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그동안 한 울타리에서 박사학위의 과정을 마치고 배운 이론을 학교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해 몸부림치는 후학들의 다양한 경험과 고뇌들이 이 책에 담아지길 희망하였다. 많은 일이 그렇듯이 직장과 가정의 일상 속에서 지친 몸뚱어리를 다시 바로 세워가며 익숙하지 않은 일들을 조금씩 이어감은 큰 고통과 힘겨움의 연속이다. 이젠 탈고의 촉박함 속에 애초의 바램이 무디어가고 ‘처음이니까’라며 마음속 되새김질로 위안을 삼게 된다. 항상 불안한 존재임을 자각하며 더 나아지리라는 독백과 함께 모든 것을 감싸주고 덮어주는 사랑의 하나님을 깨닫는 순간이다.
특별한 가르침이나 모범적인 학문의 길을 보여주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따라와 준 6명의 저자분들께 깊은 고마움을 전한다. 이 책은 사범대학, 비사범대학 교직과정, 그리고 교육대학원에서 교직을 이수하는 학생들이 학습하기에 적합한 내용과 분량으로 구성하였다. 변화가 심한 시대이지만 또한 그것을 무시하지 못한다. 임용고사의 출제방식이 변할 때마다 조금씩 강의방식도 그리고 중간 및 기말 고사의 출제형식도 바뀌게 된다. 변하지 않는 진리를 세상 속에서 찾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세상의 변화에 너무 빠르게 따라가는 우리 대학의 모습을 보면서 상아탑의 진리를 운운하는 것은 고전(古典)이 되어버린 지 오래다. 백년대계는 아니더라도 5년 혹은 10년의 앞을 내다보고 먼 미래의 참 스승을 길러내는 교원양성의 정책들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길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이 책의 구성은 1장 교육행정의 기초(정세민), 2장 교육행정이론의 발달(김유화), 3장 동기이론(황연우), 4장 지도성 이론(김유화), 5장 조직이론(정세민), 6장 교육인사행정(문선향), 7장 교육정책론(문선향), 8장 교육제도와 교육법규(황연우), 9장 장학행정(이 원), 10장 의사결정론(유평수), 11장 학교경영(김윤정), 12장 교육경제와 재정(유평수), 13장 학급경영(이 원)으로 되어 있다. 각 장의 마지막에 정리하기를 통해 중요내용을 요약하였으며, 임용고사를 대비한 논술형 문제를 교재에 직접 작성하는 란을 만들었다. 여러 명의 저자로 인해 통일되지 않은 용어나 부족한 부분은 계속적으로 수정ㆍ보완할 것 약속하며, 흔쾌히 출간을 허락해 주신 공동체의 사장님과 임직원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4년 2월
대표저자 유평수
chapter 01 교육행정의 기초
제1절 교육행정의 의의
제2절 교육행정의 원리
1. 민주성의 원리
2. 효율성의 원리
3. 합법성의 원리
4. 합목적성의 원리
5. 적응성의 원리
6. 적도집권의 원리
7. 안정성의 원리
제3절 교육행정의 영역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02 교육행정이론의 발달
제1절 고전적 조직이론(1910∼30)
1. 과학적 관리론과 교육행정
2. 행정관리론과 교육행정
3. 관료제와 교육행정
제2절 인간관계론(1930~50)
1. 인간관계론의 원리
2. 호손실험 연구
3. 인간관계론의 공헌과 한계
4. 인간관계론과 교육행정
제3절 행동과학론(1950년대)
1. 행동과학이론의 원리
2. 행동과학이론의 특징
3. 버나드(Barnard)와 사이몬(Simon)의 이론
4. 행동과학론과 교육행정
제4절 체제이론(1960년대)
1. 체제이론의 원리 및 특징
2. 개방체제로서의 교육조직
3. 게젤스(Getzels)와 구바(Guba)의 사회체제모형
4. 체제이론과 교육행정
제5절 대안적 이론
1. 해석적 관점
2. 급진적 관점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03 동기이론
제1절 동기의 개념
제2절 내용이론
1. 매슬로우(Maslow)의 욕구단계이론
2. 앨더퍼(Alderfer)의 ERG이론
3. 허즈버그(Herzberg)의 2요인설
4. 맥그리거(McGregor) X이론과 Y이론
5. 맥클랜드(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제3절 과정이론
1. 브룸(Vroom)의 기대이론
2. 포터(Porter)와 로울러(Lawler)의 동기모형
3. 애덤스(Adams)의 공정성이론
4. 로크(Locke)의 목표설정이론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04 지도성 이론
제1절 지도성의 정의
1. 지도성의 개념
2. 지도성과 교육행정
제2절 지도성 이론의 세 가지 접근
1. 특성론적 이론
2. 행동론적 이론
3. 상황론적 이론
제3절 새로운 형태의 지도성 이론
1. 변혁적 지도성
2. 카리스마적 지도성
3. 감성 지도성
4. 서번트 지도성
5. 수퍼 지도성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05 조직이론
제1절 조직의 정의
제2절 조직의 원리
1. 계층제의 원리(principle of hierarchy)
2. 기능적 분업의 원리(priniple of division of work)
3. 조정의 원리(priniple of coordination)
4. 적도집권의 원리(priniple of optimum centralization)
5. 명령통일의 원리(principle of unity of command)
6. 통솔한계의 원리(principle of span of control)
제3절 조직의 구조
1. 공식조직과 비공식 조직
2. 계선조직과 참모조직
3. 집권화 조직과 분권화 조직
제4절 조직의 유형
1. 카츠(Katz)와 칸(Kahn)의 구분
2. 에치오니(Etzioni)의 구분
3. 칼슨(Carlson)의 구분
4. 파슨즈(Parsons)의 구분
제5절 학교조직의 특성
1. 조직화된 무질서
2. 이완결합체제의 성격
제6절 학교조직풍토ㆍ학교조직건강ㆍ학교조직문화
1. 학교조직풍토
2. 학교조직건강
3. 학교조직문화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06 교육인사행정
제1절 교육인사행정의 기초
1. 교육인사행정의 개념
2. 교육인사행정의 원리
3. 교육인사행정의 영역
4. 교육직원의 분류
제2절 교원의 양성과 임용
1. 교원수급계획
2. 교원의 양성 및 자격
3. 교원의 선발과 임용
제3절 교원의 능력 개발
1. 현직연수
2. 교원의 승진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07 교육정책론
제1절 교육정책의 기초
1. 교육정책의 개념과 정의
2. 교육정책의 가치
3. 교육정책의 유형
제2절 교육정책 형성 모형
1. 이스턴(Easton)의 모형
2. 캠벨(Campbell)의 모형
3. 드로어(Dror)의 모형
4. 커닝햄(Cunningham)의 모형
5. 김윤태의 모형
6. 김명한의 모형
제3절 교육정책 형성의 영향 요인
1. 교육정책 형성의 참여자
2. 교육정책 형성의 제약요인
제4절 우리나라 교육개혁 정책의 전개와 과제
1. 교육개혁의 의의
2. 교육개혁 정책의 전개 및 특징
3. 교육개혁의 성과 및 과제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08 교육제도와 교육법규
제1절 교육제도
1. 교육제도의 개념
2. 학교제도
3. 학교제도의 원칙
4. 한국의 학교제도
5. 교육행정제도
제2절 교육법
1. 교육법의 개념과 특성
2. 교육법의 기본 원리
3. 교육법규의 구조
4. 교육권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09 장학행정
제1절 장학의 개념
1. 장학의 정의
2. 장학의 원리
3. 장학의 과업
제2절 장학의 발달과정
1. 관리장학
2. 인간관계 장학
3. 수업장학
4. 발달장학
제3절 장학의 유형
1. 임상장학
2. 동료장학
3. 자기장학
4. 확인장학
5. 선택적 장학
6. 컨설팅 장학
제4절 장학담당자
1. 장학담당자의 자질
2. 장학담당자의 역할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10 의사결정론
제1절 의사결정의 개념과 유형
1. 의사결정의 개념
2. 의사결정의 유형
3. 의사결정의 영역
제2절 의사결정의 모형
1. 의사결정의 이론모형
2. 의사결정의 참여적 모형
제3절 의사결정의 과정
1. 문제의 인지 및 정의
2. 자료수집 및 분석
3. 문제해결을 위한 준거설정
4. 행동계획과 전략개발
5. 행동계획의 실행과 평가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11 학교경영
제1절 학교경영의 기초
1. 학교경영의 개념
2. 학교경영의 원리
3. 학교경영의 영역
4. 학교경영의 특징
제2절 학교경영 조직
1. 교무분장조직
2. 학교운영위원회
제3절 학교경영의 기법
1. 정보관리체제(MIS)
2. 목표관리기법(MBO)
3. 기획예산제도
제4절 학교의 사무관리
1. 문서의 개념
2. 문서의 분류
3. 문서의 작성
4. 문서의 접수 및 처리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12 교육경제와 재정
제1절 교육재정의 기초
1. 교육의 투입과 산출 요소
제2절 교육재정의 본질
1. 교육재정의 개념
2. 교육재정의 성격
3. 교육재정의 배분
제3절 학교예산의 운영
1. 학교예산회계제도
2. 학교예산운영의 과정
3. 학교예산 운영의 원리
■ 정리하기
■ 적용하기
chapter 13 학급경영
제1절 학급경영의 개념
1. 학급경영의 정의
2. 학급경영의 원리
3. 학급경영의 영역
제2절 학급경영 계획
1. 학급경영의 실제
2. 학급환경의 정비
3. 학급경영의 평가
제3절 학급담임
1. 학급담임의 자질
2. 학급담임의 임무
3. 학급담임의 업무
■ 정리하기
■ 적용하기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