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아동교육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아동교육론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ㆍ보육ㆍ복지와 관련이 있는 학생들에게 아동교육 제반 영역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안내하는 입문서이다. 아동은 자신을 둘러싼 물리적ㆍ심리적 환경 속에서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민주적이고 책임 있는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고 성숙해 간다. 아동기는 전 생애적인 삶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이며, 아동기의 경험은 이후의 청년기, 성인기, 노년기 행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자 출발점이 된다. 아동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아동기를 보내면서 삶의 기초를 잘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동을 보호하고 교육하는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아동교육ㆍ보육ㆍ복지를 담당하는 성인들은 아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전문적인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자신의 책임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아동의 복지와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아동교육과 관련된 학문적 결실과 실천적 결실들이 연이어 맺히고 있음은 반가운 일이다.
저자들은 대학에서 아동교육론, 아동복지론, 보육실천론 등의 교과를 강의하면서 이 책의 집필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으며, 아동교육ㆍ보육ㆍ복지 관련 공부를 하는 학생들이 아동교육에 대한 기본적이고 전반적인 이해를 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아동교육의 여러 범주를 골고루 다루도록 노력하였으며, 아동교육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주요 개념과 이론을 다루면서, 교육이해의 기초, 아동중심 교육과 아동발달의 이해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와 함께 아동교육의 실천적 이해에 대하여 다룸으로써 아동교육과 관련된 이론과 실제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을 갖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이 책은 모두 4부 1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교육이해의 기초를 다루었으며, 제2부에서는 아동중심 교육의 이해를 살펴보았고제3부에서는 아동발달의 이해에 대하여 다루었고, 제4부에서는 교육의 실천적 이해에 대하여 다루었다.
제1부의 제1장은 ‘교육의 개념’으로 교육의 정의와 필요성 및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장 ‘교육의 형태’에서는 다양한 교육의 형태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제2부의 제3장은 ‘아동중심 교육의 등장과 교육관’에 대해 살펴보았고, 제4장 ‘아동중심 교육의 전개’에서는 전통적 교육, 신교육 운동, 진보주의 교육과 우리나라의 아동중심 교육에 관하여 다루었다.
제3부의 제5장 ‘아동발달의 기초’에서는 아동발달의 개념, 요인 및 원리를 다루었고, 제6장 ‘아동발달의 특성’에서는 신체 및 운동, 인지 및 언어, 정서, 사회성, 도덕성 발달 영역으로 구분하여 발달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제7장 ‘아동발달 이론’에서는 프로이트, 에릭슨, 피아제 이론과 행동주의 및 인본주의 이론을 다루었다.
제4부의 제8장 ‘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의 개념, 구성, 유형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살펴보았고 제9장 ‘교수-학습 과정’에서는 교수-학습과정의 개념과 교수-학습의 과정 및 유형에 대하여 다루었으며, 제10장 ‘교육공학’에서는 교육공학의 발달과정, 개념 및 영역과 교수매체를 다루고 컴퓨터 활용교육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11장 ‘아동생활지도’에서는 아동생활지도의 개념, 목표, 원리, 영역과 활동을 다루고 아동상담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제12장 ‘교육평가’에서는 교육평가의 개념, 기능, 모형, 유형, 절차에 대하여 다루었다. 제13장 ‘아동교육과 지역사회’에서는 방과후학교와 지역아동센터 아동교육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제14장 ‘우리나라 아동교육의 과제’에서는 가정, 학교, 방과후학교, 지역아동센터별로 현실적인 발전 과제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 책을 집필하는 동안 아동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였으나, 원고를 마무리하고 보니 집필하고자 했던 처음 의욕과는 달리 부족한 점이 눈에 띄며, 시간이 촉박하다는 이유로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출간 후에도 독자들의 애정 어린 관심과 건설적인 비판을 적극 수용하여 더 좋은 책으로 보완할 것을 약속드린다. 아무쪼록 이 책을 통하여 아동들과 함께하는 교육ㆍ보육ㆍ복지 관련 독자들이 실제적인 도움을 얻게 되기를 바란다.
언제나 따뜻한 울타리와 버팀목이 되어주는 사랑하는 가족에게 고마움을 전하며, 이 책의 출판을 위해 애써주신 공동체 사장님과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16년 2월
저자 일동
 

PART 1 교육이해의 기초

    Chapter 1 교육의 개념
      1. 교육의 어원
      2. 교육의 정의
      3. 교육의 필요성
      4. 교육의 구성요소

    Chapter 2 교육의 형태
      1.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2. 사회교육과 평생교육
      3. 전통적 교육과 신교육


PART 2 아동중심 교육의 이해

    Chapter 3 아동중심 교육의 등장과 교육관
      1. 아동중심 교육의 등장
      2. 아동중심 교육관

    Chapter 4 아동중심 교육의 전개
      1. 19세기 전통적 교육
      2. 영국과 유럽의 신교육 운동
      3.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
      4. 우리나라의 아동중심 교육


PART 3 아동발달의 이해

    Chapter 5 아동발달의 기초
      1. 아동발달의 개념
      2. 아동발달의 요인
      3. 아동발달의 원리

    Chapter 6 아동발달의 특성
      1. 신체 및 운동 발달
      2. 인지 및 언어 발달
      3. 정서발달
      4. 사회성 발달
      5. 도덕성 발달

    Chapter 7 아동발달 이론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2. 에릭슨의 심리사회 이론
      3. 피아제의 인지이론
      4. 행동주의 이론
      5. 인본주의 이론


PART 4 교육의 실천적 이해

    Chapter 8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개념
      2. 교육과정의 구성
      3. 교육과정의 유형
      4. 우리나라 교육과정

    Chapter 9 교수-학습 과정
      1. 교수-학습 과정의 개념
      2. 교수-학습의 과정
      3. 교수-학습의 유형

    Chapter 10 교육공학
      1. 교육공학의 발달과정
      2. 교육공학의 개념
      3. 교육공학의 영역
      4. 교수매체
      5.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Chapter 11 아동생활지도
      1. 아동생활지도의 개념
      2. 아동생활지도의 목표
      3. 아동생활지도의 원리
      4. 아동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5. 아동상담

    Chapter 12 교육평가
      1. 교육평가의 개념
      2. 교육평가의 기능
      3. 교육평가의 모형
      4. 교육평가의 유형
      5. 교육평가의 절차

    Chapter 13 아동교육과 지역사회
      1. 방과후학교 아동교육
      2. 지역아동센터 아동교육

    Chapter 14 우리나라 아동교육의 과제
      1. 가정에서의 아동교육의 과제
      2. 학교에서의 아동교육의 과제
      3. 방과후학교 아동교육의 과제
      4. 지역아동센터 아동교육의 과제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