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요사이 대학의 강의실은 ‘첨단강의실’의 형태로 꾸며져 있는 곳이 많아서 종이책 교재를 가지고 판서하면서 강의하는 방식은 뭔가 시대에 한참 뒤떨어진 느낌을 준다. 첨단강의실에 걸맞은 디지털화된 교재를 가지고 깔끔하게 강의를 진행해 나가야 학생들에게는 재미도 있고 학습효과도 높아질 것은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 그런데 인쇄된 활자밖에 없는 종이책 교재를 출간하면서 효율성과 활용성을 기대하는 것은 무망한 일이 되고 말리라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기존에 나름대로의 특징과 장점을 갖춘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재들이 많이 출간되어 있다는 점도 저자에게는 적지 않은 부담이 되었다. 물론 전체적인 체제와 내용에서는 다수의 교재들이 유사하다 하더라도 이미 교재로 쓰기에 충분한 좋은 책들이 나와 있는 상황에서 특별한 변별성도 없는 책이 과연 제 구실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떨쳐버릴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대도 저자가 이 책을 출간하는 이유를 굳이 말하라고 한다면, 저자의 강의 스타일에 맞는 저자 나름의 교재가 필요했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를 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 솔직한 고백일 것이다. 강의실이 아무리 첨단화되고 좋은 교재가 나와 있어도 저자의 입맛에 맞는 교재는 저자가 스스로 마련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물론 저자의 강의 스타일이 어떤 것이고 거기에 맞는 교재는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저자 자신도 다른 사람에게 명시적으로 설명해 줄 자신은 없다. 어쩌면 저자 자신의 스타일이라는 것은 없는 것인지도 모를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저자가 이 책을 집필하는 데 가장 크게 염두에 둔 한 가지 사실은 이 책의 스타일을 짐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책의 체제, 내용, 서술에 있어서 간결하면서도 핵심은 놓치지 않으려고 했다는 점이다. 이 점은 대부분의 다른 교재들과는 차별적으로 ‘교재’라는 책의 특성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려고 했다고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더 간단하게 말하자면, 이 책을 보고 초․중․고등학교 교과서가 연상되었다면 ‘대학 교과서 스타일’로 쓰고자 했던 저자의 의도가 다소나마 성공했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서 저자는 여전히 이 책의 효율성과 활용성에 대한 기대를 완전히 버리지는 않을 생각이다. 독자들의 비판과
질정을 기대한다.
제 1 부 서양교육사
|제 1 장| 그리스의 교육
1. 그리스의 사회와 문화
2. 스파르타의 교육
3. 아테네의 교육
4. 헬레니즘의 교육
5. 교육사상가
|제 2 장| 로마의 교육
1. 로마의 사회와 문화
2. 로마의 교육
3. 교육사상가
|제 3 장| 중세의 교육
1. 중세의 사회와 문화
2. 기독교와 교육
3. 세속교육
|제 4 장| 문예부흥기와 종교개혁기의 교육
1. 문예부흥기의 교육
2. 종교개혁기의 교육
|제 5 장| 17세기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실학주의 교육의 전개
3. 교육사상가
|제 6 장| 18세기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계몽주의와 교육
3. 교육제도의 발달
4. 루소의 교육사상
|제 7 장| 19세기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국가주의와 교육
3. 신인문주의
|제 8 장| 현대교육의 태동
1. 시대적 배경
2. 신교육운동의 전개
제 2 부 현대교육철학
|제 9 장| 교육철학의 성격
1. 철학과 교육학
2. 교육학과 교육철학
|제 10 장| 실용주의와 교육
1. 실용주의의 등장배경과 특징
2. 진보주의 교육과 듀이의 교육철학
|제 11 장| 실존주의와 교육
1. 실존주의의 등장배경과 특징
2. 실존주의 교육철학의 성격과 원리
|제 12 장| 분석철학과 교육
1. 분석철학의 등장배경과 특징
2. 분석적 교육철학의 성격과 과제
|제 13 장| 비판이론과 교육
1. 비판이론의 등장배경과 특징
2. 비판교육이론의 성격과 과제
|제 14 장|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1.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과 특징
2.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의 성격과 원리
제3부 한국교육사
|제 15 장| 고대와 삼국시대의 교육
1. 고대의 교육
2. 삼국시대의 교육
3. 통일신라의 교육
|제 16 장| 고려시대의 교육
1. 고려의 사회와 문화
2. 고려의 교육제도
3. 과거제도와 교육
4. 교육사상가
|제 17 장| 조선시대의 교육
1. 조선의 사회와 문화
2. 교육제도
3. 관 학
4. 과거제도와 교육
5. 교화정책
6. 성리학과 교육사상
|제 18 장| 조선 후기의 교육사상
1. 실학의 교육사상
2. 동학의 교육사상
|제 19 장| 근대의 교육
1. 개화기의 교육
2. 일제강점기의 교육
3. 미군정기의 교육
제4부 전통교육철학
|제 20 장| 태 교
1. 태중교육
2. 조기교육
3. 모성교육
4. 태교와 교육
|제 21 장| 격 몽
1. 동몽교육
2. 율곡 이이와 '격몽요결'
3. '격몽요결'의 동몽교육 원리
|제 22 장| 사 제
1. 사제관계와 교육
2. 스승과 제자
3. 사제동행
|제 23 장| 효 행
1. 효와 오륜
2. 효행교육의 논리
3. 효행의 현대적 원리
|제 24 장| 군사부
1. 군사부일체
2. 책선·간쟁·역자
3. 군사부일체의 현대적 의미
|제 25 장| 홍익인간
1. 교육이념으로서의 홍익인간
2. 홍익인간의 논리적 구조
3. 홍익인간의 교육적 함의
•인명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