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개론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제 1 부 사회복지 총론

제 1 장 사회복지 개념
1. 사회복지의 의미
2. 사회복지의 개념
1)사회복지의 어의적 개념
2)보충적 개념과 제도적 개념
3)사회복지 유사용어
3.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1)사회복지의 개념 기준
2)사회복지의 개념 변천

제 2 장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1. 사회복지와 가치
2. 사회복지에서 추구하는 가치
1)인간의 존엄성
2)자 유
3)평 등
4)사회적 연대
5)사회정의
3. 사회복지와 윤리
4. 사회복지의 목적과 동기
1)사회복지의 목적
2)사회복지의 동기

제 3 장 사회복지의 주체,객체(대상)
1. 사회복지주체
1)공공사회복지
2)민간사회복지
2. 사회복지의 대상
1)사회복지 대상자
2)대상자 선정 기준 -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3)사회복지 대상으로서 인간의 욕구
4)사회복지의 대상으로서 사회문제와 사회적 위험

제 4 장 사회복지의 역사
1. 서구의 사회복지의 역사
1)사회복지 이전시기
2)소극적 국가개입의 시기
3)민간 사회복지의 출현시기
4)사회보장의 시대
5)복지국가의 발전과 재편기
2.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1)개항 이후 : 선교단체 중심의 자선사업시기
2)해방 이후

제 2 부 사회복지실천방법론

제 5 장 사회복지실천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기능
1)사회복지실천의 목적
2)사회복지실천의 기능
3)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3. 사회복지실천 과정
1)접 수
2)자료 수집 및 사정
3)목표설정 및 계약
4)개 입
5)평가 및 종결
4. 사회복지실천모델
1)의료모델
2)생태학적 모델(ecological model)
3)통합적 모델
5. 사회복지 대상별 실천방법 및 기술
1)개인 대상 실천방법 및 기술
2)집단 대상 실천방법 및 기술
3)지역사회 대상 실천방법 및 기술

제 6 장 지역사회복지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
1)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2)지역사회복지의 이해
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기초
1)지역사회복지실천의 분석틀
2)지역사회복지실천의 유형
3)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실제
1)사회복지관
2)재가복지서비스
3)사회복지협의회
4)사회복지공동모금회
5)지역사회복지협의체

제 7 장 사회복지행정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특성
1)사회복지행정의 개념
2)사회복지행정의 특성
3)사회복지행정의 이념
2. 사회복지행정의 체계와 과정
1)사회복지행정의 체계
2)사회복지행정의 과정
3. 사회복지행정 이론
1)관료제 이론
2)과학적 관리론
3)인간관계론
4)체계이론
4. 사회복지조직과 서비스 전달체계
1)사회복지조직의 목표
2)사회복지조직의 원리
3)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제 8 장 사회복지정책
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독일계 사회정책의 개념
2)영 . 미계 사회정책의 개념
2. 사회복지정책의 영역
3.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
1)급여로써 무엇을 제공해야 하는가?
2)누구에게 급여가 제공되어져야 하는가?
3)어떻게 급여가 제공되어져야 하는가?
4)어떻게 재정을 충당할 것인가?
4.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1)사회복지문제의 형성
2)사회복지정책의제의 형성
3)사회복지정책의 결정
4)사회복지정책의 집행
5)사회복지정책의 평가
5. 사회복지정책과 복지국가
1)사회복지정책과 복지국가의 형성
2)복지국가의 특징과 유형
3)복지국가의 위기와 사회복지정책의 변화
4)복지국가와 사회복지정책의 미래

제 9 장 사회복지조사
1. 사회복지조사와 과학
1)과학의 개념
2)과학적 접근방법의 논리적 체계
2. 사회복지조사의 성격
1)사회복지조사의 의의, 유용성의 한계
2)사회복지조사의 성격
3. 사회복지조사의 종류와 단계
1)사회복지조사의 종류
2)사회복지조사의 단계
4. 표본추출
1)표본추출의 기초 개념
2)표본추출의 유형
5. 측정과 척도
1)측정과 척도의 개념
2)측정의 수준과 척도
3)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
6. 자료수집방법
1)설문지법
2)면접법
3)관찰법
4)내용분석법

제 3 부 사회복지분야론

제 10 장 사회보장
1. 사회보장의 개념
2. 사회보장의 원칙, 기능 및 재원
1)사회보장의 원칙
2)사회보장의 기능
3)사회보장의 재원
3.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
1)국민연금제도
2)국민건강보험제도
3)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4)고용보험제도
5)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6)공공부조제도

제 11 장 아동복지
1. 아동복지의 개념
1)아동복지의 정의
2)아동복지의 이념
3)아동복지의 의의
2. 아동복지의 대상
1)일반 아동
2)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
3)부 모
3. 아동복지서비스의 분류
1)서비스 제공 장소에 따른 분류
2)서비스 기능에 따른 분류
3)방어선 위치에 따른 분류
4.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황
1)아동복지정책의 현황
2)아동복지 관련법
3)아동복지서비스 현황
5. 아동복지의 과제와 전망

제 12 장 가족복지
1. 가족복지의 개념
2. 가족복지의 정책적 접근
1)가족복지정책
2)가족복지정책의 현황
3. 가족복지의 실천적 접근
1)가족복지서비스
2)가족치료
4. 가족복지의 과제와 전망
1)가족복지관점의 변화
2)가족복지정책의 방향 설정
3)가족복지관련법제와 가족복지정책 전달체의 정비
4)가족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제 13 장 노인복지
1. 노인인구의 특성과 노인문제
1)노인인구의 특성
2)노인문제의 정의
3)노인문제의 원인
4)노인문제의 양상
2. 노인복지의 이해
1)노인복지의 개념
2)노인복지의 원칙
3)노인복지의 접근방법
3. 노인복지의 내용 및 현황
1)소득보장정책
2)의료보장정책
3)주거보장정책
4)노인복지서비스

제 14 장 장애인복지
1. 장애의 개념
1)장애의 개념
2)장애의 유형
2. 장애인복지의 이해
1)장애인복지의 개념
2)장애인복지의 이념
3)장애인복지의 특성
3. 장애인복지의 현황
1)소득보장
2)고용보장
3)편의시설보장
4. 재활과 자립생활
1)재활의 의미
2)재활의 종류
3)자립생활
5. 장애인복지의 과제와 전망

제 15 장 의료 및 정신보건사회복지
1. 의료사회복지
1)의료사회복지의 개념과 목적
2)의료사회사업의 기능과 역할
3)의료사회복지의 현황
4)의료사회사업의 과제와 전망
2. 정신보건사회복지
1)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과 목적
2)정신보건사회복지의 대상
3)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능과 역할
4)정신보건사회복지의 현황
5)정신보건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제 16 장 학교사회복지
1.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1)학교사회복지의 정의
2)학교사회복지의 목적
2. 한국학교사회복지의 역사
3.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4.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모델
5. 학교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제 17 장 교정복지
1. 교정복지의 개념
2. 교정복지의 발달
3. 교정복지의 현황
1)교정복지의 주요 제도
2)교정복지 주요기관
3)교정복지 프로그램
4. 교정복지의 과제와 전망

참 고 문 헌
찾 아 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