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사회복지현장에서의 다양한 변화와 욕구는 대상과 상황에 따라 서비스 방법과 내용이 다양해야 하며 구체적이고 전문적이어야 한다.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책, 제도, 법률 등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해 실천적 이론의 철학과 기술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실천 영역은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등 여러 곳에서 폭넓은 관심영역을 다루어야 한다.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이러한 문제가 얽혀 있어 이러한 영역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하고 전통적인 실천방법을 통합하자는 움직임도 있다. 학자들과 실천가들 사이에서 통합모델을 정착시키면서 사회복지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으며, 많은 사회복지사의 배출로 인해 사회복지는 개인의 문제와 사회문제를 다루어야 하는 전문성을 가진 직업으로 발전하였다.
사회복지교육은 실천현장과 교육현장에서 클라이언트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그들을 대상자로 만나게 될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이들에게 올바르고 좋은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필수적인 방법론으로 사회복지실천의 실제적인 과정을 배우는 중요한 과목이다. 이러한 점에서 꼼꼼히 자료를 확인하고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능하면 어려운 단어와 문구들을 사용하지 않으려 노력하였다. 1, 2장에서 사회복지실천기술에 대한 이해와 기초 기술을, 3, 4, 5, 6장에서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중심모델을 다루었고, 7장에서 사례관리, 8, 9, 10장에서 대상별 사회복지실천기술 내용과 11장은 기록, 12장은 평가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이 책을 접한 이들 모두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일을 하면서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라며, 저자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연구와 후학양성에 힘을 기울이며 책의 내용을 수정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우리의 미진한 원고를 출판해 주신 도서출판 공동체 가족 여러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7년 3월 저자 일동
 

제 부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관

1사회복지실천기술에 대한 이해

   1.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과 자기성찰

   2. 전문적 원조관계

   3. 기본적인 원조기술

2사회복지실천기술의 기초

   1. 사회복지실천의 지식적 기반

   2.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지식

   3. 전문적 원조기술

제 부 사회복지실천 이론 및 모델

3심리사회 모델

   1. 심리사회 모델의 철학과 기본 개념

   2. 심리사회 모델의 개입 목표와 과정

   3. 심리사회 모델의 개입기법

4인지행동 모델

   1. 인지행동 모델의 이론적 배경과 특징

   2. 인지행동 모델의 주요 접근법

5과제중심 모델

   1. 과제중심 모델의 철학과 기본 개념

   2. 과제중심 모델의 개입 목표 및 과정

   3. 과제중심 모델의 개입기법

6위기개입 모델

   1. 위기개입 모델의 이론적 배경

   2. 위기개입 모델의 주요 개념

   3. 위기개입 모델의 실천 목표와 과정

   4. 위기개입 모델의 실천기법

7사례관리

   1. 사례관리의 정의 및 목적

   2. 사례관리의 등장배경

   3. 사례관리의 기능

   4. 사례관리의 과정

 

제 부 대상별 사회복지실천기술

8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1.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2.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적 개입기술

   3.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과정별 개입기술

9집단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1. 집단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개념

   2. 집단의 발달단계

   3. 사정단계에 필요한 사회복지실천기술

10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1.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개념 및 변화

   2. 가족사정에 대한 기본 틀과 가족사정 도구

   3.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개입 절차와 과정

   4. 가족치료 모델별 주요 개입기술

 

제 부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및 평가와 사례연습

11사회복지실천 기록

   1. 기록의 목적과 활용

   2. 기록의 수단

   3. 기록의 내용

   4. 기록의 유형

   5. 기록의 유의사항

12사회복지실천 평가

   1. 평가의 의의

   2. 평가의 목적

   3. 평가의 기능

   4. 평가의 유형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