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교육심리학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교육심리학은 교육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뿐 아니라 교직을 이수하는 학생들, 그리고 교육대학원생들이 들어야 할 교직과목 중의 하나이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를 비롯하여 교육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도 필요한 학문이다. 교육심리학은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교육현상에 내재해 있는 심리적 요인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교육 실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분야라고 본다. 따라서 교육심리학은 단순한 이론의 소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교육 실제와 연계하여 구체적으로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동안 교육심리학을 강의하면서 국내 저자의 책은 물론 국외 저서를 번역한 책을 포함하여 여러 교재를 사용해 왔다. 가르쳐야 할 내용은 많고 한 학기 동안 가르칠 수 있는 범위와 시간은 한정되어 있다 보니, 결국 교재내용을 다 배우지 못하고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뿐만 아니라 일부 내용은 교육심리학에서 다루고 배워야 할 내용이지만 다른 교직과목에서 배우다 보니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교수(수업)영역과 평가영역은 다른 교직과목인 교육방법이나 교육평가에서 충분히 배울 수 있기에 구성내용에 포함하지 않았다.
이 책의 특징은 교육 실제와 연계되어 있는 이론을 토대로 소개하고 있다. 즉, 교육심리학에서 배워야 할 핵심 내용을 위주로 간결하고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재구성하였다.
책의 구성내용을 살펴보면 제1장은 수업장면에서 만나는 교사와 학생의 역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학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장은 발달이 갖는 의미와 쟁점을 중심으로 인지발달의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제3장은 정의적 발달을 중심으로 성격, 사회성 및 도덕성 발달의 특징과 관계를 살펴보았다. 제4장은 학습자의 개인차를 중심으로 지능과 창의성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5장은 학습의 개념과 특징을 중심으로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대해, 제6장은 인간의 사고과정을 중심으로 인지주의 학습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7장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즉 동기의 특징과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8장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고민과 문제에 대해 교사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하는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앞으로 바람직한 교사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나아가 자신의 모습을 반성하고 실천할 수 있는 교사가 될 수 있는 전략을 전달하고 싶었다. 그럼에도 좀 더 다양한 사례와 실제 교육현장을 싣지 못한 점이 못내 아쉽다.
끝으로 이 책을 완성하여 출판하기까지 많은 도움을 주신 공동체 출판사 사장님과 공동체 가족 여러분, 그리고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2016년 8월 하수경
 

제1장 | 교육심리학:교수의 기초
     1. 교육심리학의 의미
     2. 교육심리학의 역할
     3. 훌륭한 교사, 바람직한 학생의 특징
     4.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 참고문헌

제2장 | 학습자의 인지발달
     1. 발달의 개념
     2.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3. 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
     4. 정보처리이론
     ■ 참고문헌

제3장 | 학습자의 성격적·사회적·도덕적 발달
     1. 성격발달: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2. 성격발달:Freud의 심리성적 이론
     3. 사회적 발달
     4. 도덕적 발달
     5. 발달적 위기와 대처방법
     ■ 참고문헌

제4장 | 학습자의 개인차
     1. 지능의 개인차
     2. 지능이론
     3. 지능의 생물학적 접근과 뇌 발달
     4. 최근의 지능이론
     5. 지능에 대한 교육적 논쟁
     6. 인지양식과 학습양식
     7. 창의성에서 개인차 이해
     ■ 참고문헌

제5장 | 학습에 관한 행동주의적 접근
     1. 고전적 조건화에 의한 학습
     2. 조작적 조건화에 의한 학습
     3. 사회인지학습이론
     4. 인지적 행동수정
     ■ 참고문헌

제6장 | 인지적 접근의 학습
     1. 정보처리이론:표준기억모형
     2. 다른 정보처리모형:대안적 기억모형
     3. 기억과정
     4. 정보 인출하기
     ■ 참고문헌

제7장 | 학습자의 동기유발
     1. 동기유발과 유인가의 특징
     2. 동기의 일반적 영향
     3.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4. 동기에 관한 네 가지 이론
     5. 각성수준의 역할
     6. 목표의 역할
     7. 학생의 욕구
     ■ 참고문헌

제8장 | 학교상담
     1. 상담의 개념
     2. 정신분석 상담이론
     3. 인간중심 상담이론
     4. 행동주의 상담이론
     5. 인지행동치료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