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복지가 행복하려면

후배 사회복지사들과 나누고 싶은 이야기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20221123204971.jpg


여는 글 : 사회복지 공무원의 길을 가는 사람에게

 

세상에서 가장 귀한 것은 사람의 생명이다. 그 가운데 어렵고 힘든 사람들을 돕는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생명은 더욱 소중하다. 2013년 봄, 보육비 지원대란 속에 업무의 책임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신규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이 가슴 아프게 떠오른다. 이제 다시는 후배 공무원들이 막다른 길에서 세상을 등지는 일은 없어야겠다.

언제나 복지의 꿈은, 바람직한 미래를 급히 선취하려 그것에 수반하는 노동의 힘듦을 충분히 예견하지 않았다. 민원현장에서 벌어지는 제도와 현실의 괴리는 오직 시행착오를 통해 너무도 느리게 적정한 상태를 만들어 냈다.

사회복지공무원들은 어려운 주민을 만나 그들의 문제와 고통을 해결하는 복지제도를 어떻게 제시하고 자립의 길로 안내할 수 있을까? 그 어려운 답을 누구 한 사람이 선뜻 내놓을 수는 없으리라. 하지만 아픔을 공감하고 자신이 느낀 부분을 솔직히 나눈다면, 거기서부터 딛고 나갈 징검다리를 발견하게 될 수 있지 않을까.

나는 어려서 지체장애를 갖게 되었고 1987 6월 항쟁을 겪으며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시민운동 활동가로 뛰려 했으나 꿈을 이루지 못하고 복지공무원으로 시작하여 27년 차를 맞고 있다. 복지행정을 하면서 공무원 노동조합과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 사회복지사협회 활동을 함께 해오고 있다.

이 책은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새내기 공무원을 비롯하여 사회복지현장의 공무원들에게 나의 삶을 3부로 나누어 이야기해 보려 한다.

1부는 복지행정 업무를 해나가는 공무원 사회 내부 이야기를 담았다. 처음 일을 시작하는 공무원들의 이야기, 직장 내 상하관계, 함께 일하는 동료 간의 의사소통과 협력, 복지행정 실제 사례, 지역복지를 추진하는 이야기까지 담아보았다.

2부는 복지공무원들이 어떻게 하면 자신을 지켜나가면서 지속 가능하고 건강하게 일할 것인가 하는 고민을 해보았다. 소진에 빠졌을 때 어떻게 탈출할 것인가, 어제와 같은 오늘을 유지하는 항상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들,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떻게 자신을 격려하고 문제를 풀어나갈 것인가를 나의 경험과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했다.

3부는 지역 주민들과 함께 소통하고 싶은 이야기를 담았다. 장애에 대한 인식,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 노인빈곤에 대한 정책적인 판단 등 여러 가지 실타래로 얽혀있지만 복지 실무를 했던 담당자가 느낀 현장의 이야기를 나눈다. 또한 각 분야 행정경험을 통한 사고의 전환 과정도 공유하려고 한다.

복지현장은 만만치 않다. 내일 당장 대단한 일이 벌어진다는 예상으로 전전긍긍 어려워하다가 너무나 쉽게 일이 풀려 허탈할 수도 있다. 쉽다고 생각되던 일이 내가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자꾸만 꼬여져 헝클어지기도 한다. 좋은 상황이든 나쁜 상황이든 나는 그저 가만히 지켜보면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할 수밖에 없다. 일의 결과에 따라 너무 쉽게 나를 자책하거나 자신의 능력 없음을 탓하지 말았으면 한다. 결과의 원인은 다양하다. 다양한 원인이 하나의 결과를 산출하기 때문이다.

각종 벌어지는 힘든 일 속에서도 깊은숨 한번 들이키고, 느려도 한 걸음씩 나아가 보려는 당신을 격려하고 응원한다.


 

1부 아무도 없는 곳에 혼자서

01 아무도 없는 곳에 혼자서 8

02 서로의 마음 알아주기 14

03 각자의 자리에서 자기의 일을 하기 18

04 김계장님을 그리며 22

05 지역리더 조직하기 26

06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 함께하기 31

07 베스트 공무원워스트 공무원 36

08 동료들의 도움받기 40

09 엄두가 나지 않는 일사망한 수급자의 금품 국고 귀속 44

10 생활 속의 아이디어를 만나다노인복지관 분관 48

11 사회복지공무원의 인권개선 어떻게 52

12 시작하는 그대를 격려하며 57

13 사회복지사협회 활동하기 61

 

2부 어떻게 달리 볼 것인가

01 모든 것이 바닥일 때 재래시장을 찾는다 68

02 노동조합과 함께하기 73

03 어떻게 달리 볼 것인가? 77

04 책 속에 길이 있다 81

05 전환을 위한 점심시간 86

06 언제든 뛰어들 체력 갖추기 90

07 일상을 떠나 또 하나의 세계를 맞이하며 94

08 마음 챙기기 98

09 한 시간 동안 욕을 들으며 그 부당함을 감내했다 102

10 의미를 찾아서 106

11 친구들의 세계보편성을 위해 111

12 열린복지포럼모두에게 열린 복지아카데미 115

 

3부 누가 도와달라 했느냐

01 불편한 걸음에도 세상은 흔들리지 않아 122

02 생김새가 달라도 같은 시민 127

03 비폭력대화로 만나라 132

04 줬다 뺏는 기초연금 유감(遺憾) 137

05 당사자와 마주하기 142

06 끊을 수 없어 경청하였다 146

07 감정이입을 넘어서 151

08 무엇이 친절인가 156

09 누가 도와달라고 했는가 161

10 한 번만 달리 생각할 수 있다면 165

11 우리 안의 미투(#me too) 생각하기 169

12 후원으로 아름다운 세상 만들기 174

 

닫는 글 : 웃음 띤 얼굴을 상상하며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