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최근에 일본의 NHK방송에서 노인자살에 관한 특집방송이 있어서 관심을 가지고 보게 되었다. 그런데 깜짝 놀랐다. 방송의 내용이 일본이 아니라 한국의 노인자살에 관한 것이었다. 한국의 노인 중 매년 1만 명 이상이 자살을 하는데 70대, 80대 독거노인의 비관자살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중에는 기초생활수급자가 많다는 내용이었다. 이러한 노인자살은 IMF 이후 급격히 늘어났으며 그 대책으로 노인과 지역주민의 연계를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인간은 외로움은 참을 수 있어도 고립은 참을 수 없다고 한다. 밤중에 혼자 앉아 우는 일은 참을 수 있다고 해도 목소리나 이야기를 듣고 싶을 때에 말을 걸어주는 사람이 없는 슬픔은 견디기 힘든 아픔이라고도 할 수 있다(본문 중에서).이러한 노인문제와 늘어나는 의료비 문제에 대해서 사회 전체가 책임을 지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2008년부터 실시하게 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행정기관에 의해서 무료로 제공하던 복지서비스에 시장원리를 도입하여 계약에 의해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선진국과 같은 케어매니지먼트제도를 도입하지 않았다. 따라서 시장원리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가 적극적으로 이용자를 찾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와 마찬가지로 행정기관을 찾아가 신청 접수한 이용자에 대해서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또한 재가에서 생활하고 있는 독거노인 등은 이러한 제도가 있는 줄도 모르며 혹시 제도의 존재를 알아도 이용방법 등을 몰라서 최악의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케어계획을 작성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서비스의 효율성, 효과성, 책임성이 보장되지 않고 있다. 그리하여 본 서의 집필자들은 시장원리에 의한 서비스 제공을 이용자 중심, 케어매니저에 의한 케어계획 작성, 케어매니저에 의한 이용자의 권리옹호를 전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시각에서 출발하였다.
본 서는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케어매니지먼트의 이론적 기초로서 케어매니지먼트의 개념, 케어매니지먼트의 등장배경, 케어매니지먼트의 역사, 구성요소(이용자, 사회자원, 케어매니저)에 관해서 논하고 있다. 제2부는 케어매니지먼트 실천을 위한 케어계획 작성을 인테이크, 사정, 케어계획 작성, 서비스담당자회의, 모니터링, 케어매니지먼트의 평가의 각 단계에 관해서 기록표를 제시하고 기입방법과 유의점을 설명하며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여 스스로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책의 출판이 보건, 복지, 의료의 분야에서 공부를 하는 학생, 재가복지서비스 제공자 및 시설에서의 실천가, 행정가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 분야의 다양한 서적을 적극적으로 출판하는 데 큰 기여를 하시며 바쁘신 가운데 본 서의 출판을 기꺼이 맡아주신 공동체의 김동훈 사장님 이하 직원 여러분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PART 1. 케어매니지먼트의 이론적 기초
CHAPTER 01 케어매니지먼트의 개념
1. 케어란 무엇인가?
2. 케어매니지먼트의 목적
3. 케어매니지먼트의 정의
CHAPTER 02 케어매니지먼트의 등장배경
1. 노인인구의 증가와 가족의 부양기능 약화
2. 공적 서비스 시스템의 문제점
3. 보건·복지·의료의 연계 필요성
CHAPTER 03 케어매니지먼트의 역사
1. 미국의 케어매니지먼트 역사
2. 영국의 케어매니지먼트 역사
3. 일본의 케어매니지먼트 역사
4. 한국의 케어매니지먼트 역사
CHAPTER 04 케어매니지먼트의 구성요소
1. 이용자
2. 사회자원
3. 케어매니저
PART 2. 케어매니지먼트 실천
CHAPTER 05 케어매니지먼트의 전개과정
1. 케어매니지먼트의 과정 이해
2. 인테이크
3. 인테이크에서 케어매니저의 대응
4. 인테이크에서 케어매니저에게 필요한 기술
CHAPTER 06 사정(Assessment)
1. 사정(Assessment)의 개념 이해
2. 사정(Assessment)표의 작성
CHAPTER 07 케어계획의 작성
1. 케어계획 작성의 유의점
2. 재가서비스 계획서(1) 작성
3. 재가서비스 계획서(2) 작성
4. 주간 서비스계획표(3) 작성
CHAPTER 08 서비스담당자회의
1. 서비스담당자회의의 역할
2. 서비스담당자회의의 의의
3. 서비스담당자회의 개최
4. 서비스담당자회의 운영상의 유의점
5. 서비스담당자회의 기록
CHAPTER 09 모니터링
1. 서비스담당자회의와 모니터링의 관계
2. 모니터링의 의의
3. 모니터링의 방법
4. 모니터링의 기록
CHAPTER 10 케어매니지먼트의 평가
1. 캐어매니지먼트의 평가
2. 케어매니저에 의한 자기평가
3. 케어매니지먼트 업무에 관한 체크리스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