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우리 애가 잡지에 나온 예쁜 연예인만 보면 우리 선생님 닮았다고 그래요~”
“엄마 말은 안 들어도 선생님 말은 꼭 듣는 게 신기해요. 선생님이 정말 좋은가 봐요.”
“선생님! 나중에 크면 나랑 결혼해요~”
“우리 선생님 최고! 이거 내가 제일 좋아하는 건데 줄게요.”
“선생님은 천사 같아요. 하늘 나라에서 왔어요?”
“선생님, 오늘 힘들어요? 왜 이렇게 눈이 내려갔어요? 내가 안아줄게요.”
“선생님은 깜빡쟁이야~ 또 잊어버렸어요?”
“나중에 초등학교 가도 선생님 안 잊어버릴게요.”
“제가 좋은 사람 되도록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아교사로 살았던 저는 늘 바쁘고, 깜박깜박하고, 분주한 매일매일을 보냈던 것 같습니다. 그때는 뭐가 그렇게 재미있었는지 주말에도 방학에도 심지어 명절에도 유치원과 우리 아이들 생각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주말 나들이는 다음 주 견학 갈 박물관, 소풍지, 공원의 사전 답사였고, 명절 할머니댁 방문은 과학영역을 꾸릴 만한 곡식과 과일을 찾는 시간이었으며, 방학은 유아들에게 소개할 여름 이야깃거리에 대한 관심뿐이었습니다.
뒤돌아보면 유아들과 함께하는 시간에 대한 열정을 갖는다는 것이 얼마나 근사한지요. 그 열정이 제 인생 자체를 풍요롭게 해주었고, 매일매일의 삶에 큰 행복감을 주었던 것 같습니다.
이 책은 대학시절의 저처럼 배움에 대한 열정을 갖고 유아교사를 꿈꾸는 학생들을 위해 기도하는 마음으로 한 자 한 자 적어내려 갔습니다.
나는 이 세상에 태어나 혼자가 아닌 ‘우리’로 ‘함께’ 살아가도록 지어진 소중한 존재이기 때문에 관계에 기초한 사회성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올바르게 교육하고자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가치로운 일입니다. ‘유아’뿐 아닌 ‘나’에게도 말이지요.
예비유아교사들과 몇 해 동안 「유아사회교육」이라는 과목을 함께 공부하며,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알고 실천해 보는 것뿐 아니라 예비교사로서 나의 사회성에 대해 돌아보고 진지하게 고민하는 경험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제가 만났던 학생들을 지도하신 유아교육현장의 선생님, 원장님들과의 지속적 만남과 협의를 통해 예비교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해 왔습니다. 유아교육현장의 수많은 업무를 견뎌내고, 유아들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정서적 능력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은 그러한 제 경험에 비추어 예비교사들이 자신을 돌아보고 사회적 존재로서 조금씩 성장해 가도록 돕는 방향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책을 통해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지식을 전달할 뿐 아니라, 함께 공부하는 교수님, 학우들과 저마다의 의미 있는 것을 공유할 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반성적 고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차근차근 기록함으로써 자신의 소중한 경험조각이 큰 퍼즐로 의미 있게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만남 01에서 만남 09는 사회교육의 필요성, 목적과 목표, 영향요인,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등 예비교사의 교수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만남 10에서 만남 14는 유아의 사회성 증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워크숍을 통해 하나씩 깊이 있게 탐구하고 경험하며, 유아의 사회성을 증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예비교사의 사회성도 증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만남 15, 16은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실제 교사가 되었을 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각 장에서는 마음 열기, 생각 열기, 공유하기, 생각 다지기, 적용하기 등의 단계를 제시하여 함께 공부하는 동료들과 열린 자세와 협력하는 태도로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 책을 통해 유아교사를 꿈꾸는 많은 학생들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건강한 마음과 정신으로 우리의 미래인 유아들을 참 사랑으로 지도하는 ‘행복한 교사’가 되기를 축복합니다.
마지막으로 저를 ‘가르치는 자’라는 축복의 삶으로 인도하신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께 모든 영광과 감사를 올려드립니다.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시니
주께서 세 번째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시므로
베드로가 근심하여 이르되
주님 모든 것을 아시오매 내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을 주님께서 아시나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 양을 먹이라
- 요한복음 21장 17절
저자 정하나
한 걸음 :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지식 갖추기
만남 01 우리는 왜 지금, 여기에 있는가?
만남 02 사회교육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만남 03 유아의 사회화를 어떤 관점에서 볼 것인가?
만남 04 유아의 사회화 관련 요인은 무엇인가?
만남 05 우리나라 유아사회교육 과정은 어떠한가?
만남 06 유아사회교육 내용을 어떻게 구성할까?
만남 07 유아사회교육을 어떻게 실시할까?
만남 08 유아사회교육 과정을 어떻게 운영할까?
만남 09 유아사회교육에 대해 나는 무엇을 알게 되었는가?
두 걸음 :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기술과 태도 갖추기
만남 10 양성평등의 관점을 가진 교사 되기
만남 11 자아존중감이 높은 교사 되기
만남 12 도덕성이 높은 교사 되기
만남 13 공감능력이 높은 교사 되기
만남 14 정서지능이 높은 교사 되기
세 걸음 :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기
만남 15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돕는 짝 활동
만남 16 교육부에서 개발·보급한 사회교육 프로그램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