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나는 중독치료센터를 개원하여 17년 동안 도박중독, 알코올중독, 마약중독 등 다양한 중독자들을 치료하고 있다. 이제까지 많은 중독자들과 가족들에게 회복의 길을 가도록 함께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중독자들을 위한 치료는 병원입원치료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1990년 이후 외래치료로 다양한 치료모델들을 적용하면서 효과적인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현재 일본에서도 중독자치료를 위해 다양한 치료모델들을 통합하여 치료를 하고 있다.
그래서 나 역시 중독자들을 현장에서 직접 상담하고 치료를 진행하면서 기존의 치료모델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통합적인 치료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중독자의 치료를 위해 중독전문의, 중독치료전문가, 심리치료사, 사회복지사, 회복자 등이 함께 협력하여 치료를 진행하면 많은 중독자들이 중독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 것으로 기대한다.
도박중독자들은 도박유형, 도박중독 원인, 도박중독의 강도, 도박 진행정도 등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도박중독자들의 회복을 위해서는 통합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도박중독으로 인한 신체적·심리적·사회적·가족적·영적 손상을 입었기에 더욱더 통합적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치료방법들을 중독치료에 적용한다면 확실하게 회복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이번에 '도박중독자의 회복을 위한 통합치료프로그램' 책을 발간하게 되었다. 이 책은 중독분야에 오랫동안 중독치료 임상현장에 나와 함께하였던, 엄태진 전문의, 한국중독연구소 김지연 소장, 연구원 이호성 선생님이 함께 공동으로 집필했다. 이 책은 도박중독자들과 가족들을 치료하면서 얻은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하였기에 많은 도박중독자들의 도박중독 회복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 책을 통해 도박중독자들이 회복의 길을 걸어가기를 기도하며, 가족들에게 희망을 주기를 바란다.
이 책을 함께 집필해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리고, 책을 출간하는 데 도움을 주신 최다혜 선생, 도서출판 공동체 대표님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6년 12월 낙산지혜관에서
대표저자 허근
| 제1장 | 도박중독자 치료를 위한 초기 개입
1. 도박중독자에 대한 동기부여 면접
2. 도박중독의 치료적 관계의 형성
3. 도박중독치료의 개입범위 설정
4. 도박중독의 치료단계
| 제2장 | 도박중독치료의 종류
1. 심리치료
2. 행동치료와 인지치료 및 인지행동치료
3. 가족치료
4. 집단치료
5. 입원치료
6. 약물치료
7. 단도박모임과 단도박 가족모임
| 제3장 | 도박중독의 치료원칙과 치료계획
1. 도박중독의 치료원칙
2. 도박중독자 치료계획
| 제4장 | 도박중독 집중치료프로그램
1. 치료프로그램 소개
2. 도박치료프로그램의 기초 구성요소
3. 도박치료프로그램 계획
| 제5장 | 도박중독과 통합치료
1. 도박중독치료에서 통합치료의 필요성
2. 도박중독 회복을 위한 통합치료프로그램
| 제6장 | 도박중독자 회복을 위한 통합치료프로그램
1단계:기본 다지기
1회기:단도박 치료 시작모임 및 오리엔테이션
2단계:단도박 실천 및 회복
2회기:도박중독문제 인식증진
3회기:도박중독 부정과 도박중독자의 선택
4회기:도박중독의 문제해결과 대책
5회기:도박중독자 가족의 역할과 가족관계
6회기:도박중독자의 비합리적인 생각 극복
7회기:도박중독자의 부정적인 감정 극복
8회기:도박을 거절하기 위한 자기주장
9회기:도박충동에 대한 대처방식 습득
10회기:재발방지를 위한 계획 세우기
11회기:단도박 유지를 위한 계획 세우기
3단계:지속적인 회복 유지
12회기:종결 및 평가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