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사례관리가 우리 사회에 도입된 지 어언 30여 년이 되어간다. 사례관리가 소개되던 초기에는 사례관리가 기존의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 특히 개별사회복지실천(case work)과 다를 바 없는데 굳이 새로운 학문적․전문적 분야로서 도입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회의적 반응이 많았다. 그러나 사례관리가 서구에서 케이스워크를 대체해 나간 것처럼 점차 우리나라에서도 공공, 민간 할 것 없이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접근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사회복지교육은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사회복지 법정 교과목으로 지정하기에 이르렀다.
사례관리의 발달은 개개인의 욕구가 고도화․다양화되어 가는 한편 사회적자원은 제한되고 경제성장이 둔화된 현시점에 사회적․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바가 크다. 사회복지실천은 의료비 절감을 목표로 전개되어 온 건강영역과는 달리 클라이언트의 복합적 욕구충족을 통한 삶의 질 개선에 최우선의 목표를 두고 있다. 이는 클라이언트 이익 우선이라는 사회복지실천의 오랜 핵심원칙에 기반한다. 미국의 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타 실천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사례관리와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례관리가 분명한 차이점이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로 명명하고 있다. 그러나 사례관리는 현재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공통의 특성으로 수렴되고 있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지난 20여 년이 사례관리의 유용성, 한국적 상황에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탐색기간이었다면, 2012년 공공부문에서 통합사례관리사업의 도입은 사례관리의 본격적인 발달기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고 있다. 공공과 민간의 연계, 자원의 통합적 관리망 구축, 사회복지관 3대 핵심기능 중 하나로서의 정립 등 그동안 많은 제도적 변화가 있었고, 또 현장과 학교에서의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본 서는 이러한 변화들을 소개하고 타 분야 사례관리와의 차별성은 물론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과 차별되는 사례관리의 독특한 특성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사례관리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는 사례관리의 기본 가치와 관점을 이해하고, 사례관리 과정을 다룬 부분에서는 표준화와 객관성을 보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게 하였다. 나름대로 사례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였지만 여전히 부족한 측면이 없지 않다. 특히 사회복지의 다양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관리의 구체적 양상을 보여주지 못한 점은 내내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그리고 현재 작업이 제너럴리스트로서의 사례관리를 다루었다면 추후에는 좀 더 전문적 수준에서의 사례관리, 슈퍼바이저를 위한 사례관리의 내용도 추가될 필요가 있으리라 본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그동안 격려하고 지원해 주신 공동체 출판사 사장님과 전무님, 그리고 꼼꼼하게 원고를 살펴봐 주시고 수고해 주신 편집부 직원들께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
01 사례관리의 기초
1. 사례관리 개념의 이해
2. 사례관리의 목적 및 원칙
3.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의 정의 및 특성
02 사례관리의 역사
1. 사례관리의 등장배경
2. 주요국의 사례관리 발달과정
03 사례관리의 제 유형
1. 지역사회정신보건 영역에서의 사례관리 유형
2. 사례관리 기능에 따른 분류
3. 사례관리자 유형에 따른 분류
04 사례관리의 주요 가치와 윤리적 책임
1. 선택과 자기결정권 존중
2. 프라이버시 존중 및 비밀보장
3. 정상화
4. 전문적 실천의 윤리적 책임 강화
05 사례관리의 주요 구성체계
1. 사례관리의 주요 대상
2. 사회자원
3. 사례관리자
4. 사례관리 운영체계
06 사례관리의 주요 관점
1. 생태체계적 관점
2. 임파워먼트 관점
3. 사회적 지지 관점
07 사례관리 과정과 주요 과업
1. 인테이크 단계와 주요 과업
2. 사정단계와 주요 과업
3. 계획단계와 주요 과업
4. 계획의 실행
5. 모니터링 및 재사정
6. 평가 및 종결
08 사례관리 기법
1. 직접적 기법
2. 연계(Linkage)
3. 옹호(Advocacy)
4. 협력 및 조정
09 사례관리의 실천사례
1. 미국의 사례
2. 영국의 사례
3. 일본의 사례
4. 한국의 사례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