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제 1 부 평생교육의 학문적 토대
제 1 장 평생교육과 성인교육
1.평생교육과 성인교육의 함의
2.안드라고지의 이해
3.평생교육의 제 특성
4.성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목적
5.평생교육 관련용어
제 2 장 평생교육의 태동과 발달
1.평생교육의 태동
2.평생교육체제 발달과정
3.한국 평생교육의 전개
제 3 장 사회의 변화와 평생교육
1.'공부'의 통념으로부터 '배움'으로의 인식 전환
2.모든 이를 위한 배움의 실천
3.지역공동체 활용을 통한 개인의 능력향상과 사회자본화
4.저출산 . 고령화 . 다문화 . 사회통합을 위한 배움의 영속화
제 4 장 성인의 학습능력과 학습원리
1.학습자로서의 성인
2.성인의 학습가능성
3.성인의 발달단계와 성인학습
4.성인학습의 원리
제 2 부 평생교육의 실천단계
제 5 장 평생교육의 실천적 의미
1.UNESCO, OECD의 평생교육 진단
2.존재적 삶과 평생학습
3.평생학습에서 배움으로
제 6 장 성인교육자와 평생교육사
1.성인교육자의 유형
2.성인교육자의 자질과 역할
3.평생교육사
제 7 장 평생교육시설 유형
1.평생학습도시
2.학교의 평생교육
3.정규 대학 . 원격대학 . 사내대학의 평생교육
4.지역공공기관과 평생교육
5.사업장 부설 평생교육
6.언론기관 부설 평생교육
7.지식 . 인력개발관련 평생교육
제 8 장 대학 내의 평생교육 동향
1.대학의 사명과 사회봉사
2.대학 내의 평생교육 형태
3.평생학습 중심대학
4.방송통신대학과 원격대학
5.대학 평생교육의 발전방향
제 3 부 삶 속의 실천을 위한 평생교육
제 9 장 지식기반 사회의 평생교육
1.정보화와 지식기반 사회의 의미
2.정보화로부터 지식기반 사회로의 전환
3.지식기반 사회의 특성
4.지식기반 사회 적응과 평생교육
제 10 장 여성 . 노인 .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1.여성 평생교육
2.노인교육
3.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제 11 장 평생교육실천 담론
1.평생교육의 가정으로부터 시작
2.빈곤 해소와 평생교육
3.일과 일터의 평생학습
4.더불어 살기 위한 학습
제 12 장 열린 미래를 위한 평생교육 정책방향
1.평생교육접근의 기회평등
2.고등교육기관의 입시정책과 대학문화의 변화
3.평생교육실천의 개조적 접근
4.배움 실천을 위한 열린 학습사회 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