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봉사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좋은 교사는 어떤 교사일까? 누군가는 잘 가르치는 교사를, 또는 선배 교사의 도움 없이도 학급을 잘 운영해 나가는 교사를, 다른 누군가는 아이들을 많이 사랑해 주는 교사를 좋은 교사로 꼽는다. ‘좋은 교사’라는 말에 이 모든 의미가 다 담겨 있기 때문일 것이다.
  교육봉사활동은 교사양성과정에서 ‘좋은 교사’를 길러내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직전교육만으로 초임교사가 되면서부터 잘 가르치는 교사, 학급을 원활하게 운영해 나가는 교사가 되기는 어려운 일이다. 또한 직전교육에서 배우는 이론적 지식은 유아교육에서의 ‘가장 이상적이며 지표가 되는’ 지식이기에 교육현장과의 괴리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실제로 신입 유치원 교사의 재교육 기간은 평균 8.5개월이 걸린다(오욱환, 2009). 또한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을 경험할 수 있는 실습과목은 교육봉사활동을 제외하고는 학교현장실습이 유일하다. 즉, 교원양성기관의 교육이 사회적 요구 및 교육현장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기존의 교원양성기관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사회의 요구와 괴리되지 않는 교육의 장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배운 이론이나 지식을 실제 현장과 접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들어 하루 걸러 뉴스의 일부를 자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학대 문제를 차치하고라도 유아를 사랑하는 마음과 바른 인성, 사명감과 봉사 정신 등은 교사의 가장 기본적인 자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사회적 요구들을 종합하여 볼 때, 교육봉사활동은 교사양성과정에 있는 학생들이 그동안 익힌 이론적 지식을 활용하여 봉사활동을 실시함으로써 교사로서의 전문적 자질 및 인성, 도덕성, 유아에 대한 사랑과 같은 인간적 자질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둔 필수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진 활동이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봉사활동의 개념을 살펴보고 예비교사의 인간적·전문적 성장을 도울 수 있는 교육봉사활동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018년 6월
저자

 


1장 교육봉사활동의 이해

1. 교육봉사활동의 개념
2. 교육봉사활동의 목표
3. 교육봉사활동의 가치
4. 교육봉사활동의 법적 기준
5. 교육봉사활동의 유형


2장 교육봉사의 기본 조건과 자세

1. 교육봉사자의 기본 조건
2. 교육봉사활동에 임하는 태도


3장 교육봉사활동의 준비

1. 교사양성기관의 준비
2. 교육봉사기관의 준비
3. 교육봉사자의 준비


4장 교육봉사활동의 실제

1. 교육봉사활동 계획하기
2. 교육봉사활동 보고서 작성하기
3. 교육봉사활동의 평가


5장 교육실습으로서의 교육봉사

1. 실습 관련 인적자원의 역할 및 입장 이해
2. 예비교사의 불안과 스트레스
3. 활동별 예비교사 행동 지침


부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