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학교현장실습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최근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뜨겁다.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영·유아기의 교육과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가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사양성교육과정에서는 교육실습과 보육실습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교원양성기관 평가에서도 해를 거듭할수록 유아교육실습에 대한 비중을 높여가면서 정규실습은 물론이거니와 사전실습과 사전협의회, 그리고 사후실습과 사후협의회까지 철저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있다. 이는 유아교육실습이 교사가 되기 위한 총체적 정리이자 구체적인 교사의 역할 수행의 준비과정이면서 훌륭한 유아교사를 육성하여 유아교육 발전뿐만 아니라 국가사회발전에도 기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유아교육실습은 예비유아교사들에게 대학에서 배운 유아교육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유아발달 특성에 따른 지도방법, 유아와의 상호작용, 유아교육기관의 업무 및 교사의 역할을 실제로 경험하면서 유아교사로서의 구체적인 신념을 갖게 하는 핵심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책에서는 예비유아교사로 하여금 유아교사로서의 신념과 의지를 굳건히 하고, 교육실습 전에 막연한 걱정과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현장실무능력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도서 역할을 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학에서의 준비단계, 대학과 유아교육기관 간의 긴밀한 연계 단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원장과 실습지도교사가 수행하여야 할 역할의 실제 수행, 즉 실습의 준비단계에서부터 마무리단계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우리나라 유아교육교사 양성과정은 유치원교사 양성과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양성으로 이원화되어 있어 그에 따른 교육실습이 4주간 160시간, 보육실습은 6주간 240시간으로 편성되어 있다. 이에 이 책에서는 종일제유치원에서의 6주간의 실습으로 학교현장실습과 보육실습을 함께 인정받을 수 있도록 실습기간을 4주차와 6주차로 설정하고 안내하여 양측의 실습을 모두 이수하는 데 무리가 없도록 하였다.
  이 책은 2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부에서는 유아교육실습에 대한 이론을 다루었고, 제2부에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제를 다루었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사랑과 격려로 지지해 준 가족, 무등산이 바라보이는 연구실에서 마음껏 불을 밝히게 해준 송원대학교, 빛나는 눈동자로 함께 열정적으로 동참해 주었던 송원대학교 학생들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특히 자신의 직장에 대한 자부심과 특별한 사랑을 전해주어 이 책을 공동체 출판사에서 펴내고 싶다는 의지를 심어주고, 좋은 책을 만들기 위하여 여러 번의 꼼꼼한 교정 작업까지 수고해 주신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이 책이 예비유아교사뿐만 아니라 교육실습을 연구하고 지도하는 유치원·어린이집의 원장과 교사들에게도 널리 활용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2019. 8.
저자 정아란

 

PART 01 유아교육실습 이론


CHAPTER 01 학교현장실습의 기초적 이해

1. 학교현장실습의 개념 15
   1) 학교현장실습의 의의 15
   2) 학교현장실습의 정의 16
   3) 학교현장실습의 목적 16
2. 학교현장실습의 중요성 19
   1) 실습의 효과 19
   2) 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
3. 실습의 유형 22
   1) 사전실습 22
   2) 정규실습 24
   3) 사후실습 26


CHAPTER 02 학교현장실습의 준비

1. 대학에서의 준비 28
   1) 학교현장실습유치원 선정 28
   2) 대학의 실습 의뢰서와 구비서류 29
2. 교육실습생의 준비 30
   1) 교육실습생의 심리적 특성 30
   2) 교육실습생의 사전 준비 31
   3) 교육실습생의 사전 방문 46
3. 유아교육기관의 준비 50
   1) 원장의 준비 50
   2) 실습지도교사의 준비 54


CHAPTER 03 실습생의 역할과 자세

1. 유아교육기관의 일과에 대한 기본적 이해 60
   1) 등원 및 맞이하기 61
   2) 자유선택활동 64
   3) 대소집단 활동 66
   4) 급·간식 66
   5) 실외활동 66
   6) 하원 67
2. 실습생의 역할 67
   1) 실습생의 일반적 역할 67
   2) 실습생의 하루 일과 중 역할 69
3. 실습생의 자세 71
   1) 올바른 근무자세 71
   2) 유아 및 학부모와의 관계 72
   3) 업무 처리 73
   4) 교육실습생의 언어 74
   5) 교육실습생의 용모 76


CHAPTER 04 학교현장실습의 운영

1. 실습의 과정 78
   1) 사전지도 79
   2) 실습 중 지도 80
   3) 사후지도 81
2. 실습의 주요 내용 81
   1) 실습의 진행 일정 81
   2) 실습과정의 실제 84
   3) 실습생의 일일 근무 과정 92
3. 실습일지 기록 94
   1) 실습일지의 의미 94
   2) 실습일지 기록 94
   3) 실습 포트폴리오 101
4. 실습평가 102
   1) 실습평가의 의미 102
   2) 실습기관에서의 평가 103
   3) 실습생의 자기평가 105
   4) 대학에서의 평가 108


PART 0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제


CHAPTER 05 수업 잘하는 실습생

1. 수업 계획의 기본적 원칙 112
   1) 수업을 계획하기 전에 살펴야 할 것 112
   2) 수업계획안 작성의 원칙 113
2. 교육계획안의 이해 116
   1) 연간교육계획 117
   2) 월간교육계획 120
   3) 주간교육계획 122
   4) 일일교육계획 125
3. 실습생의 수업계획 131
   1) 좋은 수업이란? 131
   2) 수업계획안 작성 131
4. 주제에 따른 환경구성 144
   1) 흥미영역의 환경구성 144
   2) 게시자료 꾸미기 149
   3) 게시판의 활용 154


CHAPTER 06 지혜로운 실습생의 하루

1. 등원 및 유아 맞이하기 158
2. 자유선택활동 지도 160
   1) 쌓기놀이 영역 161
   2) 언어영역 161
   3) 역할놀이 영역 162
   4) 수·조작 영역 162
   5) 과학영역 163
   6) 음률영역 163
   7) 미술영역 163
3. 이야기나누기 지도 165
   1) 이야기나누기의 형태 166
   2) 이야기나누기의 가치 166
   3) 실습생의 이야기나누기 168
4. 대소집단 활동 지도 170
5. 급·간식 지도 171
6. 실외놀이 지도 172
7. 새노래 지도 174
8. 게임 지도 175
9. 신체표현 지도 177
10. 동화 지도 179
11. 기본생활습관 지도 180
12. 정리정돈 및 전이시간 지도 181
13. 평가 및 귀가 지도 183
14. 다음 날 수업 준비 185


CHAPTER 07 우수한 실습생의 노하우

1. 유아들과 친해지기 188
2. 유아의 갈등 및 문제행동 지도 190
   1) 집단 규칙 지도 190
   2) 갈등 지도 191
   3) 친사회적 행동 지도 191
   4) 문제행동 지도 191
3. 주제에 맞게 주의집중 잘하기 194
4. 사고를 열어주는 발문 197
   1) 폐쇄적 발문 198
   2) 개방적 발문 198
5. 잊지 말자, 평가 200
   1) 유아평가 200
   2) 수업계획안의 평가 201
   3) 수업활동에 대한 평가 201
   4) 실습생에 대한 지도교사의 평가 202
6. 안전한 전이시간 203
7. 유아와의 관계 형성 204
8. 지도교사와의 관계 형성 205
   1) 지도교사의 관점을 분석한다 206
   2) 열린 마음을 가진다 206
   3) 지도교사의 지도를 긍정적으로 수용한다 206
   4) 지도교사의 입장을 헤아려 본다 207
9. 교직원과의 관계 형성 207
10. 부적절한 실습생 208


CHAPTER 08 실습을 마치고

1. 실습평가 212
   1) 실습기관에서의 실습생 평가 213
   2) 실습생의 자기평가 215
   3) 실습생의 지도교사 평가 218
   4) 실습평가회 219
2. 사후실습 221
3. 유치원 교사 되어가기 224
   1) 자격증에 필요한 서류 224
   2) 교사 임용 시의 면접 준비 228
   3) 교사 임용에 필요한 서류 229
   4) 지도교수와의 진로 상담 229


■ 참고문헌 231
■ 찾아보기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