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저자가 강의 첫 시간에 이 과목을 소개하면서 교직을 전문직이라고 할 때 그 전문성의 핵심은 바로 ‘잘 가르치는 교사’가 되는 것이라고 늘 강조하고 있다. 잘 가르치는 교사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개별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최적의 교수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교사를 말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이 책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책은 대학의 강의가 보통 15주로 편성되는 것을 감안하여 첫 주의 오리엔테이션과 마지막 주의 기말시험을 제외한 13주에 걸쳐 학습할 수 있도록 13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에서는 교육방법의 정의, 교수-학습의 관계, 교육방법의 유형 등을 다루었고, 제2장에서는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과정, 교육공학의 정의와 영역 그리고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관계를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 제5장까지는 교수-학습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루었다. 제3장에서는 학습이론과 교수이론을 다루고, 제4장에서는 교수설계의 개념과 원리, 교수목표 진술, 교수설계 모형 등을 소개하였다. 제5장에서는 교수-학습의 실제에 해당하는 교수-학습체제, 교수-학습과정, 교수-학습계획안 작성, 그리고 수업의 전문성과 효과적인 교수행동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제6장에서 제9장까지는 학교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제6장에서는 개별화수업, 제7장에서는 설명식 수업과 발견식 수업, 제8장에서는 협동학습과 프로젝트 학습, 제9장에서는 구성주의 수업과 창의성 수업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었다.
제10장에서 제13장까지는 교수매체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었다. 제10장에서는 교수매체의 개념과 기능, 교수매체의 연구와 효과논쟁, 교수매체의 유형과 선정, 시각디자인, 그리고 교수매체의 체계적 활용모형을 소개하였다. 제11장에서는 주로 전통적인 교수매체 활용의 실제를 소개하였다. 제12장에서는 정보사회의 교수매체인 컴퓨터, 멀티미디어, ICT 활용수업, 웹기반 수업, e-러닝, 원격교육을 소개하였다. 제13장에서는 첨단 정보통신공학 매체인 전자책과 m-러닝, u-러닝을 소개하고 미래교육의 변화와 과제를 다루었다.
잘 가르치는 교사, 인간을 가르치는 참된 스승이 되고자 열심히 공부하는 예비교사들과 교실수업 개선을 위해 연구하고 실천하는데 혼신의 힘을 다하는 현장교사들에게 이 책이 실제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려고 기획하였으나 막상 원고를 마무리하고 보니 여러 가지 부족하고 미흡한 부분이 많아 아쉬움이 남는다. 후일에 다시 보완하기로 하면서 독자들의 고견을 기대한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도움을 준 고마운 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원고 제출시한을 여러 번 늦춘 게으른 저자를 너그럽게 이해해 준 공동체 출판사의 김동훈 사장님, 김동근 전무님, 김원희 상무님, 책을 잘 편집해준 김영애 실장님과 직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그동안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시간에 발표와 토론을 하며 여러 가지 제안을 해준 학생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끝으로 이 책의 집필을 시작할 때부터 마무리할 때 까지 지지와 성원을 아끼지 않았던 아내와 가족들에게 무한한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그리고 이 책을 쓸 수 있게 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린다.
Chapter 01 교육방법의 이해
제1절 교육방법의 정의
제2절 교수와 학습
제3절 교육방법의 분류와 선정기준
Chapter 02 교육공학의 이해
제1절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과정
제2절 교육공학의 정의와 영역
제3절 교육공학의 연구영역과 연구활동
제4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관계
Chapter 03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제1절 교수-학습이론의 성격과 시대적 경향
제2절 학습이론
제3절 교수이론
Chapter 04 교수설계
제1절 교수설계의 이해
제2절 체제이론과 교수설계 원리
제3절 교수목표 설정과 진술
제4절 교수설계 모형
Chapter 05 교수-학습의 전개
제1절 교수-학습의 체제
제2절 교수-학습의 과정
제3절 교수-학습 계획안 작성
제4절 수업의 전문성과 효과적인 교수행동
Chapter 06 개별화 수업
제1절 개인차의 개념과 유형
제2절 학습자관의 변화
제3절 적응적 수업방안
제4절 개별화 수업의 발전과정과 유형
Chapter 07 설명식 수업과 발견식 수업
제1절 강의식 수업
제2절 토의식 수업
제3절 발견학습
제4절 탐구학습
Chapter 08 협동학습과 프로젝트 학습
제1절 협동학습
제2절 프로젝트 학습
Chapter 09 구성주의 수업과 창의성 수업
제1절 구성주의의 개념과 수업원리
제2절 자기주도학습
제3절 문제중심학습
제4절 자원기반학습
제5절 창의성 수업
Chapter 10 교수매체의 이해
제1절 교수매체의 개념과 기능
제2절 교수매체의 연구와 효과논쟁
제3절 교수매체의 유형과 선정
제4절 시각 디자인
제5절 교수매체의 체계적 활용
Chapter 11 교수매체 활용의 실제
제1절 비투사 시각매체
제2절 투사 시각매체
제3절 청각매체
제4절 시청각 매체
제5절 교육방송
Chapter 12 컴퓨터 기반 교수매체의 활용
제1절 컴퓨터 리터러시와 교육적 활용
제2절 멀티미디어의 특성과 교육적 활용
제3절 ICT 활용수업
제4절 웹기반 수업
제5절 e-러닝
제6절 원격교육
Chapter 13 첨단 정보통신공학과 미래교육
제1절 전자책과 m-러닝
제2절 u-러닝
제3절 미래교육의 변화와 과제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