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구학적 변화는 고령화와 저출산 그리고 다문화를 꼽을 수 있다. 그간 단일민족의 자긍심을 강조해 오던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는 이를 생소하게 느낄 여지도 없이 우리 사회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국내 체류 외국인은 2003년 67만여 명에서 2014년 8월을 기점으로 171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2000년대 이후 결혼이민자와 이주노동 외국인들이 급증한 결과이다. 결혼과 취업 등으로 한국에 온 외국 이주민들이 한국 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다문화가정이 2014년 기준 전국적으로 23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한국에 온 이주민들이 증가하고, 다문화가정이 20만 가구를 넘어서며 한국 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들도 매년 늘고 있는 추세이기에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50년 다문화가구는 약 98만 6,000가구로 한국 전체 가구 중 4.8%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간 정부에서는 다문화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정책들을 준비하여 다문화가족 관련 서비스를 펼쳐와 결혼이민자 등 수혜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앞으로는 지원중심의 서비스 정책에서 벗어나 사회참여 지향 중심으로 정책전환을 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사회정착 및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 다문화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다문화가 우리 사회에 자연스럽게 자리잡아 갈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본 서는 우리 사회의 이러한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일상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저술하게 되었다. 책의 내용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다문화사회의 개념과 등장배경, 외국의 정책 등을 먼저 소개하고, 다문화가족의 상담기초, 상담적 접근 방법, 가족상담의 실제 등을 소개하여 다문화사회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가족을 상담하고 실천하는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문화가족의 특성을 고려한 상담교재를 집필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지만 미흡한 부분은 앞으로 좀 더 연구하여 수정 보완하도록 하겠다. 이 책의 출판을 위해 수고하신 도서출판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Chapter 1 다문화사회의 이해
1. 다문화사회화 현황
2. 한국의 다문화사회화의 특징
3. 한국 다문화가족의 유형
4. 한국 가족의 특성 및 문제점
Chapter 2 다문화가족의 등장 배경
Chapter 3 한국 사회의 다문화주의
1. 한국적 다문화주의
2.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
3. 한국 다문화가족정책
Chapter 4 다문화가족의 지원정책
1. 다문화가족 정착 및 생활 지원
2. 다문화가족 자녀양육 지원
3.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 개선
4. 정책 총괄ㆍ조정기능 강화
5. 위기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
Chapter 5 외국의 다문화정책
1. 미 국
2. 프랑스
3. 캐나다
4. 호 주
5. 일 본
Chapter 6 다문화 가족상담의 기초적 이해
1. 상담기법
2. 다문화상담의 이해
3. 국내 다문화상담
4. 내담자의 문화현상
Chapter 7 다문화가족의 상담적 접근
1. 다문화가족 부부상담
2. 다문화가족 자녀상담
3. 다문화 가족상담
Chapter 8 가족상담의 실제
1. 사례관리의 개념
2. 사례관리의 과정
3. 사례연구
Chapter 9 다문화가정의 이혼 요인
1. 다문화가정의 이혼의 특징
2. 다문화가족 해체 사유
3. 한국가정법률사무소의 혼인ㆍ이혼 자료
Chapter 10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
1. 의사소통 개념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3.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Chapter 11 다문화가족의 자녀상담
1. 다문화 자녀의 등장
2. 다문화 청소년의 정의
3. 다문화 청소년 현황
4. 다문화 청소년 특성
5. 다문화 청소년의 위기
6.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적응
7. 다문화 청소년의 적응
8.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필요성
9.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방향
Chapter 12 국적취득 및 귀화절차 상담
1. 국적취득
2. 귀화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