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제1부 교육과정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과 발전
1. 교육과정의 개념
2. 교육과정의 변천
3.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 변천사
제2장 교육과정의 유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2. 경험중심 교육과정
3. 학문중심 교육과정
4. 인간중심 교육과정
제3장 교육과정의 기초
1.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2. 교육과정의 사회적 기초
3. 교육과정의 심리적 기초
제4장 교육과정의 구성과 목표설정
1.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2. 교육목표의 설정
제5장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1. 교육내용의 의미
2. 교육내용의 선정원리 및 방법
3. 교육내용의 조직원리 및 방법
제6장 단원의 구성
1. 단원의 개념과 유형
2. 단원의 계획과 전개
제7장 교수-학습과정
1. 교수-학습의 개념
2. 교육과정과 교수의 관계
3. 교수이론
4. 교수-학습방법의 유형
제8장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1. 교육과정 개발
2. 교육과정 운영
제9장 교육과정이론의 유형
1. 전통주의
2. 개념-경험주의
3. 재개념주의
제10장 교육과정 사회학
1. 지식사회학
2. 경제적 재생산이론
3. 문화적 재생산이론
4. 헤게모니 이론
제2부 교육평가
제11장 교육평가의 기초
1. 교육평가의 개념
2. 교육평가의 기능
3. 측정·평가의 개념 구분
4. 교육평가의 형태분류
5. 교육평가의 발전과정
제12장 문장유형의 선정과 문항개발의 절차
1. 문항제작의 기초
2. 문항개발의 절차
3. 출제에서의 컴퓨터 활용
제13장 평가문항의 제작
1. 문항형태별 제작원리
2. 측정수준에 따른 제작원리
3. 출제문항의 점검사항
제14장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1. 문항의 난이도
2. 문항변별도
3. 답지의 능률성
4. 절대평가 시험의 문항분석
5. 고전검사이론의 문제점
6.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문항분석
제15장 문항반응이론의 특성
1. 문항반응이론의 특성
2. 문항특성곡선
3. 문항반응이론의 가정
4. 문항반응모수
5. 문항반응모형
6. 문항반응이론의 제한점
제16장 타당도와 신뢰도
1. 타당도
2. 신뢰도
3.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4. 객관도
5. 실용도
6. 절대기준평가에서의 타당도의 추정방법
제17장 평가결과의 해석을 위한 기초통계
1. 측정에 사용하는 척도
2. 정상분포곡선
3. 표준점수
4. 검사점수의 처리를 위한 기초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