.이이의 성리설과 교육사상
5.유교적 교화정책
제5절 실학의 교육사상
1.실학의 형성과 전개
2.유형원의 교육사상
3.이익의 교육사상
4.정약용의 교육사상
제6절 동학의 교육사상
제7절 근대적 교육의 전개
1.개화기의 교육
2.일제강점기의 교육
3.미군정기의 교육
제 5 장 교육의 심리적 기초
제1절 교육심리학의 성격
1.교육심리학의 셩격
2.교육심리학의 발달
3.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제2절 교육심리학의 이론
1.정신분석
2.행동주의
3.인지이론
4.인본주의
제3절 교육심리학의 영역
1.인간발달과 교육
2.인지과정과 교육
3.인지과정과 교육
4.인간 특성과 교육
제 6 장 교육사회학의 기초
제1절 인간과 사회
1.인간과사회
2.교육사회학의 성격
3.교육사화학과 그 필요성
제2절 교육사회학의 이론들
1.기능주의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2.갈등주의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3.해석학적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4.대안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제3절 교육사회학의 응용
1.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2.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3.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4.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5.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6.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9)
7.제7차 교육과정(2000~현재)
제4절 교육과정의 구성
1.목표의 설정
2.학습경험의 선정
3.학습경험의 조직
제 9 장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
제1절 교육방법의 기초
1.교육방법의 개념
2.교육방법의 성격 및 영역
제2절 교수-학습지도
1.교수-학습의 개념
2.수업설계의 모형
3.수업목표의 설정과 진술
제3절 교수이론
1.브루너(Bruner)의 교수이론
2.오수벨(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
3.가네(Gagne)의 목표별 수업이론
4.켈러(Keller)의 학습동기화 모형(ARCS)
5.블룸(Bloom)의 완전학습 모형
제4정 교육방법의 유형
1.강의법
2.토의법
3.탐구학습
4.문제해결학습
5.프로젝트법
제 10 장 생활지도와 상담의 이해
제1절 생활지도
1.생활지도의 의의와 개념
2.생활지도의 원리
3.생활지도의 영역
4.생활지도 활동의 종류
제2절 상담의 이해
1.상담의 정의
2.상담의 과정
3.상담이론
제 11 장 교육평가에 대한 이해
제1절 교육평가의 개념
1.교육평가의 개념
2.교육평가의 기능
제2절 교육평가의 유형
1.평가결과의 해석방식에 따른 분류
2.평가결과의 활용방식에 따른 분류
3.수행평가
제3절 평가문항의 제작
1.문항제작을 위한 준비
2.선택형 문항의 제작
3.서답형 문항의 제작
제4절 평가도구의 측정학적 특징
1.타당도
2.신뢰도
3.객관도
4.실용도
참 고 문 헌
찾 아 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