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자원봉사문화 정착을 위한 

자원봉사관리론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책의 제목은 자원봉사문화 정착을 위한 자원봉사관리론이지만 자원봉사문화와 지역공동체를 연결시켜 자원봉사문화 형성
및 정착을 통한 지역공동체 형성 방안까지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2부로 나누어 1부 8장, 2부 2장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부에서는 자원봉사문화를 형성하고 정착시키기 위해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이를 위한 기본적인 요소인 자원봉사관리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제2부에서는 자원봉사문화와 지역공동체를 기술하였다.
제1부 자원봉사관리에서는 관리 및 관리자의 필요성을 먼저 기술하고 모델과 과정, 그리고 과정에 따른 내용을 기술하였으며, 특히 최근에 자원봉사영역에서도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위험관리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제2부에서는 자원봉사문화 형성 및 정착과 지역공동체 형성의 관계, 그리고 이를 통한 지역공동체 형성의 필요성을 기술하고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과 지역공동체 형성 방안, 그리고 이를 위한 자원봉사자의 역할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내용이 완성되는 데는 Steve McCurley와 Rick Lynch, Tracy D. Connors(세부 연구자는 참고문헌 참조), 그리고 Linda Graff 등 많은 자원봉사와 지역공동체 관련 연구자들의 연구결과가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이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PART 01 자원봉사관리
제1장 자원봉사관리 및 자원봉사관리자 
  1. 자원봉사관리 및 관리자의 필요성
  2. 자원봉사관리를 위한 기본 기술
  3. 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과 기능 
제2장 자원봉사관리 모델 및 과정 
제3장 자원봉사자를 위한 조직의 준비
  1. 직원과 자원봉사자가 헌신할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
  2.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논리적 근거 및 명확한 목적 확립
  3. 직무설계 및 직무분장
  4. 자원봉사자 참여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

 제4장 자원봉사자 모집 
  1. 자원봉사자 모집에 따른 도전
  2. 모집과정
  3. 모집방법 
제5장 자원봉사자 면접과 선발
  1. 기본적인 자원봉사자 면접과정
  2. 선발:계약 맺기 
제6장 오리엔테이션과 훈련
  1. 오리엔테이션
  2. 훈 련 
제7장 배치, 슈퍼비전, 평가, 인정과 보상
  1. 배치:적재적소 배치
  2. 슈퍼비전
  3. 평 가
  4. 인정과 보상 
제8장 위험관리
  1. 위험관리의 개념
  2. 위험관리의 목적 
  3. 위험관리의 과정 및 전략

PART 02 자원봉사문화와 지역공동체
 제9장 자원봉사문화와 지역공동체 형성
  1. 자원봉사문화와 지역공동체의 개념
  2. 자원봉사문화 형성 및 정착을 통한 지역공동체 형성의 필요성 
제10장 자원봉사문화 정착 및 지역공동체 형성과 자원봉사자의 역할
  1. 자원봉사문화 정착 및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건
  2. 자원봉사문화 정착을 위한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3. 자원봉사문화 정착 및 지역공동체 형성방안
  4. 자원봉사자의 역할 
부 록
  부록 1 통신세계에서 자원봉사자 모집을 위한 팁 
  부록 2 자원봉사자 모집을 위한 이벤트 활용 단계
  부록 3 슈퍼바이저 역할 목록
  부록 4 교회 자원봉사활동 영역에서의 감사 및 인정 아이디어
  부록 5 위험 확인 워크시트
  부록 6 위험 우선순위도
  부록 7 자원봉사 참여주기를 통한 위험관리
  부록 8 자원봉사 관련 사이트와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팁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