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이 책은 평생교육의 실천 마당인 지역사회에서 시민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생각을 나누기 위하여 기술하였다. 지금, 여기의 지역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 시민교육의 실태와 우려를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시민교육에 대한 개념 규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민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시민, 교육, 시민교육에 대한 뜻과 가치에 대한 고민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므로 시민교육이라는 행태가 일어나고 있다. 개념적 차원의 시민교육과 강령적 차원의 시민교육이 충돌하는 경우도 있다.
둘째, 시민교육의 목표가 불명확하다. 왜 시민교육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주체적 고민과 논의가 일천한 상태에서 시민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여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차별성과 독특성을 드러내기가 용이하지 않다. 시민교육을 사업목적으로 하지 않은 단체와 조직에서 시민교육을 실시하기도 한다. 자기 단체의 주장을 펼치고 세력을 확대하기 위한 자원동원 차원에서 시민교육을 활용한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셋째, 시민교육의 주체가 혼돈스러운 상태에서 시민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국가와 시장, 시민사회 사이에는 협치 못지않게 긴장과 견제가 작동한다. 솥발처럼 긍정적 관계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여기 국가와 시장 영역에서 시민사회 영역에 대한 시민교육을 실시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시민사회의 위축과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시민교육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부족하고, 시민교육 실시 경험이 일천하며, 시민교육 결과의 축적이 미흡한 것이 원인일 수 있다. 평생교육이 그 근본 의미와 가치를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개인의 이익에 주목하는 프로그램 운영 등에 치우치는 반면에 시민교육은 상대적으로 공공선과 공적 가치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인간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지역사회에서 시민교육을 통해 구체화하는 측면에서 아쉬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 책은 지역사회에서 시민교육 활동가들이 지역사회 구성원과 부딪히고 어울리며 함께 할 수 있는 시민교육 내용과 방법을 정리하고, 이를 두루 나누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책은 이런 목적 아래 시민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제 지역사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시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는 데 주목하였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첫째, 시민교육의 개념을 톺아보았다. 우선, 시민의 개념을 시민성을 갖춘 존재로서 구성하였다. 부르주아의 자본축적에서 비롯한 3단계 생성 파동으로 시민형성과 정을 포섭하였고, 시민성을 더불어 사는 인간으로서의 품성, 인간을 비인간화시키는 요인을 간파하고 이를 극복하는 실천, 더불어 사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꿈꾸고 이를 현실화하는 방법 모색과 실천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개념화하였다. 다음, 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시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교육의 의미를 개념화하고, 교육의 존재 영역을 정리하였으며, 교육의 작동 단계와 원리를 짚어보았다. 끝으로, 시민교육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시민교육은 현상의 시민이 시민성을 갖춘 시민으로 되어지도록 하는 교육이라고 파악하였다.
둘째, 지역사회와 지역사회 발전을, 지금까지 익숙하지 않은 관점으로 따져보았다. 우선, 지역사회를 공간적 의미로 국한하여 살펴보는 것을 넘어서, 다양한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다음, 지역사회 발전을 물리적 영역과 경제적 영역의 확장과 강화와 다르게, 지역사회 구성원이 지역사회에서 민주적 통제력과 지배력을 획득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끝으로, 지역사회 구성원의 인간화가 지역사회 발전의 본모습이며, 시민교육의 목표로 설정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지역사회 발전을 가져오기 위한 시민교육의 실제를 짚어 보았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시민교육의 당위성과 목적, 지향과 원칙 등을 살펴보았고, 시민교육 활동가의 자질과 역할을 들여다보았으며, 시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1부 시민의 생성과 시민교육의 토대
1장 시민⋅시민성의 생성과 시민교육 12
1. 시민의 단계별 생성 파동과 시민성 12
2. 교육 톺아보기 27
3. 시민교육 짚어보기 41
2장 시민교육의 생태계 : 시민사회와 NGO 50
1. 시민사회와 시민교육 50
2. NGO와 시민교육 60
3장 신사회운동과 시민교육 75
1. 신사회운동의 성격 75
2. 신사회운동의 행위양식과 신사회운동적 시민단체의 활동 특성 82
3. 신사회운동의 흐름과 시민교육 87
2부 시민교육의 오래된 새 논쟁, 새로운 옛 논쟁
4장 동상이몽의 시민교육 살펴보기 92
1. 같은 이름, 다른 내용의 시민교육 92
2. 헤게모니 이론으로 풀어보는 시민교육의 동상이몽 95
5장 시민교육이 답하고, 넘어야 하는 비판 104
1. 냉소주의와 함께하는 무임승차와 뒷담화 104
2. 정부 지원에 대한 수용과 거부, 그리고 재정 독립 108
3. 시민운동에 대한 고전적 비판 115
6장 시민교육과 법의 연리지 127
1. 실정법의 뿌리는 자연법 127
2. 악법 : 지켜야 하나 바꿔야 하나 131
3. 헌법 재방문하기 135
3부 지역사회와 시민교육
7장 지역사회와 발전 148
1. 지역사회의 개념과 유형 148
2. 지역사회 발전의 개념과 토대 159
3. 지역사회 발전과 삶의 질 177
8장 지역사회 시민교육의 지향과 목적 187
1. 지역사회 시민교육의 지향 187
2. 지역사회 시민교육의 목적 203
3. 지역사회 시민교육을 위한 다층적 짚어보기 217
9장 지역사회 시민교육의 내용과 형태 225
1. 시민교육의 구분 : 구조화된 시민교육과 비구조화된 시민교육 225
2. 지역사회 시민교육의 내용 234
3. 지역사회 시민활동 프로그램과 성공요인 256
10장 지역사회 시민교육의 방법 266
1. 구조화된 시민교육에서 사용하는 방법 266
2. 비구조화된 시민교육의 영역 276
3. 비구조화된 시민교육의 방법 : 지역사회에서 활용하는 시민활동 방법을 중심으로 283
4부 지역사회 시민교육 조직과 시민교육 활동가론(論)
11장 지역사회 시민교육 기반으로서의 시민단체 296
1. 지역사회 시민단체 개괄 296
2. 지역사회 시민교육 기반으로서의 시민단체 구축 300
3. 지역사회 시민단체의 성격과 활동형태 306
12장 지역사회 시민단체의 운영과 관리 312
1. 지역사회 시민단체의 운영 관리 312
2. 시민단체의 조직문화와 외부조직 관리 318
3. 지역사회 시민단체의 연대 326
13장 시민교육 활동가론(論) 330
1. 시민교육 활동가의 구실 330
2. 지역사회 시민교육 활동가의 자질과 역량 334
3. 지역사회 시민교육 활동가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351
▪ 참고문헌 366
▪ 찾아보기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