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생태유아교육은 아이들을 자연의 순리(順理)대로, 사람의 도리(道理)대로, 사람 노릇 제대로 하는 아이로 키우고자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유아교육이다. 생태유아교육은 몸 마음 영혼이 깨끗한 건강하고 행복하고 평화로운 아이로 키우고자 한다. 생태유아교육은 한마디로 ‘신명나는 아이’로 키우고자 하는 유아교육이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잃어버린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되찾아 주고자 한다. 아이들의 삶과 교육을 생태적이고 자연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횟집에 가서 “양식이 좋아요? 자연산이 좋아요?” 물어보면 모두 “자연산이 좋다”고 한다. 생태유아교육은 아이들을 양식이 아닌 자연산으로 키우고자 한다. 아이들을 자연산으로 키우면 생기와 원기가 펄펄 살아나니 얼마나 신바람 나게 뛰놀며 웃고 이야기하고 소리치며 신명나게 놀겠는가? 이런 아이들의 주의집중 시간은 얼마나 될까?
해방 후 지금까지 한국 정통 유아교육의 절대불변의 진리 중의 하나는 “유아들의 주의집중 시간은 10~15분이다”라는 것이다. 과연 그런가? 예컨대 오전 간식 먹고 10시에 밖으로 나와 자연에서 신나게 뛰어노는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12시 점심시간이 되어 원으로 들어가자고 재촉하면 조금만 더 놀다 가겠다고 떼를 쓴다. 이래도 유아들의 주의집중 시간이 10~15분인가?
해방 후 지금까지 한국 정통 유아교육이 아이들에게 교육이라는 미명 아래 무슨 짓(?)을 저질렀는가를 말해주는 대목이다. 최근 누리과정 도입 후 “유아교사의 생명은 수업이다”라는 기치 아래 ‘놀이중심 유아교육’ 대신 ‘수업중심 유아교육’이 주인 행세를 하면서 도를 한참 넘고 있다. 예산 지원·평가인증과 연계시켜 관리 감독을 강화하다 보니 아이들이 숲에 가서 누리과정 해야 한다고 야단법석이다. 그래도 아이들에게 너무 심한 짓을 했나 싶었던지 “아이들 바깥놀이 1시간 이상”을 법규로 정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직면하면서 “유아교육, 왜 하는가?”, “유치원·어린이집, 왜 운영하는가?”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갖게 되었다. 그 대답은 간단하다. 아이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키우기 위해서다. 그런다고 한 해 정부 예산 약 10조 원을 쓴다. 아이들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하지 않는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기관은 진짜가 아니고 가짜다. 그런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기관은 물러나야 한다. 병을 고치는 사람이 의사이지 의사면허증만 있다고 의사가 아니다. 사람이 사람다워야 사람인 이치와 같다. 그래서 아이들의 몸 마음 영혼을 아프게 하는 기존의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기관을 “배가 따뜻하고, 가슴이 편안하고, 머리가 시원한 아이, 기혈 순환이 잘되고, 손발이 따뜻하고, 입가와 눈가에 웃음 가득한 신명나는 아이”로 키우는 생태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기관으로 전환하기 위한 컨설팅을 시작하게 되었다.
지난 20여 년 동안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유치원·어린이집은 신명나는 아이, 행복한 교사, 편안한 부모의 모습을 하나같이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었다. 1995년 3월 부산대학교 부설 어린이집을 시작으로 2002년 이후 전국 일곱 지역의 생태유아공동체 소속 1천여 곳의 생태유아교육 실천 유치원·어린이집에서 검증을 거듭해 왔다.
2년 전 행정기관인 경기도 시흥시와 부산 해운대구에서 (사)한국생태유아교육연구소와 함께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사업을 시범적으로 시도하게 되었다. 이 자리를 빌려 시흥시 김윤식 시장님과 해운대구 백선기 구청장님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자 한다.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사업에 참여한 시흥시와 부산 해운대구의 유아교육기관 원장과 교사, 함께해 주신 심미연, 이숙희 원장님, 수도권생태유아공동체와 컨설턴트분들, 행정지원업무 시흥시 조진희 센터장과 이선화, 이선정, 배기연 선생 등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에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자 한다.
이 책에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 우리 유치원·어린이집도 생태유아교육 할 수 있어요]라는 약간 긴 제목을 붙인 것은, 어떤 유치원·어린이집이든 아이들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키우고 싶다는 관심과 마음과 시간과 열정을 낸다면 1년 내, 아니 3~6개월 내에 아이들의 달라진 모습(표정, 목소리, 웃음, 생기 등)을 통해 그 효과를 눈으로 직접 보고 가슴으로 느끼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부모의 만족도 반응에서 교사들과 원장은 뿌듯한 자부심과 보람을 맛보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지금의 교실·수업 중심 유아교육이 자연·놀이 중심유아교육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런 멋진일, 아이들에게 건강과 행복과 평화를 전하는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사업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세상의 빛을 볼 수 있게 해주신 도서출판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을 비롯한 여러 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합니다.
2017년 2월
임재택·조순영·김은영
Chapter 1 생태유아교육의 이해
1. 생태유아교육의 개념
2. 생태유아교육의 역사
3. 생태유아교육의 내용
Chapter 2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의 이해
1. 왜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인가?
2.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의 개념
3.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의 절차와 방법
Chapter 3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의 실제
1. 무엇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2. 전환컨설팅을 통해 달라진 실제
Chapter 4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의 효과
1. 아이가 달라졌어요
2. 원장과 교사가 달라졌어요
3. 부모가 달라졌어요
부록│ 영아반 월간 보육계획안(예시)
유아반 일일 보육일지(예시)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진단지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