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인성과 가치의 이해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지식정보화, 과학화, 그리고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오늘날 우리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도 인간의 능력과 전문성, 그리고 업무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ㆍ사회적 요청으로 교육 또한 그 어떤 때보다 인간의 능력과 전문성 신장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야말로 인간의 능력이 한 개인을 판단하는 척도가 된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ㆍ사회적 요청에 즈음하여 우리나라 유초중등학교 교육은 물론 대학교육까지 유능한 인간, 즉 창의적인 인간, 전문성을 가진 인간, 능력 있는 인간을 양성하는 데에 총력을 집중하고 있다. 물론 현재 국가수준 교육과정이나 일선 학교교육은 인간교육, 인성교육, 전인교육 등을 교육적 이상이나 인간상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그것은 명목상의 구호일 뿐 교육 실제에서 인성교육이나 가치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청년실업률이 급증하면서 대학교육에서조차도 취업 중심의 교육이 실시되다 보니 인성교육이나 가치교육은 명목상의 과정이 되어버렸다.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능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일찍이 우리는 유능하기는 하지만 좋은 인성을 갖추지 못할 경우 그 유능함은 오히려 사회적으로, 국가적으로 더 큰 해악을 초래하는 것을 자주 목도해 왔다. 이런 점에서 올바른 인성의 형성은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대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이 요구되는 이유 또한 여기에서 기인한다.
인성과 아울러 중요한 것이 가치판단 능력이다. 가치판단은 개인 행동의 준거가 되는 것으로 인간은 특정한 현상이나 상황에 직면할 때 어디에 가치를 두느냐에 따라 행동을 달리한다. 즉, 인간은 가치판단에 따라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가치판단 능력, 즉 가치판단에 대한 안목을 길러주는 가치교육은 인성교육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의 대학생들은 무척 바쁘고 피곤하다. 취업이 어렵다 보니 대학에서 전공 공부는 물론 토익이나 자격증 등 각종 스펙도 갖추어야 한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외적으로 드러나는 학점관리나 스펙을 갖추는 데는 열심을 보이지만, 정작 한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이나 가치판단 능력의 중요성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인성이나 가치판단 능력은 평가가 쉽지 않을 뿐더러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대학교육 현실을 고려하여 이 책은 대학생들이 인성과 가치판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인성과 가치판단 능력을 확인하고, 반성하며,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각 장에서 인성과 가치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을 다루고, 이러한 기초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자신의 인성과 가치판단의 실제를 ‘탐구하기 도움자료’를 통하여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전술한 취지에서 보듯이 이 책은 대학생들의 인성과 가치에 관한 입문서 성격을 지니므로 인성과 가치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가능한 한 쉽게 쓰려고 노력하였으나, 본래의 의도와는 달리 여러 면에서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부족한 부분은 앞으로 계속 수정 보완하여 보다 나은 책이 될 수 있도록 독자 여러분의 질정(叱正)을 기대하는 바이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쾌히 허락하시고 좋은 책이 될 수 있도록 애써주신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18년 3월
저자 일동

 

1 인성과 인성교육의 이해

1. 인성과 인성교육의 개념
2. 인성교육의 필요성
3. 인성교육의 목적과 방향
4. 인성교육의 덕목과 내용
5. 인성교육의 방법과 실천


2 가치와 가치교육의 이해

1. 가치와 가치교육의 필요성
2. 가치의 이해
3. 가치의 기능
4. 가치의 구분
5. 현대 사회와 가치교육


3 인성과 가치의 교육학적 이해

1. 교육의 이해
2. 교육적 존재로서의 인간
3. 아동기의 중요성
4. 인성과 가치의 교육 본질론적 이해
5. 교육을 통한 인성과 가치의 형성


4 인성과 가치의 심리학적 이해

1. 심리학의 이해
2. 인간의 지적 특성
3. 인간의 비지적 특성
4. 인간발달이론
5. 성격형성이론
6.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인성과 가치의 형성


5 인성과 가치의 철학적 이해

1. 철학의 이해
2. 전통철학에서 바라보는 인간의 이해
3. 실존철학에서의 인성과 가치의 형성
4. 포스트모더니즘에서의 인성과 가치의 형성


6 인성과 가치의 사회ㆍ문화적 이해

1. 사회와 사회화의 개념
2. 현대 사회의 특징
3. 문화의 개념
4. 문화의 특징과 이해
5. 사회ㆍ문화를 통한 인성과 가치의 형성


참고문헌