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21세기 조직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소통'과 '공감'을 기반으로 하는 온정적 합리주의(CR : Compassionate Rationalism) 리더십이 요청되고 있다.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이란 리더의 행동이 합리주의에 의해 전반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필요에 따라 온정주의가 보완되는 리더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숭실대학교 부설 CR글로벌리더십연구소에서는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의 철학을 기초로 2015년 11월부터 2016년 6월 사이에 총 3회에 걸쳐 <대학의 '따뜻한 변화'를 위한 '소통'과 '공감'의 글로벌 리더십 전략 대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 책은 이러한 리더십 전략 대토론회에서 발표되었던 내용들을 저서의 목적에 맞게끔 재편집한 것이다.
우선 제1부에서는 한국 사회와 대학의 '따뜻한 변화'를 위한 '소통'과 '공감'의 리더십으로서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에 대한 개념이 이 책의 서론으로서 소개된다. 제2부는 '한국 사회의 변화를 위한 리더십'이라는 주제하에 한국 사회의 리더십의 가치와 철학인 소통과 공감, 한국의 정치ㆍ행정 분야에서의 리더십, 그리고 한국의 경제ㆍ경영 분야에서의 리더십의 내용이 제시된다. 제3부에서는 '한국 대학의 위기극복을 위한 리더십'을 다룬다. 여기에서는 대학의 역사성 및 설립이념 구현과 리더십, 대학의 경쟁력ㆍ특성화와 리더십, 그리고 대학 재정 확보 및 투자와 리더십이 차례로 다루어진다. 제4부에서는 '한국 대학의 세계적 수준화를 위한 대학 거버넌스의 리더십'에 대한 내용으로서 대학의 기능과 연구를 위한 교수의 리더십, 대학의 위기와 대학총장의 리더십, 기독교 대학의 성장, 발전과 대학 경영진의 리더십의 내용이 제시된다.
이 책에 나오는 각 장의 글은 해당 분야에서 가장 권위가 있는 학자들에 의해 발표된 것들이다. 연구와 교육에 분주한 나날을 보내면서도 CR글로벌리더십연구소의 글로벌 리더십 전략 대토론회를 위하여 주옥같은 원고를 발표해 주신 김광명, 배귀희, 김근배, 박정신, 조문수, 전규안, 신용태, 오시영, 김영길 교수님, 아울러 각 발표 원고에 대하여 열정적으로 토론해 주신 박영신, 허성관, 배재훈, 심영복, 곽창신, 김경회, 한준상, 김영옥 교수님, 그리고 포괄적인 시각으로 종합토론을 이끌어 주신 김광웅, 김신복, 문용린 교수님께 진심 어린 감사를 드린다.
아마도 독자들은 이 책을 처음부터, 혹은 중간에서 본인이 가장 관심을 갖는 부분부터 읽어도 무방할 것이다. 그만큼 이 책의 내용은 각 주제별로 독립성을 띠면서도 종합적으로 상호 관계성을 맺고 있은 것이 최대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무쪼록 이 책이 한국 사회와 대학에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에 기초한 '따뜻한 변화'를 가져오는 이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책의 출간에 즈음하여 편자는 CR글로벌리더십연구소장으로서 이병호, 김한준, 김미자, 연지연, 박성준 박사님들을 비롯한 수십 명의 연구소 스텝진과 운영위원들에게 무한한 사랑과 감사를 표하고자 한다. 이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없었더라면 아마 이 책은 빛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끝으로 이 책의 출간을 맡아주신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제1부 : 한국 사회와 대학의 '따뜻한 변화'를 위한 '소통'과 '공감'의 리더십
1.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최은수(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교수/ CR글로벌리더십연구소 소장)
제2부 : 한국 사회의 변화를 위한 리더십
2. 소통과 공감의 리더십 : 칸트의 <판단력비판>을 중심으로
김광명(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
3. 공공부문에서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오센틱 리더십과 섬김 리더십의 비교를 중심으로
배귀희(숭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4.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과 기업의 목적
김근배(숭실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제3부 : 한국 대학의 위기극복을 위한 리더십
5. 대학의 역사성 및 설립이념 구현과 리더십 : 숭실대학교 이야기
박정신(숭실대학교 법인이사, 역사학)
6. 대학의 경쟁력ㆍ특성화와 리더십
조문수(숭실대학교 산업ㆍ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7. 대학 재정 확보 및 투자와 리더십
전규안(숭실대학교 회계학과 교수)
제4부 : 한국 대학의 세계적 수준화를 위한 대학 거버넌스의 리더십
8. 대학의 기능과 연구를 위한 교수의 리더십
신용태(숭실대학교 컴퓨터학부 교수)
9. 대학의 위기와 대학총장의 리더십
오시영(숭실대학교 국제법무학과 교수)
10. 21세기 기독교 대학 교육과 사명 : 무너진 창조 질서의 회복
김영길(한동대학교 초대-4대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