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되고 있는 과정에서 가족, 공동체, 민족, 국민ㆍ국가, 절대주권, 시민권, 인권, 노동권, 거주권, 그리고 문화적 권리 등에 대한 개념을 조화ㆍ수용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총체적으로 탐구해 봄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사회가 성숙한 다문화사회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타인 인권존중,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 소통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문화적 유능감이 요구된다. 전 세계는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는 '지구촌 한 국가' 시대로 진입하는 법을 스스로 배우며 성장하여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다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필요로 하는 가치, 지식, 기술을 토대로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기 위해 이론과 현장의 목소리를 들려주고 실천하는 것을 토대로 기술하였다.
본서는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과 제2장에서는 문화의 개념, 특성, 구성, 인간과 문화와 실태, 다문화의 사회서비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도입 및 교육실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교육 프로그램, 정책, 그리고 발전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문화적, 사회적, 인종적 갈등, 제6장에서는 다문화 가족상담의 개념, 기법, 사례, 제7장에서는 국제결혼업체의 현황과 실태, 외국인 범죄현황과 실태, 한국의 저출산 문제, 다문화가정의 빈곤문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제8장에서는 이민정책의 개념, 사회서비스, 관계법, 정책의 발전 방향, 제9장에서는 이민과 인권보호의 딜레마, 인권보호의 정치, 난민, 법과 도덕의 갈등, 유엔정책을 기술하였다. 제10장에서는 이민의 도덕적 가치관, 이민의 폐해, 이민 2세들의 정체성, 이민의 사회적 갈등문제해결, 제11장에서는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개념, 정책의 현황과 특성, 관련법과 과제, 사회통합 정책의 발전방향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였다.
제12장에서는 다문화복지실천의 개념, 사회복지사의 자질, 현장의 실천 프로그램, 다문화사회복지의 발전방향을 구성하였다. 또한 각 장별로 끝 부분에 '탐구주제'를 삽입하여 한국사회 다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와 학문에 정진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었다. 학문적인 이론과 사례관리로 한국의 다문화주의는 문화와 정체성이 확립되고 모든 개인이 시민으로서 평등한 지위와 균등한 기회, 진단, 처방, 실천이라는 5가지 요소를 탐색할 수 있다.
본서는 다문화시대에 부응하는 다양한 관점으로 깊이 있는 내용을 저술하려고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여러 제약으로 인해 내용을 충분히 기술하지 못한 미진한 부분은 계속적으로 수정·보완해 가고자 한다. 여러 독자들의 충고와 아낌없는 조언을 바탕으로 학문발전에 도움을 받고자 한다.
본서가 출간되는 데 다방면으로 참여를 해주신 저자들과 아낌없는 조언을 해 주신 선배와 동료, 후학들의 도움에 힘입어 출간하게 된 것에 고마움을 느낀다.
또한 이 책의 출판에 도움을 주신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을 비롯한 편집부 모든 분들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1장 문화란 무엇인가?
1. 문화의 개념
2. 문화의 특성
3. 문화의 구성
4. 인간과 문화
2장 다문화란 무엇인가?
1. 다문화의 개념
2. 다문화의 특성
3. 다문화의 실태
4. 다문화의 사회서비스
3장 한국의 다문화교육
1. 다문화 개념
2.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도입 및 교육실태
3.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4. 다문화교육프로그램
5. 다문화교육의 발전방향
4장 다문화 정책
1. 다문화 정책의 개념
2. 외국의 다문화정책
3. 다문화 정책의 실태
4. 다문화정책의 발전방향
5장 다문화사회의 갈등과 문제해결
1. 문화적 갈등
2. 사회적 갈등
3. 인종적 갈등
4. 일자리 갈등
6장 다문화 위기가족의 상담
1. 다문화가족상담의 개념
2. 다문화가족상담의 기법
3. 다문화위기 가족상담의 사례
4. 다문화가족의 우수사례
7장 외국인들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
1. 국제결혼업체의 현황과 실체
2. 외국인 범죄현황과 실태
3. 한국의 저출산 문제
4. 다문화 가정의 빈곤문제
8장 이민정책
1. 이민정책의 개념
2. 이민자를 위한 사회서비스
3. 이민자를 위한 관계법
4. 이민자를 위한 정책의 발전방향
9장 이민과 인권보호의 딜레마란?
1. 인권보호의 정의
2. 정치적 망명
3. 난민
4. 법과 도덕의 갈등
5. 유엔정책
10장 이민의 사회적 문제해결 방법
1. 도덕적 가치관
2. 불법이민의 폐해
3. 이민 2세의 정체성
4. 이민의 사회적 갈등문제해결
11장 다문화와 사회통합 프로그램
1.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개념
2. 사회통합정책의 현황과 특성
3. 사회통합정책 관련법과 과제
4. 사회통합 정책의 발전방향
12장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1. 다문화복지실천의 개념
2. 다문화 사회복지사의 자질
3. 사회복지현장의 실천프로그램(실제)
4. 다문화사회복지의 발전방향 및 과제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